직업백과

도시계획 / 직무사전

건설 > 도시·교통 > 국토·도시계획

직무내용

학과소개

도시계획이란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공공복리를 증진시키기 위해 미래지향적인 도시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주민과 계획참여자의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일이다.

능력단위

계획타당성검토 (수준 : 7)

정의
토지이용계획은 토지이용현황을 분석하고, 주민들이 영위하는 주거ㆍ생산ㆍ여가활동과생활활동에 따른 공간수요를 예측ㆍ계획함으로써 합리적인 토지이용계획을 실행하는능력이다.
직무내용
  • 계획의 성격 검토하기
  • 여건분석하기
  • 전략구상하기
  • 계획타당성분석하기
  • 계획제안하기
지식 및 기술
  • 과업
  • 내부수익률
  • 도시계획
  • 분석력
  • 분석프로그램
  • 상위
  • 상위계획
  • 전략과제
  • 전략목표
  • 제안
  • 타당성분석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성실함
  • 실천적
  • 응용력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자격증
  • 도시계획기사
관련전공
  • 도시계획 관련 학과

조사분석 (수준 : 5)

정의
조사분석은 도시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관련계획, 자연, 인문, 사회환경과 계획대상지의 물리적ㆍ비물리적 현황, 다양한 자료ㆍ사례, 관련법규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계획대상지의 문제점과 잠재력을 분석하고, 계획과제를 도출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현황조사하기
  • 관련법규ㆍ계획 검토하기
  • 주민의견조사하기
  • 현황종합분석하기
  • 기초조사서작성하기
지식 및 기술
  • 검토사항
  • 대상지
  • 도시계획
  • 법규
  • 사회환경
  • 인문
  • 잠재력
  • 주민의견
  • 주민의견수렴
  • 현황분석
  • 현황조사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과학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응용력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집중력
  • 합리적
관련자격증
  • 도시계획기사
관련전공
  • 도시계획 관련 학과

기본구상 (수준 : 7)

정의
기본구상은 조사분석을 통해 도출된 계획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목표, 전략, 계획지표를 설정하고, 대안 작성ㆍ선정을 통하여 토지이용계획, 교통계획, 공원ㆍ녹지계획,기반시설계획, 관련 부문계획의 기준이 되는 기본구상안을 제시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목표설정하기
  • 전략설정하기
  • 계획지표설정하기
  • 대안작성하기
  • 기본구상작성하기
지식 및 기술
  • 계획과제
  • 계획목표
  • 계획인구
  • 계획지표
  • 구상안
  • 기본구상
  • 대안
  • 도시계획
  • 목표연도
  • 미래상
  • 추정방법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조직적
  • 집중력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자격증
  • 도시계획기사
관련전공
  • 도시계획 관련 학과

토지이용계획(구버전) (수준 : 6)

직무내용
  • 토지이용 분석하기
  • 용도별 수요예측하기
  • 토지이용계획 대안선정하기
  • 관련분야 협의ㆍ조정하기
  • 토지이용계획 작성하기

도시교통계획 (수준 : 5)

정의
도시교통계획은 교통현황 분석을 통하여 적정한 교통체계를 구상하고 수요를 예측함으로써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교통시설의 배치ㆍ운영계획을 수립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교통현황 분석하기
  • 교통수요 추정하기
  • 교통체계 구상하기
  • 교통시설 계획ㆍ운영계획하기
  • 교통계획 작성하기
지식 및 기술
  • 가로망
  • 교통계획
  • 교통수요
  • 교통시설
  • 교통체계
  • 교통현황
  • 구상
  • 도로망
  • 도시계획
  • 도시교통
  • 수립지침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집중력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도시계획기사
관련전공
  • 도시계획 관련 학과

공원녹지계획 (수준 : 5)

정의
공원ㆍ녹지계획은 공원ㆍ녹지현황 분석을 통하여 적정한 공원ㆍ녹지체계를 구상하고수요를 예측함으로써 건강하고 쾌적한 공원ㆍ녹지를 조성ㆍ관리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공원ㆍ녹지현황 분석하기
  • 공원ㆍ녹지수요 추정하기
  • 공원ㆍ녹지체계 구상하기
  • 공원ㆍ녹지계획 작성하기
지식 및 기술
  • 구상
  • 규모
  • 기본계획
  • 도시공원
  • 목표연도
  • 법률
  • 생활권
  • 수립지침
  • 수요
  • 이용권
  • 주민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인간적
  • 자율적
  • 전략적
  • 조직적
  • 집중력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자격증
  • 도시계획기사
관련전공
  • 도시계획 관련 학과

