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항공보안 / 직무사전

운전·운송 > 항공운전·운송 > 항공운항

직무내용

학과소개

항공보안이란 공항시설과 민간항공기안에서의 불법행위로 부터 탑승자, 공항종사자, 일반인, 항공기, 관련시설을 보호하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항공보안기획, 보안검색, 항공기보안, 보호구역경비, 출입통제, 보안장비관리, 항공보안현장감독, 항 공보안교육, 위기관리, 비상상황관리, 수준관리와 같은 활동을 수행하는 일이다.

능력단위

항공보안기획 (수준 : 7)

정의
항공보안기획이란 최신 항공보안 국제동향에 부합하는 보안법규 제·개정관련 검토의견제시, 보안정책 수립, 중장기계획 수립, 자체보안 계획수립, 보호구역 지정, 보안협력업체 관리를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보안법규 제·개정관련 검토·의견제시하기
  • 보안정책 수립하기
  • 중장기계획 수립하기
  • 자체보안계획 수립하기
  • 보호구역 지정하기
  • 출입증규정 수립하기
  • 협력업체 관리하기
지식 및 기술
  • 공항시설
  • 관련기관
  • 국가
  • 보호구역
  • 상호협력
  • 자체보안
  • 항공보안
  • 항공보안법
  • 항공테러
  • 협력업체
  • 환경변화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과학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사교적
  • 사명감
  • 생산적
  • 성실함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전략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현실적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항공보안교관 교육과정
  • 항공보안관리자
  • 항공보안전문가
관련전공
  • 항공경영학
  • 항공교통물류
  • 항공교통학
  • 항공우주법학
관련훈련
  • 공항/항공사 보안책임자(감독자) 초기교육

공항보안검색 (수준 : 3)

정의
공항보안검색이란 탑승객, 승무원, 상주직원 등이 보호구역 출입 시 신체, 휴대물품,위탁수하물을 검색하여 위해물품이 반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승객·승무원 검색하기
  • 상주직원 검색하기
  • 휴대물품 검색하기
  • 위탁수하물 검색하기
지식 및 기술
  • X-RAY
  • 검색
  • 검색장비
  • 보안검색
  • 승객
  • 위탁수하물
  • 위해물
  • 위해물품
  • 적발
  • 항공보안
  • 휴대물품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과학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사명감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전략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보안검색사
관련전공
  • 보안검색학과
  • 항공보안과
관련훈련
  • 항만보안검색요원 신규
  • 보안검색특별과정(EDS판독교육)
  • 보안검색요원 초기교육

항공화물보안검색 (수준 : 3)

정의
항공화물 보안검색이란 항공기에 탑재되는 화물 및 우편물에 대해 공항에서 화물접수시 화주의 신원확인, 운송차량의 이상 유무, 항공화물의 위해물품 반입 확인과 같이보안 특이사항을 확인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화주 신원확인하기
  • 항공화물 검색하기
  • 항공화물시설 경비하기
지식 및 기술
  • X-RAY
  • 검색장비
  • 보안검색
  • 위해물품
  • 출입
  • 항공기
  • 항공보안
  • 항공보안법
  • 항공사
  • 항공화물
  • 화물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과학적
  • 규범적
  • 기술적
  • 보수적
  • 사교적
  • 사명감
  • 성실함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집중력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보안검색사
관련전공
  • 보안검색학과
  • 항공보안과
관련훈련
  • 보안검색요원 초기교육

항공기 보안 (수준 : 3)

정의
항공기 보안이란 항공기가 지상에 주기 시 허가되지 않은 자와 위해물품이 항공기에무단으로 접근 또는 탑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내 출입자 신분확인, 기내식, 기용품 등 기내 탑재물품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운항 전 항공기 내·외부를 점검하는능력이다.
직무내용
  • 항공기 내·외부 검색하기
  • 탑재 기내식 검색하기
  • 항공기 경비하기
  • 항공기 출입자 신분확인하기
  • 항공기 출입자 검색하기
  • 항공기 탑승객 확인하기
지식 및 기술
  • 기내식
  • 보안검색
  • 보호구역
  • 승객
  • 위해물품
  • 자체보안
  • 출입자
  • 항공기
  • 항공기내
  • 항공보안
  • 항공보안법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사교적
  • 사명감
  • 성실함
  • 순발력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조직적
  • 집중력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전공
  • 항공보안 관련학과

보호구역 경비 (수준 : 3)

정의
보호구역 경비란 공항 시설 내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비인가자의 침입을 방지하고보호구역 감시, 순찰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경비인력배치하기
  • 공항 내·외곽 순찰하기
  • 공항 시설물 경비하기
지식 및 기술
  • CCTV
  • 경비
  • 경비업법
  • 공항시설
  • 보호구역
  • 비인가자
  • 상황발생
  • 시설물
  • 자체보안
  • 초동조치
  • 탐조등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사명감
  • 생산적
  • 성실함
  • 순발력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집중력
  • 책임감
  • 협동적
관련전공
  • 항공보안 관련학과

보호구역 출입통제 (수준 : 3)

