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망개발기획원 / 직업사전
정보통신 연구개발직 및 공학기술직 > 컴퓨터하드웨어·통신공학 기술자 > 통신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직무개요
직무개요
전파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통신망 연동 및 통합계획을 수립하고 차세대 전송망 발전계획 등을 수립한다.
수행직무
수행직무
교환망 계위별 루팅체계와 현황을 분석하고 접속트래픽(traffic : 통화량) 및 시외트래픽의 증가에 따른 시내외 망의 구조를 개선한다. 멀티미디어시대에 대비하여 공중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Network)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의 증가에 대비한 교환망 구조개선 및 고도화를 실시한다. 집중과금방식(CAMA : Centralized Automatic Message Accounting System 전자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요금부과 데이터를 전산국의 요금부과 수집장치까지 실시간으로 신뢰성을 유지하며 온라인 자동 전송하여 요금처리업무의 자동화 및 일일 단위의 요금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방식)에 의한 과금계획을 수립한다. 상호접속제공 교환기에 타사업자 서비스에 대한 과금계획을 수립한다. 전화국간 전송망의 관로 통신구 등 기초시설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차세대 전송망 발전계획을 수립한다. 음성 및 영상 데이터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광대역통합망(BcN :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을 개발 및 기획한다. IPV6, 4G등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한다. 유선방송(CATV : Cable TV)전송망, 국제전송망·가입자망, 지능망 및 신호망의 중장기 계획을 수립한다. 주파수 자원의 이용계획을 수립하고 무선국 관리 전산 시스템의 구축을 추진한다. 번호계획을 수립한다. 공중통신망의 통화권, 시내전화망, 시외통신망, 국제통신망, 데이터 통신망에 대한 루팅체계 및 통신망의 현황을 분석하여 상호접속 표준 모델을 설정하며 상호접속계획을 수립한다. 초고속통신, 무선인터넷의 신규고객의 증가에 따른 전용회선의 증설을 검토하고 관련자료를 수집·분석하여 각 지역의 특성에 따른 선로의 가설계획을 수립한다. 각종 중계설비의 설치에 관련된 기술적인 타당성을 검토하기도 한다.
부가직업정보
구분 | 내용 |
---|---|
교육수준 | 14년 초과 ~ 16년 이하(대졸 정도) |
숙련기간 | 2년 초과 ~ 4년 이하 |
작업강도 | 아주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실내 |
직무기능 |
|
유사명칭 |
|
관련직업 | |
자격/면허 |
|
한국고용직업분류명 | 통신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
한국표준직업분류명 | 통신망개발기획원 |
한국표준산업분류명 | [J612]전기 통신업 |
조사년도 | 2014 |
직업사전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