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교육과 / 학과정보
교육계열
학과소개
학과소개
적성/흥미
관련학과/교과목
관련학과/교과목
- 컴퓨터교육과
- 기술교육과
- 건설공학교육과
- 기계교육과
-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 전자공학교육과
- 화학공학교육과
주요 교과목
컴퓨터교육과 : 컴퓨터가 생활의 필수품이 되면서 교육에 있어서도 컴퓨터의 중요성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초, 중, 고 교육과정에 컴퓨터를 다루는 단원 및 교과가 새로이 등장함에 따라 이를 담당할 전문교사의 양성이 시급해졌습니다. 컴퓨터교육과는 정보 및 컴퓨터 관련 교과목을 통해 컴퓨터교육을 담당할 중등교사를 양성할 목적으로 개설된 학과입니다. 컴퓨터관련 전문지식의 교육은 물론 컴퓨터교육 과정과 설계방법, 컴퓨터교육을 위한 각종 교수-학습방법, 컴퓨터교육용 교재연구 및 개발방법, 컴퓨터교육 평가방법 등에 관하여 교육합니다.
‡ 기초과목 : 교육학개론, 교육심리학, 교육사회학, 교육과정 및 평가, 교육행정
‡ 심화과목 : 컴퓨터교육론, 컴퓨터교재론, 컴퓨터언어응용, 컴퓨터구조론, 선형대수학, 이산수학, 자료구조론, 데이터통신, 경영정보론, 암호학, 인공지능
취득 자격
구분 | 자격증 |
---|---|
국가자격 |
|
개설대학
진출직업
진출분야
중·고등학교, 교육부(교육행정직 공무원), 교육청, 교육연구소
기업체 : 학습지 및 교재개발업체, 사설학원, 사회교육원
취업현황
취업현황
학과/전공 | 입학자(명) | 졸업자(명) | 취업자(명) | 취업률 |
---|---|---|---|---|
대학교
(공학교육과) |
387
(지원 : 2,934) |
833 | 544 | 68 % |
한국교육개발원의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를 참조하여 해당 학과의 지원자, (성별)입학자, (성별)졸업자, (성별)취업자, 취업률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 자료와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입학 및 취업현황’은 조사시점에 따라 매년 변동되는 점을 감안하여 학과선택 시 참조자료로만 활용할 것을권합니다.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
(학교 구분에 있어 "대학교"는 '일반 4년제 대학+교육대학+산업대학+기술대학+사내대학(대학)+사이버대학(대학)+원격대학(대학)'을 합산한 것이며, "전문대학"은 '일반 전문대학+기능대학+사내대학(전문)+사이버대학(전문)+원격대학(전문)'을 합산하였습니다.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과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 다소 다름을 밝혀 둡니다.)
‣ 취업률(%) = 취업자/{졸업자-(진학자+입대자+취업불가능자+외국인유학생+제외인정자)}×100
‣ 졸업자: 2014년 8월 졸업자 및 2015년 2월 졸업자 대상
‣ 취업자 = 조사기준일 당시 직장건강보험가입자 및 해외취업자, 농림어업종사자, 개인창작활동 종사자, 1인창(사)업자, 프리랜서
‣ 진학자 = 국내전문대학+국내대학+국내대학원+국외전문대학+국외대학+국외대학원
‣ 취업불가능자 : 수형자, 사망자, 해외이민자, 6개월 이상 장기입원자
‣ 외국인유학생 : 외국국적을 가진 유학생(외국국적 재외동포 포함)
‣ 제외인정자 : 의료급여법 제3조(수급권자)에 의한 의료급여수급자, 항공종사자 전문교육기관 교육대상자, 여자 군인 중 임관 전 훈련생, 종교지도자 양성학과 졸업자, 경찰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소방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 입학자 = 2016년 3월 입학자 대상
학과정보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