정의
보호구역 출입통제란 보호구역에 출입하는 인원, 차량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하여출입증 발급, 출입자 신분확인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출입증 신청자 신원조사하기
  • 출입증 발급하기
  • 사진촬영 허가하기
  • 출입인원·차량 확인하기
지식 및 기술
  • 보호구
  • 보호구역
  • 사진촬영
  • 신원조사
  • 신청
  • 차량
  • 출입
  • 출입증
  • 출입증발급
  • 출입차량
  • 출입통제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집중력
  • 책임감
  • 협동적
관련전공
  • 항공보안 관련학과

보안장비관리 (수준 : 5)

정의
보안장비관리란 보안장비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보안장비의 도입, 설치, 유지보수, 운영,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보안장비 도입검토·설치하기
  • 보안장비 운영하기
  • 보안장비 유지보수하기
  • 기내보안장비 운영하기
지식 및 기술
  • 검색장비
  • 기내보안장비
  • 보안
  • 보안장비
  • 성능
  • 운영기준
  • 유지보수
  • 장비유지보수
  • 장애발생
  • 항공보안
  • 항공보안법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과학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생산적
  • 성실함
  • 안전우선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효율적
관련자격증
  • 기사
  • 전기/전자/정보통신관련 산업기사
관련전공
  • 전기/전자/정보통신/X-ray(방사선
관련훈련
  • 보안검색요원 초기교육

항공보안현장 감독 (수준 : 4)

정의
항공보안현장 감독하기란 항공보안 현장에서의 공항보안검색, 화물보안검색, 공항 보호구역 경비, 항공비 경비 등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관리·감독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공항보안검색 감독하기
  • 화물보안검색 감독하기
  • 공항경비 감독하기
  • 항공기경비 감독하기
지식 및 기술
  • 감독
  • 경비
  • 보안검색
  • 보안요원
  • 세부절차
  • 승객
  • 위탁수하물
  • 위해물품
  • 항공기
  • 항공보안
  • 항공보안법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사명감
  • 생산적
  • 성실함
  • 실천적
  • 인간적
  • 자기희생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전공
  • 보안검색학과
  • 항공보안과

항공보안교육 (수준 : 6)

정의
항공보안교육이란 항공보안종사자의 직무역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교육계획 수립, 과정개발, 강사양성,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교육계획 수립하기
  • 교육과정 개발하기
  • 보안교육 강사 양성하기
  • 보안요원 교육하기
지식 및 기술
  • 강사
  • 교안
  • 교육
  • 교육계획
  • 교육과정
  • 교육기관
  • 교육생
  • 교육훈련
  • 항공보안
  • 항공보안법
  • 훈련지침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논리적
  • 독창적
  • 보수적
  • 사교적
  • 성실함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전략적
  • 책임감
  • 합리적
  • 현장중심적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항공보안 교관양성 과정이수
관련전공
  • 교육/항공보안관련학과
관련훈련
  • 보안검색요원 초기교육

항공보안 위기관리 (수준 : 7)

정의
항공보안 위기관리란 항공테러를 방지하기 위하여 항공운송 전 분야에 대해 위험요소를 발굴하고 위험평가 프로그램을 통해 위협 요인을 제거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위협평가하기
  • 위험관리하기
  • 위해인물 관리하기
  • 의심승객 적발하기
지식 및 기술
  • 국가
  • 승객
  • 우발계획
  • 위해인물
  • 위험상황
  • 위협
  • 탑승
  • 항공기
  • 항공보안
  • 항공보안법
  • 항공테러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과학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보수적
  • 사교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전공
  • SeMS
  • 항공경영
  • 항공교통물류
  • 항공교통학
  • 항공우주법학 SMS

항공보안 비상상황관리 (수준 : 6)

정의
항공보안 비상상황관리란 공항과 항공기 내에서의 상황실운영, 폭발물·생화학물질의처리, 항공기 납치행위 조치, 위협정보 입수, 조치 등 비상상황 발생 시 대응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상황실 운영하기
  • 폭발물처리하기
  • 생화학처리하기
  • 비상훈련실시하기
지식 및 기술
  • 관계기관
  • 물질
  • 비상대응훈련
  • 비상상황
  • 상황실
  • 생화학
  • 처리장비
  • 폭발물
  • 폭발물처리
  • 항공보안
  • 항공테러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사교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전략적
  • 조직적
  • 책임감
  • 친환경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생화학 처리기사
  • 폭발물 처리기사
관련전공
  • SMS
  • SeMS
  • 항공경영
  • 항공교통물류
  • 항공교통학
  • 항공우주법학
  • 화공과

항공보안 수준관리 (수준 : 7)

정의
항공보안 수준관리란 항공보안업무가 적절하게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보안평가, 점검, 현장조사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평가하기
  • 점검하기
  • 현장조사하기
지식 및 기술
  • 공항운영
  • 보안점검
  • 불시
  • 실기시험
  • 위반사항
  • 자체보안
  • 점검결과
  • 항공보안
  • 항공보안수준
  • 항공사
  • 현장조사
수행태도
  • 겸손
  • 계획적
  • 과학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보수적
  • 사교적
  • 생산적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전공
  • SeMS
  • 항공경영
  • 항공교통물류
  • 항공교통학
관련훈련
  • 공항/항공사 보안책임자(감독자) 초기교육
  • 보안검색요원 초기교육

직무사전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