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내용
학과소개
위험물을 안전하게 출하ㆍ수송ㆍ저장하기 위하여 위험물 관련 법규 검토, 류별 위험물질의 위험성과 취급기준을 파악하고, 운송ㆍ운반 시 사고대응조치와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일이다.
							능력단위
관련법규 적용 (수준 : 2)
- 정의
 - 관련법규 적용은 안전한 운송ㆍ운반을 위해 도로교통 법규, 국내외 위험물안전관리 법규를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도로교통 법규 적용하기
 - 위험물 안전관리 법규 적용하기
 - 기타 위험물 관련 국내법 파악하기
 - 위험물 관련 국제법 파악하기
 
 - 지식 및 기술
 - 
										
- 관리법규
 - 도로교통
 - 도로교통법
 - 법규
 - 법규적용
 - 서식작성
 - 안전기준
 - 위험물
 - 위험물사고
 - 위험물안전
 - 위험물운송
 
 - 수행태도
 -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책임감
 
 - 관련자격증
 - 
										
- 위험물기능사
 - 위험물산업기사
 - 위험물운송자
 
 - 관련훈련
 -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실기)
 - 소방시설관리사 필기B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필기와 실기)
 - 위험물산업기사 자격취득(이론 실기)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필기)
 - 위험물기능사 자격취득(이론 실기)
 
 
위험물 분류 (수준 : 4)
- 정의
 - 위험물 분류는 관련 용어 조사, 관련 자료 수집, 위험물 여부를 파악하여 분류하고 일반 취급요령에 활용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위험물 관련 용어 파악하기
 - 위험물 관련 자료 수집하기
 - 위험물 분류하기
 - 위험물 일반 취급요령 파악하기
 
 - 지식 및 기술
 - 
										
- 관련기준
 - 관련용어
 - 물리
 - 분류
 - 위험물
 - 위험물운송
 - 위험물질
 - 위험물취급
 - 일반
 - 자료수집
 - 취급요령
 
 - 수행태도
 - 
										
- 계량적
 - 관용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전략적
 - 합리적
 
 - 관련자격증
 - 
										
- 위험물기능사
 - 위험물산업기사
 - 위험물운송자
 
 - 관련훈련
 - 
										
- 소방시설관리사 필기B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필기와 실기)
 
 
4류 위험물 취급 (수준 : 3)
- 정의
 - 4류 위험물 취급은 위험물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성상ㆍ유해성 조사, 운송ㆍ저장ㆍ취급 방법, 화재 소화방법을 수립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성상ㆍ유해성 조사하기
 - 저장방법 확인하기
 - 취급방법 파악하기
 - 소화방법 수립하기
 
 - 지식 및 기술
 - 
										
- 관련기준
 - 성상
 - 소화
 - 소화기구
 - 소화방법
 - 안전
 - 위험물
 - 위험물취급
 - 유해성
 - 인지여부
 - 품목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책임감
 
 - 관련자격증
 - 
										
- 위험물기능사
 - 위험물산업기사
 - 위험물운송자
 
 - 관련훈련
 -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실기)
 - 소방시설관리사 필기B
 - 위험물 초급자과정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필기와 실기)
 - 위험물산업기사 자격취득(이론 실기)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필기)
 - 위험물기능사 자격취득(이론 실기)
 
 
"1, 6류 위험물 취급" (수준 : 3)
- 정의
 - 1, 6류 위험물 취급은 위험물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성상ㆍ유해성 조사, 운송ㆍ저장ㆍ취급 방법, 화재 소화 방법을 수립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성상ㆍ유해성 조사하기
 - 저장방법 확인하기
 - 취급방법 파악하기
 - 소화방법 수립하기
 
 - 지식 및 기술
 - 
										
- 관련기준
 - 성상
 - 소화
 - 소화기구
 - 소화방법
 - 안전
 - 위험물
 - 위험물취급
 - 유해성
 - 인지여부
 - 품목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책임감
 
 - 관련자격증
 - 
										
- 위험물기능사
 - 위험물산업기사
 - 위험물운송자
 
 - 관련훈련
 -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실기)
 - 소방시설관리사 필기B
 - 위험물 초급자과정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필기와 실기)
 - 위험물산업기사 자격취득(이론 실기)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필기)
 - 위험물기능사 자격취득(이론 실기)
 
 
"2, 5류 위험물 취급" (수준 : 3)
- 정의
 - 2, 5류 위험물 취급은 위험물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성상ㆍ유해성 조사, 운송ㆍ저장ㆍ취급 방법, 화재 소화 방법을 수립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성상ㆍ유해성 조사하기
 - 저장방법 확인하기
 - 취급방법 파악하기
 - 소화방법 수립하기
 
 - 지식 및 기술
 - 
										
- 관련기준
 - 성상
 - 소화
 - 소화기구
 - 소화방법
 - 안전
 - 위험물
 - 위험물취급
 - 유해성
 - 인지여부
 - 품목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책임감
 
