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내용
학과소개
로봇기구개발이란 로봇수요자의 요구분석 결과에 따라 로봇 기구, 주변장치, Tool 등을 설계 및 제작하고 시험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로봇 기구를 개발하는 일이다.
							능력단위
로봇 기구 개발 기획(구버전) (수준 : 6)
- 직무내용
 - 
										
- 요구 사항 파악하기
 - 작업 분석하기
 - 운용 환경 및 제약 조건 검토하기
 - 최신기술 및 규정 검토하기
 - 개발사양 결정하기
 - 개발 기획보고서 작성하기
 
 
로봇 기구 개념 설계 (수준 : 5)
- 정의
 - 로봇 기구 개념 설계란 개발할 제품의 lay out을 작성하고 기능 및 심미적 관점에서 외관을 설계하며 구현 가능성을 고려하여 개념도를 작성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lay out 작성하기
 - 개념도 작성하기
 - 외관 디자인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개발기획
 - 개발제품
 - 관절
 - 관점
 - 레이아웃
 - 로봇
 - 로봇기구
 - 상대운동
 - 심미적
 - 외관
 - 전자부품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심미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관련전공
 - 
										
- 기계관련 학과
 - 로봇 시스템학과
 - 로봇과
 - 메카트로닉스관련 학과
 - 자동화과
 
 
로봇 기구 요소 부품 설계 (수준 : 5)
- 정의
 - 로봇 기구 요소 부품 설계란 개념도에 포함된 요소부품과 재료의 리스트를 작성하고 개발부품에 필요한 부품과 재료를 선정하며 표준화되지 않은 신규 요소 부품을설계할 수 있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요소 부품 리스트 작성하기
 - 표준 요소 부품 선정하기
 - 신규 요소 부품 설계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개발제품
 - 개수
 - 공학
 - 기계요소
 - 로봇기구
 - 부품
 - 상대운동
 - 신규
 - 요소부품
 - 자유도
 - 전자부품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관련전공
 - 
										
- 기계관련 학과
 - 로봇 시스템학과
 - 로봇과
 - 메카트로닉스관련 학과
 - 자동화과
 
 
로봇 기구 해석(구버전) (수준 : 5)
- 직무내용
 - 
										
- 모델링하기
 - 구조해석하기
 - 동역학 해석하기
 - 해석 결과 설계에 반영하기
 
 
로봇 기구 상세 설계(구버전) (수준 : 4)
- 직무내용
 - 
										
- 상세 설계 모델링하기
 - 도면 작성하기
 - B.O.M. 작성하기
 
 
로봇 기구 주변 장치 설계 (수준 : 4)
- 정의
 - 로봇 기구 주변 장치 설계란 개념 설계 및 구조 해석 결과를 반영하여 로봇 주행장치, 로봇 설치대 등의 주변장치와 치공구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로봇 주행 장치 설계하기
 - 로봇 설치대 설계하기
 - 치공구 설계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간섭여부
 - 개념설계
 - 구조해석
 - 로봇
 - 로봇기구
 - 모델링
 - 부품
 - 부품간
 - 설계
 - 치공구
 - 치공구설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효율적
 
 - 관련전공
 - 
										
- 기계관련 학과
 - 로봇 시스템학과
 - 로봇과
 - 메카트로닉스관련 학과
 - 자동화과
 
 
로봇 엔드이펙터 설계 (수준 : 4)
- 정의
 - 로봇 엔드이펙터 설계란 로봇에 장착되어 작업대상물에 대하여 의도하는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로봇용 엔드이펙터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작업공정을이해하고 작업대상물을 검토하여 엔드이펙터의 기능과 구조 및 부품을 선정하기 위해공학이론을 적용하여 기능과 구조를 모델링하여 설계하고 설계결과를 도면으로 작성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조립 및 핸들링용 핸드 설계하기
 - 공정용 Tool 설계하기
 - 엔드이펙터 어댑터 설계하기
 
 - 지식 및 기술
 - 
										
- CAE
 - TOOL
 - 공학
 - 대상물
 - 도면
 - 도면요소
 - 로봇
 - 부품
 - 작업대상물
 - 조립
 - 핸드
 
 - 수행태도
 - 
										
- 계량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집중력
 - 책임감
 - 효율적
 
 - 관련전공
 - 
										
- 기계관련 학과
 - 로봇 시스템학과
 - 로봇과
 - 메카트로닉스관련 학과
 - 자동화과
 
 
로봇 시제품 제작(구버전) (수준 : 3)
- 직무내용
 - 
										
- 시장품 구매하기
 - 가공하기
 - 입고 검사하기
 - 조립하기
 
 
로봇 통합 시험 평가(구버전) (수준 : 5)
- 직무내용
 - 
										
- 로봇 통합하기
 - 기능 시험하기
 - 성능 시험하기
 - 신뢰성 시험하기
 - 필드 테스트하기
 
 
로봇 시스템 통합 (수준 : 5)
- 정의
 - 로봇 시스템 통합이란 로봇을 포함한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시스템을 검토, 설계하고 제작된 모듈을 조립하여 설계 사양과의 적합성을 시험 평가를 통해 로봇시스템을 완성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로봇 시스템 설계하기
 - 로봇 시스템 조립하기
 - 로봇 시스템 시험평가하기
 
