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교과서연구원 / 직업사전
교육직 > 장학관 및 기타 교육 종사자 > 장학관·연구관 및 교육 전문가
직무개요
직무개요
디지털 교과서(동영상,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등의 멀티미디어와 통합 제공하며,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과 학습자의 특성과 능력 수준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도록 구현된 학생용 교과서)를 개발한다.
수행직무
수행직무
교육부, 스마트교육추진위원회, 교육청,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등에 소속되어 디지털교과서를 개발을 위한 해외 정책동향 분석, 교육과정 기반의 교과내용에 대한 연구, 다양한 멀티미디어자료에 대한 연구, 평가문항 및 학습관리에 대한 연구, 학습내용에 대한 흥미 및 이해도에 대한 연구,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연구, 교수학습 지원에 대한 연구, 시각장애인·지체부자유자 등 장애인 특성에 맞는 콘텐츠 및 학습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관련 법·제도 정비에 대한 연구 등을 수행한다.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스마트학습 모델을 개발하고, 시범사업(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을 운용한다. 기존 e-교과서(PDF형식) 및 디지털교과서 시범사업을 분석한다. 디지털교과서 기술 연구진(디지털교과서 표준플랫폼 개발, 클라우드컴퓨팅시스템 개발, 스마트교육 학교인프라 구축, 교육용 정보화기기 개발 등의 연구를 수행)과 협의한다. 그 외에 연구원(일반)이 수행하는 일반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부가직업정보
구분 | 내용 |
---|---|
교육수준 | 14년 초과 ~ 16년 이하(대졸 정도) |
숙련기간 | 1년 초과 ~ 2년 이하 |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실내 |
직무기능 |
|
유사명칭 |
|
관련직업 | |
한국고용직업분류명 | 장학관·연구관 및 교육 전문가 |
한국표준직업분류명 | 디지털교과서연구원 |
한국표준산업분류명 | [M702]인문 및 사회과학 연구개발업 |
조사년도 | 2012 |
직업사전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