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내용
학과소개
철도신호제어시공은 설계도서 및 관련 법령(지침), 신호제어분야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신설 및 운행선의 철도신호제어 설비를 시공하여 열차의 안전 및 정시운행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직무를 의미한다.
							능력단위
신호제어시공계획 수립 (수준 : 6)
- 정의
 - 신호제어시공계획수립이란 열차안전 및 정시운행을 목적으로 하는 철도신호제어설비의설계기준 및 설계서를 검토하여 마스터플랜작성, 인력투입계획수립, 공정관리를 수행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설계서 검토하기
 - 마스터플랜 작성하기
 - 인력관리 계획 수립하기
 - 공정관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공사예정공정표
 - 공정계획
 - 공정관리
 - 마스터플랜
 - 설계서
 - 시방서
 - 신호조정
 - 신호편
 - 인력투입
 - 철도설계지침
 - 철도신호제어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성실함
 - 응용력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공정관리기사
 - 전기공사기사
 - 전기기사
 - 철도신호기사
 - 품질경영기사
 
 - 관련전공
 - 
										
- 전자
 - 철도관련 학과(전기)
 - 통신
 
 
철도신호제어 시공품질관리 (수준 : 5)
- 정의
 - 철도신호제어 시공품질관리란 철도신호제어설비의 설계(시방서)기준 및 안전관련 법령, 품질관리지침 등에 따라 산업안전보건교육하기, 철도사고예방활동하기, 안전작업협의하기, 품질관리 계획수립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철도사고예방활동하기
 - 안전작업 협의하기
 - 품질관리 계획수립하기
 - 산업안전보건 교육하기
 
 - 지식 및 기술
 - 
										
- 법령
 - 사고방지
 - 산업안전보건
 - 시공순서
 - 시공품질
 - 안전
 - 인솔
 - 철도사고
 - 철도사고예방
 - 철도신호제어
 - 품질관리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신중함
 - 실천적
 - 안전우선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전기공사기사
 - 전기기사
 - 철도신호기사
 
 - 관련전공
 - 
										
- 전자
 - 철도관련 학과(전기)
 - 통신
 
 - 관련훈련
 - 
										
- 철도안전전문기술자철도신호분야(설계 시공 감리)
 
 
자재 수급 관리 (수준 : 4)
- 정의
 - 자재수급관리란 철도신호제어설비의 설계(시방서)기준 및 시방서 등에 따라 자재 조달계획수립하기, 자재검사하기, 자재관리하기를 수행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자재 조달계획 수립하기
 - 자재 검사하기
 - 자재 관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ks규격
 - 데이터시트
 - 수행태도
 - 시방규정
 - 시방서
 - 자재
 - 자재관리
 - 자재물량
 - 자재수급
 - 철도설계편람
 - 철도신호제어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실용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공정관리기사
 - 전기기사
 - 철도신호기사
 - 품질경영기사
 
 - 관련전공
 - 
										
- 전자
 - 철도관련 학과(전기)
 - 통신
 
 
전선로 시공 (수준 : 2)
- 정의
 - 전선로 시공이란 설계편람 및 공사 시방서에 따라 전선로 루트 선정하기, 신호관로시공하기, 신호제어케이블 시공하기를 수행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전선로 루트 선정하기
 - 관로 시공하기
 - 신호제어케이블 시공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공동구
 - 노반
 - 설계서
 - 시공
 - 시방서
 - 전선관
 - 철도설계편람
 - 취부
 - 케이블
 - 케이블트레이
 - 트로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성실함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전기공사기능사
 - 전기기능사
 - 철도전기신호기능사
 
 - 관련전공
 - 
										
- 전자
 - 철도관련 학과(전기)
 - 통신
 
 
현장신호설비시공 (수준 : 2)
- 정의
 - 현장신호설비시공이란 설계편람 및 공사 시방서에 따라 신호기장치 시공하기, 궤도회로장치 시공하기, 선로전환기 장치 시공하기, 폐색장치 시공하기를 수행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신호기장치 시공하기
 - 궤도회로장치 시공하기
 - 선로전환기장치 시공하기
 - 폐색장치 시공하기
 
