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지역학과 / 학과정보
인문계열
학과소개
학과소개
적성/흥미
관련학과/교과목
관련학과/교과목
- 중국학과
- 일본학과
- 러시아학과
- 미국학과
- 국제지역학부
- 글로벌학부
- 동아시아학과
- 아시아학부
- 중남미학부
주요 교과목
국제지역학과 : 기존의 전공 간의 벽을 과감히 허물고, 세계화 시대에 맞는 능력 있는 국제지도자를 양성하는데 필요한 국제정치, 국제경영 및 국제경제, 해외 주요 지역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함양하는 학과입니다.
‡ 기초과목 : 국제관계론, 지역학개론, 제정치경제, 문화와 국제정치
‡ 심화과목 : 국제사회의 이해, 각 나라의 근현대사, 정치경제, 대외관계, 통상정책, 국제기구와 국제정치
일본학과 : 일본에 대한 문화개방이 매우 급진적으로 일어남에 따라 일본지역 전문가의 수요가 급증하였습니다. 일본학과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추세에 대응하여 사회의 각 방면에 기여할 수 있는 일본지역 전문가를 양성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본어 학습을 바탕으로 지리, 문화, 역사, 정치, 경제 등 일본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합니다.
‡ 기초과목 : 일어강독, 일어작문, 일어문학사, 일어학개론, 일음성학
‡ 심화과목 : 일어연습, 일어문법, 일본문화사, 일어회화, 시사일어, 상용한자, 일본근대사상사, 실무일어
중국학과 :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전반에 대한 지식을 쌓아 중국을 학문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연구자와 각 방면에서 실무에 종사할 수 있는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학과입니다. 따라서 중국어에 대한 학습도 이론이 아니라 능숙한 구사를 목표를 하고 있습니다. 저학년에서는 중국어 구사능력을 집중적으로 배양하며, 고학년에서는 중국 및 중화문화권에 대해 학습하게 됩니다.
‡ 기초과목 : 중국어회화, 중국고대문학사, 중국현대문학사, 중국학 세미나
‡ 심화과목 : 한문강독, 중국문화개론, 중국어연습, 제자백가 선독, 중국어실습, 시청각중국어, 시사중국어, 중국현대문학 선독, 고급중국어 작문, 중국어번역실습
미국학과 : 영미어·문학과는 영문학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는데 반해, 미국학과는 영어를 수단으로 영·미국 지역을 연구하는 학과입니다. 영어를 학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영어를 수단으로 하여 영미 지역의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국제사회의 변동에 대처할 수 있는 영미문화권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저학년에서는 영어구사력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고, 고학년에 올라가면 미국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됩니다.
‡ 기초과목 : 미국학개론, 영어회화, 영어작문, 언어와 문화, 미국문학개론
‡ 심화과목 : 미국문화사, 미국정부론, 미국사상사, 미국학조사방법론, 시사미국어, 현대미국문제특강, 한미관계론
독일학과 : 독일학과는 독일어 지식을 토대로 하여 독어독문학을 이해하고, 독일 관련 학문을 연구대상으로 합니다. 확실한 독일어구사능력을 바탕으로 독어독문학 뿐만 아니라 독일 관련 업무에 종사할 지역전문가를 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직접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 학문 및 전문지식 습득에 역점을 둡니다.
‡ 기초과목 : 입문독일어, 독일어 발음연습, LAB독일어, 기본독문읽기
‡ 심화과목 : 독일어회화, 시청각독일어연습, 독일문학의 흐름, 독일소설, 독일 심리언어학, 독일 응용언어학, 독일문학비평, 비즈니스 독일어
러시아학과 : 급변하는 세계정세와 함께 급격히 그 중요성이 높아져가고 있는 러시아 지역전문인을 양성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러시아어학과가 언어에 치중한다면, 러시아학과는 언어를 기본으로 정치, 경제, 역사, 사회, 문화, 문학 등 러시아 전반을 학습합니다. 저학년은 러시아어 구사력을 기르는데 집중하며, 고학년은 러시아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합니다.
