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내용
학과소개
산업 전반에 기초 원료로 사용되는 산류, 알칼리류의 제품을 생산ㆍ출하하기 위하여 유틸리티와 원료, 공정개선에 따른 생 산, 설비, 품질을 관리하고 환경과 안전을 고려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일이다.
							능력단위
원료와 부재료 관리 (수준 : 4)
- 정의
 - 원료와 부재료 관리란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경제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구매계획 수립, 입고 검사, 저장과 시설관리, 입고 장비와 설비를 운용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구매계획 수립하기
 - 입고 검사하기
 - 저장과 시설 관리하기
 - 입고 장비와 설비 운용하기
 
 - 지식 및 기술
 - 
										
- 구매계획
 - 물질특성
 - 석유화학
 - 안전규정
 - 원료
 - 이송장비
 - 저장방법
 - 저장시설
 - 준수태도
 - 품질규격
 - 환경규정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생산적
 - 안전우선
 - 인간적
 - 자율적
 - 합리적
 
 - 관련자격증
 - 
										
- 화학분석기능사
 - 화학분석산업기사
 
 
제품생산 (수준 : 5)
- 정의
 - 제품생산이란 프로세스별 공정을 원활하게 연결하여 최종 제품이 생산될 수 있도록 가동 전 현장준비, 원료와 부재료 투입, 제품 생산, 공정을 관리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공장 가동 전 준비하기
 - 원료와 부재료 투입하기
 - 제품 생산하기
 - 공정 관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DCS
 - 공장가동
 - 생산공정
 - 생산설비
 - 설비성능
 - 운전조건
 - 원료
 - 유틸리티
 - 제품생산
 - 준수태도
 - 투입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안전우선
 - 자율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화학분석기능사
 - 화학분석산업기사
 
 
공정개선 (수준 : 6)
- 정의
 - 공정개선이란 제품 생산성을 높이고 운전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하여 공정개선 계획,준비, 시험 운전, 공정개선 적용을 통해 제품의 품질과 공정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공정개선 계획하기
 - 공정개선 준비하기
 - 시험 운전하기
 - 공정개선 적용하기
 
 - 지식 및 기술
 - 
										
- 경우원인
 - 경제성평가
 - 공정
 - 공정개선
 - 공정데이터
 - 기술검토
 - 생산설비
 - 생산성
 - 석유화학
 - 시험운전
 - 원료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합리적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화학분석기능사
 - 화학분석산업기사
 
 
생산관리 (수준 : 4)
- 정의
 - 생산관리란 안정적인 생산하기 위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생산량, 재고량, 부산물, 제조원가를 관리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생산계획 수립하기
 - 생산량 관리하기
 - 재고량 관리하기
 - 부산물 관리하기
 - 제조원가관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공정운영
 - 공정이해
 - 납기일정
 - 물질수지
 - 부산물
 - 생산계획
 - 생산일정
 - 원가구성
 - 재고량
 - 저장설비
 - 제품생산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안전우선
 - 인간적
 - 자율적
 - 전략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화학분석기능사
 - 화학분석산업기사
 
 
설비관리 (수준 : 5)
- 정의
 - 설비관리란 산ㆍ알칼리 제조설비가 최적의 기능과 성능을 발휘하도록 유지·보수 계획을 수립하고 설비를 점검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유지ㆍ보수 계획하기
 - 유지ㆍ보수하기
 - 가동 전후 점검하기
 - 중점설비 관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등급기준
 - 보수계획
 - 설비
 - 설비관리
 - 설비매뉴얼
 - 설비운용
 - 설비점검
 - 유지관리비용
 - 준수태도
 - 중요도
 - 해당설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생산적
 - 안전우선
 - 인간적
 - 자율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화학분석기능사
 - 화학분석산업기사
 
 
품질관리 (수준 : 4)
- 정의
 - 품질관리란 제품의 품질관리를 위하여 원료와 부재료, 공정, 제품과 부산물의 품질을관리하고 사후 관리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원료와 부재료 품질관리하기
 - 공정 품질 관리하기
 - 제품과 부산물 품질관리하기
 - 사후 관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개구부
 - 공정
 - 공정품질
 - 관련부서
 - 관리규칙
 - 부산물
 - 식별표시
 - 원료
 - 중시
 - 특성이해
 - 품질관리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화학분석기능사
 - 화학분석산업기사
 
 
안전과 보건관리 (수준 : 5)
- 정의
 - 안전과 보건관리란 근로자의 안전ㆍ보건을 유지하고 회사의 재산을 보호하며 쾌적한작업환경 조성하기 위하여 안전 관리, 보건 관리, 작업환경과 위험성 평가, 안전ㆍ보건 교육을 실시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안전 관리하기
 - 보건 관리하기
 - 작업환경과 위험성 평가하기
 - 안전ㆍ보건 교육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공정안전관리
 - 교수법
 - 보건관리
 - 보건교육
 - 안전
 - 안전작업허가서
 - 위험성평가
 - 위험예방
 - 위험요소
 - 위험요인
 - 화학물질취급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화학분석기능사
 - 화학분석산업기사
 
 
환경관리 (수준 : 5)
- 정의
 - 환경관리란 산ㆍ알칼리 제조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최소화하고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오염 배출원 파악, 환경관리, 오염물질 처리, 사후 관리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오염 배출원 파악하기
 - 환경 관리하기
 - 오염물질 처리하기
 - 사후 관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공정이해
 - 석유화학
 - 위험물질
 - 음식물쓰레기
 - 정보공유
 - 처리기준
 - 화학물질관리법
 - 환경관리
 - 환경관리계획
 - 환경법규
 - 환경오염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산업안전산업기사
 - 환경기능사
 - 환경산업기사
 
 
유틸리티 운영과 관리 (수준 : 4)
- 정의
 - 유틸리티 운영과 관리는 안정적인 공정 운전과 제품 생산을 위하여 스팀, 전력, 특수가스, 용수의 관리와 공급에 대한 불안정한 상태에 대응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스팀 관리하기
 - 전력 관리하기
 - 특수가스와 용수 관리하기
 - 비상사태 대응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공급
 - 공정
 - 내부규정
 - 대응
 - 비상사태
 - 신속
 - 원단위
 - 유틸리티
 - 전력공급
 - 정상상태
 - 파악여부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생산적
 - 성실함
 - 안전우선
 - 자율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배관기능사
 - 배관산업기사
 - 전기
 - 화학분석
 
 
제품 보관과 출하 (수준 : 3)
- 정의
 - 제품보관과 출하는 제품저장과 출하를 위해 제품입고와 보관, 출하의뢰, 납기 일정관리, 사후관리를 운용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제품입고와 보관하기
 - 출하하기
 - 납기일정 관리하기
 - 사후 관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TANK
 - 납기관리
 - 납기일정
 - 사후관리
 - 저장설비
 - 저장시설
 - 제품보관
 - 제품입고
 - 제품출하
 - 중시
 - 출하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안전우선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관련자격증
 - 
										
- 품질경영산업기사
 - 화학분석기능사
 - 화학분석산업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