 - 지식 및 기술
 - 
										
- H/W
 - 개구부
 - 기구
 - 기입
 - 기준서
 - 로봇
 - 로봇기구
 - 로봇시스템
 - 성적서
 - 시험평가
 - 조립
 
 - 수행태도
 -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성실함
 - 신뢰감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집중력
 - 효율적
 
 - 관련전공
 - 
										
- 기계관련 학과
 - 로봇 시스템학과
 - 로봇과
 - 메카트로닉스관련 학과
 - 자동화과
 
 
로봇 유지보수(구버전) (수준 : 2)
- 직무내용
 - 
										
- 로봇 운용하기
 - 로봇 유지보수하기
 - 로봇 시스템 운용하기
 - 로봇 시스템 유지보수하기
 
 
로봇 기구 개발 작업 요구사항 분석 (수준 : 5)
- 정의
 - 로봇 기구 개발 작업 요구사항 분석이란 로봇수요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로봇에 요구되는 성능 및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지표화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요구 사항 파악하기
 - 작업 분석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개발기획
 - 개발동향
 - 로봇
 - 로봇기구
 - 시장
 - 요구사항
 - 요구사항분석
 - 요석
 - 작업분석
 - 지표화
 - 품질기능전개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관련전공
 - 
										
- 기계관련 학과
 - 로봇 시스템학과
 - 로봇과
 - 메카트로닉스관련 학과
 - 자동화과
 
 
로봇 기구 개발환경 및 규정 검토 (수준 : 4)
- 정의
 - 로봇 기구 개발 환경 및 규정 검토란 로봇 운용 환경과 제약 조건을 검토하고, 로봇 적용 공정 및 로봇의 최신 기술 동향을 검토하며 개발 로봇의 사용화 시에 필요한표준, 인증 및 특허 등의 관련 규정을 조사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운용 환경 및 제약 조건 검토하기
 - 최신기술 및 규정 검토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개발환경
 - 규정검토
 - 로봇
 - 로봇기구
 - 상용화
 - 신소재
 - 위험인자
 - 인증
 - 제약조건
 - 최신기술
 - 특허조사
 
 - 수행태도
 - 
										
- 계량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관련전공
 - 
										
- 기계관련 학과
 - 로봇 시스템학과
 - 로봇과
 - 메카트로닉스관련 학과
 - 자동화과
 
 
로봇 기구 개발 기획 (수준 : 6)
- 정의
 - 로봇 기구 개발 기획이란 로봇 기구 개발 사양을 결정하고, 개발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검토하여 개발 기획 보고서를 작성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개발사양 결정하기
 - 개발 기획 보고서 작성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가용자원
 - 개발기획
 - 개발사양
 - 결론
 - 경쟁사제품
 - 기구개발
 - 로봇
 - 로봇기구
 - 보유장비
 - 작업효율성
 - 품질기능전개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현실적
 
 - 관련전공
 - 
										
- 기계관련 학과
 - 로봇 시스템학과
 - 로봇과
 - 메카트로닉스관련 학과
 - 자동화과
 
 
로봇 기구 구조 해석 (수준 : 5)
- 정의
 - 로봇 기구 구조 해석이란 로봇기구의 요소 및 구조 부품을 3D로 모델링하고 구조해석과 해석결과를 상세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모델링하기
 - 구조해석하기
 
 - 지식 및 기술
 - 
										
- 결정
 - 구조해석
 - 로봇기구
 - 모델링
 - 물성치
 - 부품
 - 부품조립
 - 수치해석
 - 엘레먼트
 - 요소부품
 - 해석결과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집중력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전공
 - 
										
- 기계관련 학과
 - 로봇 시스템학과
 - 로봇과
 - 메카트로닉스관련 학과
 - 자동화과
 
 
로봇 기구 동역학 해석 (수준 : 5)
- 정의
 - 로봇 기구 동역학 해석이란 로봇기구의 부분 및 전체에 대하여 동역학적 해석 과해석결과를 상세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동역학 해석하기
 - 해석 결과 설계에 반영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강체
 - 결정
 - 경계조건
 - 구동장치
 - 구속조건
 - 기구
 - 동역학
 - 로봇기구
 - 액추에이터
 - 해석
 - 해석결과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전공
 - 
										
- 기계관련 학과
 - 로봇 시스템학과
 - 로봇과
 - 메카트로닉스관련 학과
 - 자동화과
 
 
로봇 기구 상세 설계 (수준 : 5)
- 정의
 - 로봇 기구 상세 설계란 개념 설계 및 구조 해석 결과를 반영하여 상세 설계 모델링하기 및 세부구조도를 작성 할 수 있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상세 설계 모델링하기
 - 세부구조도 작성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개념설계
 - 공학
 - 구성
 - 구조해석
 - 기구학
 - 로봇기구
 - 모델링
 - 부품
 - 부품간
 - 상세설계
 - 자유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관련전공
 - 
										