 - 지식 및 기술
 - 
										
- 구성기기
 - 궤도회로
 - 궤도회로장치
 - 기기동작
 - 선로전환기
 - 설계서
 - 설치
 - 수행태도
 - 신호기
 - 폐색신호기
 - 폐색장치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자율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전기공사기능사
 - 전기기능사
 - 철도전기신호기능사
 
 - 관련전공
 - 
										
- 전자
 - 철도관련 학과(전기)
 - 통신
 
 - 관련훈련
 - 
										
- 철도안전전문기술자철도신호분야(설계 시공 감리)
 
 
연동장치 시공 (수준 : 5)
- 정의
 - 연동장치 시공이란 설계편람 및 공사 시방서에 따라 전원설비 시공, 역 단위 계전기실시공, 연동검사 시행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기기 랙 설치하기
 - 기기 간 케이블 연결하기
 - 역단위 계전기 설치하기
 - 연동검사시행하기
 
 - 지식 및 기술
 - 
										
- SMPS
 - 결선
 - 계전기
 - 기기동작
 - 수행태도
 - 시공
 - 연동장치
 - 전기회로
 - 철도설계편람
 - 케이블
 - 통신방식
 
 - 수행태도
 - 
										
- 계량적
 - 관용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전기공사산업기사
 - 전기산업기사
 - 철도신호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자
 - 철도관련 학과(전기)
 - 통신
 
 
전원설비 시공 (수준 : 3)
- 정의
 - 전원설비 시공이란 설계편람 및 지침, 설계서에 따라 배전설비 시공, 무정전전원장치시공, 직류전원장치 시공, 접지 시공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배전설비 시공하기
 - 무정전 전원장치 시공하기
 - 직류전원장치 시공하기
 - 접지 시공하기
 
 - 지식 및 기술
 - 
										
- 2차전지
 - NFB
 - 무정전전원장치
 - 방전
 - 변압기
 - 시공
 - 전원설비
 - 접지봉
 - 접지시공
 - 접지저항측정
 - 직류전원장치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과학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전기공사산업기사
 - 전기산업기사
 - 철도신호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자
 - 철도관련 학과(전기)
 - 통신
 
 
열차제어장치 시공(구버전) (수준 : 5)
- 직무내용
 - 
										
- 열차자동제어장치(ATC) 시공하기
 - 열차자동방호장치(ATP) 시공하기
 - 열차자동운전장치(ATO) 시공하기
 - 열차자동정지장치(ATS) 시공하기
 - 열차 무선제어장치(CBTC/KRTCS) 시공하기
 
 
열차집중제어장치 시공 (수준 : 3)
- 정의
 - 열차집중제어장치 시공은 관제소에서 관제가 가능하도록 정보전송장치, 표시제어장치를 시공하고 인터페이스를 시험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정보전송장치 시공하기
 - 표시제어장치 시공하기
 - 인터페이스 시험하기
 
 - 지식 및 기술
 - 
										
- CPU
 - 관제센터
 - 대형표시반
 - 부속장비
 - 시공
 - 연동장치
 - 제어명령
 - 콘솔
 - 통신경로
 - 통신상태
 - 확인능력
 
 - 수행태도
 -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보수적
 - 자율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무선설비산업기사
 - 산업계측제어산업기사
 - 전기공사산업기사
 - 전기산업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철도신호산업기사
 - 컴퓨터시스템운용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자
 - 철도관련 학과(전기)
 - 통신
 
 
안전설비 시공 (수준 : 3)
- 정의
 - 안전설비시공이란 열차 운행시 안전확보를 위해 건널목보안장치, 검지장치 등을 시공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건널목보안장치 시공하기
 - 검지장치 시공하기
 - 기타 안전설비 시공하기
 
 - 지식 및 기술
 - 
										
- 건널목보안장치
 - 검지장치
 - 경보장치
 - 구성부품
 - 기기동작
 - 기능테스트
 - 보호장치
 - 분기기
 - 시공
 - 열차운행
 - 철도설계편람
 
 - 수행태도
 -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보수적
 - 성실함
 - 자율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무선설비산업기사
 - 산업계측제어산업기사
 - 전기공사산업기사
 - 전기산업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철도신호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자
 - 철도관련 학과(전기)
 - 통신
 
