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내용
학과소개
주조는 용융 금속을 주형에 주입하여 제품을 만드는 작업으로, 합리적인 주형 및 공정 설계와 운영을 통하여 용도에 맞는 최적의 주조품을 생산하는 일이다.
							능력단위
고객 요구사항 파악 (수준 : 5)
- 정의
 - 고객 요구사항 파악이란 수주를 목적으로 고객이 제시하는 조건을 검토하고 고객과 상담하기 위한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고객 요구조건 검토하기
 - 제품원가 산정하기
 - 납기 협의 결정하기
 - 검사규격 설정하기
 
 - 지식 및 기술
 - 
										
- 2d/3d
 - 개발비
 - 고객
 - 산정
 - 생산방법
 - 수주
 - 제품개발계획서
 - 제품특성
 - 주조공정
 - 협상력
 - 협의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금속가공기술사
 - 금속기사
 - 금속재료기능장
 - 금속재료기술사
 - 주조기능장
 
 - 관련전공
 - 
										
- 금속
 - 신소재 등 관련학과
 
 
주조 생산계획 수립 (수준 : 4)
- 정의
 - 주조 생산계획 수립이란 주조가공 분야의 효율적인 생산준비, 일정 및 공정 등 생산계획을 수립하고 진행, 관리 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생산준비사항 파악하기
 - 생산일정계획 수립하기
 - 공정별 작업 지시하기
 - 생산공정 관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고객
 - 납기
 - 생산계획
 - 생산계획서
 - 생산공정
 - 생산일정계획
 - 설비관리
 - 주조
 - 주조방안
 - 진행관리
 - 현장교육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금속가공기술사
 - 금속기사
 - 금속재료기능장
 - 금속재료기술사
 - 주조기능장
 
 - 관련전공
 - 
										
- 금속
 - 신소재 등 관련학과
 
 
주조 공정 설계 (수준 : 4)
- 정의
 - 주조 공정 설계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최적의 생산 방법과 검사 규격을 고려한 주조방안을 설정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생산방법 설정하기
 - 주조방안 설계하기
 - 검사 기준서 작성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개구부
 - 금속
 - 기준서
 - 도면해독
 - 생산방법
 - 용해
 - 주조
 - 주조공정
 - 주조방안
 - 주형
 - 품질관리기법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금속가공기술사
 - 금속기사
 - 금속재료기능장
 - 금속재료기술사
 - 금속재료산업기사
 - 주조기능장
 - 주조산업기사
 
 - 관련전공
 - 
										
- 금속
 - 신소재 등 관련학과
 
 - 관련훈련
 - 
										
- 주조기술 기초 입문
 
 
원형 제작(구버전) (수준 : 4)
- 직무내용
 - 
										
- 원형의 종류 선정하기
 - 원형 설계하기
 - 원형 제작하기
 
 
조형 작업(구버전) (수준 : 3)
- 직무내용
 - 
										
- 조형방법 결정하기
 - 주형재료 준비하기
 - 조형하기
 
 
용해 작업(구버전) (수준 : 3)
- 직무내용
 - 
										
- 용해설비 결정하기
 - 용해하기
 - 출탕하기
 - 용해로 관리하기
 - 용탕 주입하기
 
 
주조품 후처리 (수준 : 2)
- 정의
 - 주조품 후처리란 용탕 주입 후, 정해진 해체 시간에 따라 주형을 해체하여 주조품을분리하고 탈사, 연마, 보수, 방청 등의 후처리를 실시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주형 해체하기
 - 주조품 탈사하기
 - 주조품 연마하기
 - 주조품 보수하기
 - 주조품 표면처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가열기
 - 관리운용
 - 분할면
 - 쇼트
 - 안전관리수칙
 - 압탕
 - 연마
 - 재질
 - 주조
 - 탕도
 - 후처리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보수적
 - 실용적
 - 인간적
 - 자율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열처리기능사
 - 주조기능사
 - 주조산업기사
 