- 기계관련 학과
 - 로봇 시스템학과
 - 로봇과
 - 메카트로닉스관련 학과
 - 자동화과
 
 
로봇 기구 제작도 작성 (수준 : 3)
- 정의
 - 로봇 기구 제작도 작성이란 상세 모델링 및 세부 구조도를 반영하여 로봇 기구를제작하기 위한 제작용 도면 작성하기, B.O.M 작성하기를 할 수 있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도면 작성하기
 - B.O.M 작성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공학
 - 구매정보
 - 도면
 - 도면번호
 - 로봇기구
 - 부품
 - 부품사양
 - 상용화
 - 전자부품
 - 제작
 - 제작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집중력
 - 책임감
 
 - 관련전공
 - 
										
- 기계관련 학과
 - 로봇 시스템학과
 - 로봇과
 - 메카트로닉스관련 학과
 - 자동화과
 
 
로봇부품 구매 및 가공 (수준 : 3)
- 정의
 - 로봇부품 구매 및 가공이란 선정된 시장품을 구매하고 제작원가를 분석하여 필요한제작공정을 계획할 수 있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시장품 구매하기
 - 가공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가공
 - 가공도면
 - 가공방법
 - 공급업체
 - 구매
 - 납기
 - 대체품
 - 로봇
 - 시장
 - 제작원가
 - 제작의뢰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전공
 - 
										
- 기계관련 학과
 - 로봇 시스템학과
 - 로봇과
 - 메카트로닉스관련 학과
 - 자동화과
 
 
로봇부품 검사 및 조립 (수준 : 2)
- 정의
 - 로봇부품 검사 및 조립이란 로봇부품에 대한 품질검사와 조립도면에 따라 조립할수 있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입고 검사하기
 - 조립하기
 
 - 지식 및 기술
 - 
										
- 2d/3d
 - 가공상태
 - 가공제품
 - 가공품
 - 개구부
 - 기준서
 - 로봇
 - 성적서
 - 조립
 - 조립상태
 - 투상법
 
 - 수행태도
 -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집중력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전공
 - 
										
- 기계관련 학과
 - 로봇 시스템학과
 - 로봇과
 - 메카트로닉스관련 학과
 - 자동화과
 
 
로봇 통합 및 기능 시험 (수준 : 5)
- 정의
 - 로봇 통합 및 기능 시험이란 로봇의 기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통합하여 조립하고, 조립된 로봇 기구의 기능을 시험 평가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로봇 통합하기
 - 기능 시험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개구부
 - 기구
 - 기능시험
 - 기준서
 - 로봇
 - 로봇기구
 - 로봇소프트웨어
 - 성적서
 - 조립
 - 프로그래밍
 - 하드웨어
 
 - 수행태도
 - 
										
- 계량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성실함
 - 신뢰감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집중력
 
 - 관련전공
 - 
										
- 기계관련 학과
 - 로봇 시스템학과
 - 로봇과
 - 메카트로닉스관련 학과
 - 자동화과
 
 
로봇 성능 및 신뢰성 시험 (수준 : 3)
- 정의
 - 로봇 성능 및 신뢰성 시험이란 통합된 로봇 기구의 성능, 신뢰성 및 필드테스트를수행하여 로봇을 시험 평가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성능 시험하기
 - 신뢰성 시험하기
 - 필드 테스트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개구부
 - 기입
 - 기준서
 - 로봇
 - 로봇기구
 - 로봇소프트웨어
 - 성능시험
 - 성적서
 - 신뢰성시험
 - 프로그래밍
 - 필드테스트
 
 - 수행태도
 - 
										
- 계량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신뢰감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집중력
 - 책임감
 
 - 관련전공
 - 
										
- 기계관련 학과
 - 로봇 시스템학과
 - 로봇과
 - 메카트로닉스관련 학과
 - 자동화과
 
 
로봇 운용 (수준 : 2)
- 정의
 - 로봇 운용이란 운용매뉴얼 및 사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로봇 및 로봇시스템을 운용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로봇 운용하기
 - 로봇 시스템 운용하기
 
 - 지식 및 기술
 - 
										
- 구동
 - 대처기술
 - 로봇
 - 로봇기구
 - 로봇시스템
 - 운용
 - 운용매뉴얼
 - 윤활제
 - 작동방식
 - 장비유지보수
 - 프로그램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전공
 - 
										
- 기계관련 학과
 - 로봇 시스템학과
 - 로봇과
 - 메카트로닉스관련 학과
 - 자동화과
 
 - 관련훈련
 - 
										
- 로봇 및 PLC제어기초
 
 
로봇 유지보수 (수준 : 2)
- 정의
 - 로봇 유지보수란 로봇 및 로봇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상태를 일정하게유지하고 보수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로봇 유지보수하기
 - 로봇 시스템 유지보수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고장발생
 - 관련기술
 - 로봇
 - 로봇기구
 - 로봇시스템
 - 로봇유지보수
 - 시스템점검
 - 유지보수
 - 작동방식
 - 점검매뉴얼
 - 정기점검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전공
 - 
										
- 기계관련 학과
 - 로봇 시스템학과
 - 로봇과
 - 메카트로닉스관련 학과
 - 자동화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