기반시설계획 (수준 : 5)

정의
기반시설계획은 기반시설현황 분석을 통하여 기반시설체계를 구상하고 수요를 예측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기반시설의 설치ㆍ운영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능력이다.
직무내용
  • 기반시설현황 분석하기
  • 기반시설수요 추정하기
  • 기반시설체계 구상하기
  • 기반시설계획 작성하기
지식 및 기술
  • 결정구조
  • 계획시설
  • 계획인구
  • 관리계획
  • 구상
  • 기반시설
  • 도시계획
  • 수립지침
  • 수요
  • 수요추정
  • 현황분석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생산적
  • 응용력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친환경적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도시계획기사
관련전공
  • 도시계획 관련 학과

관련 부문별계획 (수준 : 5)

정의
관련 부문별계획은 계획유형별 특성에 따라 필요한 계획범위를 설정하여 도시방재 등부문별 계획을 수립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계획특성 파악하기
  • 계획범위 설정하기
  • 부문계획 구상하기
  • 부문계획 작성하기
지식 및 기술
  • 계획시설
  • 계획지표
  • 관리계획
  • 국토
  • 기본계획
  • 도시계획
  • 부문계획
  • 부문별계획
  • 설치기준
  • 수립지침
  • 지구단위계획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생산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자격증
  • 도시계획기사
관련전공
  • 도시계획 관련 학과

실행계획 (수준 : 6)

정의
실행계획이란 합리적이고 실현가능한 도시관리(도시계획)에 필요한 사업비를 산정하고, 그에 따른 연차별집행, 재원조달, 운영관리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사업비 산정하기
  • 재원조달계획 수립하기
  • 연차별집행계획 수립하기
  • 운영ㆍ관리계획 수립하기
지식 및 기술
  • 공사비
  • 도시계획
  • 보상비
  • 사업비
  • 수립지침
  • 엔지니어링
  • 재원조달
  • 재정계획
  • 주요사업
  • 집행계획
  • 투자계획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조직적
  • 집중력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도시계획기사
관련전공
  • 도시계획 관련 학과

행정절차이행 (수준 : 4)

정의
행정절차이행은 계획안의 설명,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의견 청취, 관계기관 협의, 위원회 자문ㆍ심의, 계획안의 결정ㆍ고시를 위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계획안 보고하기
  • 의견청취하기
  • 관계기관 협의하기
  • 위원회 자문ㆍ심의하기
  • 계획결정 고시하기
지식 및 기술
  • 계획안
  • 고시
  • 관계기관
  • 관계기관협의
  • 도서
  • 의견수렴
  • 의견청취
  • 자문
  • 조치계획
  • 질의응답
  • 행정절차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집중력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자격증
  • 도시계획기사
관련전공
  • 도시계획 관련 학과

계획총괄관리 (수준 : 7)

정의
계획총괄관리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계획에 수반되는 전과정을 총괄 관리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통합관리하기
  • 공정관리하기
  • 품질관리하기
  • 조직관리하기
지식 및 기술
  • 감리업무
  • 공정관리
  • 과업
  • 과업지시서
  • 도시계획
  • 분류체계
  • 입찰안내서
  • 총괄관리
  • 통합관리
  • 품질관리
  • 품질목표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도시계획기사
관련전공
  • 도시계획 관련 학과

토지이용계획검토 (수준 : 5)

직무내용
  • 토지이용 분석하기
  • 용도별 수요예측하기
지식 및 기술
  • 기본계획
  • 도시계획
  • 부지면적
  • 산정방법
  • 소요면적
  • 수립지침
  • 용도
  • 정보체계
  • 토지이용
  • 토지이용계획
  • 토지이용현황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과학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집중력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자격증
  • 도시계획기사
관련전공
  • 도시계획 관련 학과

토지이용계획 실행 (수준 : 5)

직무내용
  • 토지이용계획 대안선정하기
  • 관련분야 협의ㆍ조정하기
  • 토지이용계획 작성하기
지식 및 기술
  • 관련분야
  • 기본계획
  • 대안
  • 도시계획
  • 도시지역
  • 상위계획
  • 수립지침
  • 여가활동
  • 토지이용
  • 토지이용계획
  • 토지이용현황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생산적
  • 성실함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전략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도시계획기사
관련전공
  • 도시계획 관련 학과

직무사전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