‡ 기초과목 : 기초러시아어, 러시아학개론, 러시아 문학개론
‡ 심화과목 : 고대 러시아어 및 러시아어의 역사, 러시아 정치경제, 고급러시아어, 러시아 사상사, 러시아 문화특강
프랑스학과 : 프랑스학과는 프랑스를 연구대상으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학습을 수행하는 학과입니다. 프랑스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예술 등 전 분야에 걸친 학습이 이루어지며, 학문적 연구뿐만 아니라 실용적 지식들을 습득하는데도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프랑스학과는 이를 통해 한국과 프랑스의 문화·경제 교류에 기여할 수 있는 지역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 기초과목 : 프랑스어, 프랑스문학의 이해, 프랑스어와 문화
‡ 심화과목 : 프랑스어 문장과 번역, 프랑스 현대소설, 프랑스 문화비평, 프랑스 정치, 프랑스 사회, 프랑스 문화사, 프랑스 연구방법론, 유럽연합론, 프랑스 외교사
취득 자격
구분 | 자격증 |
---|---|
국가자격 |
|
개설대학
개설 대학교
전공 | 대학교 |
---|---|
G2(영ㆍ중)융합학부 | |
국제언어문화학부 | |
국제지역문화학전공 | |
국제지역전공 | |
국제지역학부 | |
국제통상ㆍ문화학부 | |
국제한국학전공 | |
글로벌지역문화학과 | |
글로벌지역학부 | |
글로벌학부 | |
글로벌한국학과 | |
글로벌한국학전공 | |
글로컬문화학부 | |
독일어권지역학전공 | |
동남아창의융합학부 | |
동북아문화산업학부 | |
동북아지역전공 | |
동아시아학과 | |
동아시아학부 | |
동아시아학연계전공 | |
러시아학과 | |
미국문화전공 | |
미국학전공 | |
브라질학과 | |
아랍지역학과 | |
아세안지역전공 | |
아시아문화학부 | |
아시아학부 | |
아시아학전공 | |
아프리카학부 | |
연계전공 라틴아메리카학 | |
연계전공 러시아학 | |
연계전공 미국학 | |
연계전공 유럽지역학 | |
연계전공 중국학 | |
영미문화계 | |
영미문화콘텐츠학과 | |
영미학과 | |
영미학전공 | |
영어권지역학전공 | |
영어영미지역학전공 | |
유라시아학과 | |
유럽문화ㆍ관광학과 | |
유럽문화전공 | |
유럽어문학과 | |
유럽언어문화학부 | |
유럽학과 | |
유럽학부 | |
유럽학부(EU지역통상전공) | |
유럽학전공 | |
융합일본지역학부 | |
인도지역전공 | |
인도학과 | |
인도학부(인도지역통상전공) | |
일본문화연계전공 | |
일본어권지역학전공 | |
일본학과 | |
일본학전공 | |
정치행정학부 북한학 전공 | |
중국ㆍ일본학부 일본학전공 | |
중국ㆍ일본학부 중국학전공 | |
중국듀얼디그리학과 | |
중국어권지역학전공 | |
중국학과 | |
중국학부 | |
중국학부(중국어전공) | |
중국학전공 | |
중남미학부 | |
중남미학전공 | |
중동ㆍ지중해지역학부 | |
중동학과 | |
중앙아시아학과 | |
프랑스어권지역학전공 | |
한-베지역통상전공 | |
한국ㆍ동아시아학전공 | |
한국학과 | |
한국학전공 | |
한중문화콘텐츠학과 |
진출직업
진출분야
기업체 : 국내외기업체의 해외지사, 무역회사, 항공사, 관광업체
정부 및 공공기관 : 외교부 등 정부의 대외관계 업무분야, 세계 및 지역 국제기구, 국제화된 비정부단체, 국제무역 관련 공공기관(KOTRA, KOICA)
취업현황
취업현황
학과/전공 | 입학자(명) | 졸업자(명) | 취업자(명) | 취업률 |
---|---|---|---|---|
대학교
(국제지역학과) |
4,343
(지원 : 26,396) |
2,909 | 1,574 | 58 % |
전문대학
(국제지역학과) |
34
(지원 : 161) |
34 | 9 | 47 % |
한국교육개발원의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를 참조하여 해당 학과의 지원자, (성별)입학자, (성별)졸업자, (성별)취업자, 취업률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 자료와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입학 및 취업현황’은 조사시점에 따라 매년 변동되는 점을 감안하여 학과선택 시 참조자료로만 활용할 것을권합니다.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
(학교 구분에 있어 "대학교"는 '일반 4년제 대학+교육대학+산업대학+기술대학+사내대학(대학)+사이버대학(대학)+원격대학(대학)'을 합산한 것이며, "전문대학"은 '일반 전문대학+기능대학+사내대학(전문)+사이버대학(전문)+원격대학(전문)'을 합산하였습니다.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과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 다소 다름을 밝혀 둡니다.)
‣ 취업률(%) = 취업자/{졸업자-(진학자+입대자+취업불가능자+외국인유학생+제외인정자)}×100
‣ 졸업자: 2014년 8월 졸업자 및 2015년 2월 졸업자 대상
‣ 취업자 = 조사기준일 당시 직장건강보험가입자 및 해외취업자, 농림어업종사자, 개인창작활동 종사자, 1인창(사)업자, 프리랜서
‣ 진학자 = 국내전문대학+국내대학+국내대학원+국외전문대학+국외대학+국외대학원
‣ 취업불가능자 : 수형자, 사망자, 해외이민자, 6개월 이상 장기입원자
‣ 외국인유학생 : 외국국적을 가진 유학생(외국국적 재외동포 포함)
‣ 제외인정자 : 의료급여법 제3조(수급권자)에 의한 의료급여수급자, 항공종사자 전문교육기관 교육대상자, 여자 군인 중 임관 전 훈련생, 종교지도자 양성학과 졸업자, 경찰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소방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 입학자 = 2016년 3월 입학자 대상
학과정보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