 - 관련전공
 - 
										
- 금속
 - 신소재 등 관련학과
 
 
주조 품질관리(구버전) (수준 : 4)
- 직무내용
 - 
										
- 원부자재 입고 검사하기
 - 공정검사하기
 - 제품검사하기
 - 시험·검사결과 관리하기
 
 
주조 결함 발생 방지 대책 수립 (수준 : 4)
- 정의
 - 주조 결함발생 방지대책수립이란 주조품의 결함을 파악하고, 결함의 원인을 해결하기위한 대책을 수립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결함의 종류 분류하기
 - 결함 발생 원인 분석하기
 - 재발 방지 대책 수립하기
 
 - 지식 및 기술
 - 
										
- FMEA
 - 결함발생
 - 결함원인
 - 발생방지
 - 발생원인
 - 불량원인
 - 이물질혼입
 - 재발방지대책
 - 주조
 - 통계적관리
 - 파레토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전략적
 - 조직적
 
 - 관련자격증
 - 
										
- 금속가공기술사
 - 금속기사
 - 금속재료기능장
 - 금속재료산업기사
 - 기술사
 - 주조기능장
 - 주조산업기사
 
 - 관련전공
 - 
										
- 금속
 - 신소재 등 관련학과
 
 
주조 설비 관리 (수준 : 2)
- 정의
 - 주조 설비관리란 주조품 생산에 사용되는 주요설비의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유지 및 보수를 수행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일상점검하기
 - 정기·예방 점검하기
 - 용해설비 유지·보수하기
 - 주물사·처리설비 유지·보수하기
 - 후처리설비 유지·보수하기
 - 환경설비 유지·보수하기
 
 - 지식 및 기술
 - 
										
- 5s
 - 관능검사
 - 기계
 - 생활화
 - 설비
 - 설비점검표
 - 육안
 - 전기
 - 정비기술
 - 주물사
 - 주조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원형기능사
 - 주조기능사
 - 주조산업기사
 - 축로기능사
 
 - 관련전공
 - 
										
- 금속
 - 신소재 등 관련학과
 
 
특수 주조 (수준 : 4)
- 정의
 - 특수주조란 다이캐스팅, 인베스트먼트, 셀몰드, 저압주조, 원심주조 등 특수주조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설비상태 확인하기
 - 작업조건 관리하기
 - 주조작업하기
 - 부적합품 조치하기
 - 설비 관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금형
 - 다이캐스팅
 - 보조설비
 - 본체
 - 설비
 - 작업장안전수칙
 - 작업조건
 - 작업표준서
 - 주조
 - 주조기
 - 주조작업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보수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금속기사
 - 금속재료산업기사
 - 주조기능장
 - 주조산업기사
 
 - 관련전공
 - 
										
- 금속
 - 신소재 등 관련학과
 
 
주조 환경 안전보건관리(구버전) (수준 : 7)
- 직무내용
 - 
										
- 환경관련법 파악하기
 - 환경설비 관리하기
 - 산업안전보건 업무 파악하기
 - "산업안전, 보건관리 계획하기"
 - 위험요인 점검 감독하기
 
 
원형 설계 (수준 : 4)
- 정의
 - 원형 설계란 도면에 따라 원형을 설계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원형의 종료 선정하기
 - 원형 설계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골조
 - 금속
 - 분할면
 - 빼기구배
 - 생산방법
 - 석고형
 - 원형
 - 재질
 - 주조방안
 - 주철
 - 현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자율적
 - 조직적
 
 - 관련자격증
 - 
										
- 원형기능사
 - 주조기능사
 - 주조산업기사
 
 - 관련전공
 - 
										
- 금속
 - 신소재 등 관련학과
 
 
원형 제작 (수준 : 3)
- 정의
 - 원형 제작이란 도면에 따라 원형을 제작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일반 원형 제작하기
 - 특수 원형 제작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공구
 - 목재
 - 석고
 - 원형
 - 이론지식
 - 작업장안전수칙
 - 제작
 - 주조방안
 - 특수
 - 해독기술
 - 현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관련자격증
 - 
										