 - 관련자격증
 - 
										
- 위험물기능사
 - 위험물산업기사
 - 위험물운송자
 
 - 관련훈련
 -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실기)
 - 소방시설관리사 필기B
 - 위험물 초급자과정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필기와 실기)
 - 위험물산업기사 자격취득(이론 실기)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필기)
 - 위험물기능사 자격취득(이론 실기)
 
 
3류 위험물 취급 (수준 : 3)
- 정의
 - 3류 위험물 취급은 위험물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성상ㆍ유해성 조사, 운송ㆍ저장ㆍ취급 방법, 화재 소화 방법을 수립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성상ㆍ유해성 조사하기
 - 저장방법 확인하기
 - 취급방법 파악하기
 - 소화방법 수립하기
 
 - 지식 및 기술
 - 
										
- 관련기준
 - 성상
 - 소화
 - 소화기구
 - 소화방법
 - 안전
 - 위험물
 - 위험물취급
 - 유해성
 - 인지여부
 - 품목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책임감
 
 - 관련자격증
 - 
										
- 위험물기능사
 - 위험물산업기사
 - 위험물운송자
 
 - 관련훈련
 -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실기)
 - 위험물 초급자과정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필기와 실기)
 - 위험물산업기사 자격취득(이론 실기)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필기)
 - 위험물기능사 자격취득(이론 실기)
 
 
위험물 운송ㆍ운반시설 기준 파악 (수준 : 3)
- 정의
 - 위험물 운송ㆍ운반시설 기준 파악은 운송ㆍ운반 기준, 위치ㆍ구조ㆍ설비 기준, 운송ㆍ운반시설 구조와 시설을 파악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운송ㆍ운반 기준 파악하기
 - 위치ㆍ구조ㆍ설비 기준 파악하기
 - 운송시설 구조 파악하기
 - 운반시설 파악하기
 
 - 지식 및 기술
 - 
										
- 구조
 - 설비기준
 - 안전
 - 운반기준
 - 운반시설
 - 운송
 - 위험물
 - 위험물운송
 - 이동탱크저장소
 - 인지여부
 - 적재방법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관련자격증
 - 
										
- 위험물기능사
 - 위험물산업기사
 - 위험물운송자
 
 - 관련훈련
 - 
										
- 소방시설관리사 필기B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실기)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필기와 실기)
 - 위험물산업기사 자격취득(이론 실기)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필기)
 - 위험물기능사 자격취득(이론 실기)
 
 
위험물 운송ㆍ운반 관리 (수준 : 4)
- 정의
 - 위험물 운송ㆍ운반 관리는 운송ㆍ운반 계획을 수립하고 운송ㆍ운반에 관한 전ㆍ후 안전조치와 시설을 점검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운송ㆍ운반 계획 수립하기
 - 운송ㆍ운반 전 안전조치하기
 - 운송ㆍ운반 후 안전조치하기
 - 운송ㆍ운반 시설 점검하기
 
 - 지식 및 기술
 - 
										
- 보호장치
 - 운반
 - 운반계획
 - 운반관리
 - 운송
 - 위험물
 - 위험물운송
 - 점검항목
 - 차량점검
 - 취급소
 - 하역설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인간적
 - 자율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위험물기능사
 - 위험물산업기사
 - 위험물운송자
 
 - 관련훈련
 -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필기와 실기)
 
 
사고대응조치 (수준 : 4)
- 정의
 - 사고대응조치는 사고대응 매뉴얼을 파악하여 위험물 사고에 신속 정확하게 대응하고보고하며 사고현장을 수습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사고대응 매뉴얼 파악하기
 - 위험물 사고 대응하기
 - 위험물 사고 보고하기
 - 사고 현장 수습하기
 
 - 지식 및 기술
 - 
										
- 대응
 - 대응조치
 - 사고대응
 - 사고대응매뉴얼
 - 사고처리
 - 사고현장
 - 수습
 - 안전확보
 - 위험물
 - 위험물사고
 - 인지여부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인간적
 - 자율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위험물기능사
 - 위험물산업기사
 - 위험물운송자
 
 - 관련훈련
 - 
										
- 위험물기능사 자격증 취득(필기와 실기)
 
 
교육훈련 (수준 : 5)
- 정의
 - 교육훈련은 위험물을 안전하게 운송ㆍ운반하기 위하여 교육훈련 계획을 수립하고 준비하여 실시한 후 평가ㆍ반영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교육훈련 계획 수립하기
 - 교육훈련 준비하기
 - 교육훈련 실시하기
 - 교육훈련 평가ㆍ반영하기
 
 - 지식 및 기술
 - 
										
- 교안
 - 교안작성
 - 교육대상자
 - 교육훈련
 - 모범사례
 - 신뢰도
 - 안전교육
 - 운반관리
 - 위험물운송
 - 이해관계자
 - 점검장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관련자격증
 - 
										
- 위험물기능사
 - 위험물기능장
 - 위험물산업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