 
운행선 절체 (수준 : 4)
- 정의
 - 운행선 절체는 시공 작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정체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실제작업을 시행할 수 있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절체작업계획서 작성하기
 - 절체작업 시행하기
 
 - 지식 및 기술
 - 
										
- 기능시험
 - 시행
 - 시험계획
 - 운행
 - 운행선
 - 인력배치
 - 작업계획서
 - 절체
 - 절체작업
 - 투입인력
 - 협의능력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자율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무선설비산업기사
 - 산업계측제어산업기사
 - 전기공사산업기사
 - 전기산업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철도신호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자
 - 철도관련 학과(전기)
 - 통신
 
 
시공결과 검사 (수준 : 5)
- 정의
 - 시공결과 검사는 시공 완료 후 작동 여부에 대한 종합검사를 실시하고, 완료 후 준공검사를 실시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종합시험하기
 - 준공검사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개구부
 - 검사
 - 계획수립
 - 기능시험
 - 신호
 - 인수인계
 - 종합시험
 - 준공
 - 준공도
 - 준공도서
 - 한국전기철도기술협력회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성실함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전기공사기사
 - 전기기사
 - 철도신호기사
 
 - 관련전공
 - 
										
- 전자
 - 철도관련 학과(전기)
 - 통신
 
 
열차제어 ATC/ATO 시공 (수준 : 3)
- 정의
 - 열차제어 ATC/ATO 시공이란 철도설계편람 및 지침, 설계서에 따라 열차자동제어장치및 열차자동운전장치에 필요한 선로변 설비 시공하기, 열차자동제어장치 시공하기 등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선로변 설비 시공하기
 - 열차자동제어장치 시공하기
 - 열차자동운전장치 시공하기
 
 - 지식 및 기술
 - 
										
- ATC
 - ATO
 - 기기동작
 - 성능시험
 - 시공
 - 신호조정
 - 연계시스템
 - 열차제어
 - 주파수
 - 차상
 - 철도설계편람
 
 - 수행태도
 -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자율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무선설비산업기사
 - 산업계측제어산업기사
 - 전기공사산업기사
 - 전기산업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철도신호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자
 - 철도관련 학과(전기)
 - 통신
 
 
열차제어 ATP/ ATS 시공 (수준 : 3)
- 정의
 - 열차제어 ATP/ATS 시공이란 철도설계편람 및 지침(신호제어편), 설계서에 따라 열차방호 및 정시운행에 필요한 선로변 설비 시공, ATS 지상자 설치, 열차자동방호장치시공 등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선로변 설비 시공하기
 - 열차자동방호장치 시공하기
 - 열차자동정지장치 시공하기
 
 - 지식 및 기술
 - 
										
- ATO
 - ATP
 - ATS
 - 기기동작
 - 발리스
 - 수행태도
 - 신호현시
 - 열차제어
 - 지상자
 - 차상
 - 철도설계편람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자율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무선설비산업기사
 - 산업계측제어산업기사
 - 전기공사산업기사
 - 전기산업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철도신호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자
 - 철도관련 학과(전기)
 - 통신
 
 
열차제어 CBTC 시공 (수준 : 3)
- 정의
 - 열차제어 CBTC 시공이란 설계편람 및 지침(신호제어편), 설계서와 시방서에 따라 열차 상호 보호 및 정시운행에 필요한 선로변설비 시공, 네트워크/데이터 통신설비 시공,열차이동권한 연속설정기능 검증 등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선로변 설비 시공하기
 - 네트워크/데이터 통신설비 시공하기
 - 열차이동권한 연속설정기능 검증하기
 
 - 지식 및 기술
 - 
										
- ATC
 - ATO
 - ATP
 - 기기동작
 - 기본이론
 - 데이터전송
 - 데이터통신
 - 수행태도
 - 열차제어
 - 철도설계편람
 - 트랜스폰더
 
 - 수행태도
 -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자율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무선설비산업기사
 - 산업계측제어산업기사
 - 전기공사산업기사
 - 전기산업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철도신호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자
 - 철도관련 학과(전기)
 - 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