- 원형기능사
 - 주조기능사
 - 주조산업기사
 
 - 관련전공
 - 
										
- 금속
 - 신소재 등 관련학과
 
 
일반 주형 조형 작업 (수준 : 2)
- 정의
 - 일반 주형 조형 작업이란 목형과 주물사를 이용하여 주형을 제작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조형방법 결정하기
 - 주형재료 준비하기
 - 모래주형 조형하기
 
 - 지식 및 기술
 - 
										
- 규사
 - 배합
 - 용탕
 - 작업장안전수칙
 - 주물사
 - 주조방안
 - 주형
 - 중추
 - 코어
 - 형상
 - 혼련기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원형기능사
 - 주조기능사
 - 주조산업기사
 
 - 관련전공
 - 
										
- 금속
 - 신소재 등 관련학과
 
 
특수 주형 조형 작업 (수준 : 4)
- 정의
 - 특수 주형 조형 작업이란 일반적인 모래주형을 제외한 기타 조형작업을 총칭하는 것으로 자경성 주형, 셀주형, CO2주형, 풀몰드 주형 등의 주형을 제작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자경성주형 조형하기
 - 셸주형 조형하기
 - CO2주형 조형하기
 - 풀몰드주형 조형하기
 
 - 지식 및 기술
 - 
										
- 경화제
 - 발포
 - 배합
 - 사용지침서
 - 용탕
 - 원형
 - 제작
 - 조형
 - 주물사
 - 주형
 - 코어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원형기능사
 - 주조기능사
 - 주조산업기사
 
 - 관련전공
 - 
										
- 금속
 - 신소재 등 관련학과
 
 
주철 용해 작업 (수준 : 2)
- 정의
 - 주철 용해 작업이란 주철 용해 설비를 선정하고, 규격에 맞도록 장입물 성분을 계산하여 재료를 장입, 용해 후 성분과 온도를 조정, 확인하고 안전하게 출탕하여 주입하는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용해설비 결정하기
 - 용해로 관리하기
 - 용해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가열기
 - 슬래그
 - 용탕
 - 용탕온도
 - 용해
 - 용해설비
 - 용해작업
 - 장입
 - 주입
 - 주철
 - 화학성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과학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실용적
 - 인간적
 - 자율적
 - 합리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열처리기능사
 - 제선기능사
 - 주조기능사
 - 주조산업기사
 - 축로기능사
 
 - 관련전공
 - 
										
- 금속
 - 신소재 등 관련학과
 
 
비철금속 용해작업 (수준 : 4)
- 정의
 - 비철금속 용해 작업이란 비철금속 용해 설비를 선정하고, 규격에 맞도록 장입물 성분을 계산하여 재료를 장입, 용해 후 성분과 온도를 조정, 확인하고 안전하게 출탕하여주입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용해설비 결정하기
 - 용해로 관리하기
 - 용해 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가열기
 - 산화
 - 슬래그
 - 용탕
 - 용탕온도
 - 용해
 - 용해설비
 - 용해작업
 - 장입
 - 주입
 - 화학성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과학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실용적
 - 인간적
 - 자율적
 - 합리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열처리기능사
 - 제선기능사
 - 주조기능사
 - 주조산업기사
 - 축로기능사
 
 - 관련전공
 - 
										
- 금속
 - 신소재 등 관련학과
 
 
출탕 작업 (수준 : 2)
- 정의
 - 출탕 작업이란 재료를 용해 후 성분과 온도를 조정, 확인하고 안전하게 출탕하여 주입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출탕 하기
 - 용탕 주입하기
 
 - 지식 및 기술
 - 
										
- LADLE
 - 단열재
 - 슬래그
 - 용탕
 - 용탕온도
 - 용해
 - 접종
 - 주입
 - 주입온도
 - 주조
 - 화학성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과학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실용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집중력
 - 합리적
 
 - 관련자격증
 - 
										
- 열처리기능사
 - 제선기능사
 - 주조기능사
 - 주조산업기사
 - 축로기능사
 
 - 관련전공
 - 
										
- 금속
 - 신소재 등 관련학과
 
 
주조 공정관리 (수준 : 4)
- 정의
 - 주조 공정관리란 주조품 제조를 위한 수입검사, 공정검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성적서로 작성하여 제품의 품질을 관리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원부자재 입고 검사하기
 - 공정검사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각종규격
 - 개구부
 - 검사기준서
 - 금속조직
 - 시간내
 - 작업표준서
 - 조형
 - 주조
 - 주조공정
 - 화학성분
 - 후처리공정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금속기사
 - 금속재료산업기사
 - 금속재료시험기능사
 - 열처리기능사
 - 재료조직평가산업기사
 - 주조기능사
 - 주조산업기사
 
 - 관련전공
 - 
										
- 금속
 - 신소재 등 관련학과
 
 
주조 품질관리 (수준 : 4)
- 정의
 - 주조 품질관리란 주조품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성적서로 작성하여 제품의 품질을 관리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제품검사하기
 - 시험·검사결과 관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MT
 - UT
 - 각종규격
 - 개구부
 - 검사
 - 국제표준규격
 - 금속조직
 - 기계적성질
 - 비파괴검사
 - 시간내
 - 주조
 
 - 수행태도
 - 
										
- 계량적
 - 관용적
 - 기술적
 - 생산적
 - 신뢰감
 - 응용력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금속기사
 - 금속재료산업기사
 - 금속재료시험기능사
 - 열처리기능사
 - 재료조직평가산업기사
 - 주조기능사
 - 주조산업기사
 
 - 관련전공
 - 
										
- 금속
 - 신소재 등 관련학과
 
 
주조 환경 관리 (수준 : 4)
- 정의
 - 주조 환경관리란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아 관련법에 근거하여 관리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환경관련법 파악하기
 - 환경설비 관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관리실무
 - 기계설비
 - 방지시설
 - 배출시설
 - 생산공정
 - 악취방지
 - 오염발생
 - 작업안전사항
 - 주조
 - 환경관리
 - 환경오염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보수적
 - 생산적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관련자격증
 - 
										
- 금속가공기술사
 - 금속기사
 - 금속재료기능장
 - 금속재료기술사
 - 주조기능장
 
 - 관련전공
 - 
										
- 금속
 - 신소재 등 관련학과
 
 
주조 안전보건관리 (수준 : 2)
- 정의
 - 주조 안전보건관리란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작업자의 안전과 보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아 관련법에 근거하여 관리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산업안전보건업무 파악하기
 - 산업안전 보건관리 계획하기
 - 위험요인 점검 감독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감독
 - 기계
 - 보건
 - 산업안전보건
 - 안전보건
 - 안전보건관리
 - 위험요소
 - 위험요인
 - 인화성
 - 작업환경관리
 - 주조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보수적
 - 생산적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관련자격증
 - 
										
- 금속가공기술사
 - 금속기사
 - 금속재료기능장
 - 금속재료기술사
 - 주조기능장
 
 - 관련전공
 - 
										
- 금속
 - 신소재 등 관련학과
 
 
주조 작업장 정리 (수준 : 2)
- 정의
 - 주조 작업장 정리란 작업완료 후 수공구, 자재를 상태 별로 관리하고 작업현장 정리 및 청결을 유지 할 수 있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수공구 정리하기
 - 작업장 정리정돈하기
 - 자재 정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공구
 - 사용가능
 - 수공구
 - 자재
 - 잔여자재
 - 재사
 - 정리정돈
 - 주조
 - 지여부
 - 청소도구
 - 폐기물처리
 
 - 수행태도
 -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친환경적
 - 합리적
 
 - 관련자격증
 - 
										
- 금속가공기술사
 - 금속기사
 - 금속재료기능장
 - 금속재료기술사
 - 주조기능사
 - 주조기능장
 
 - 관련전공
 - 
										
- 금속
 - 신소재 등 관련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