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학과 / 학과정보
사회계열
학과소개
학과소개
적성/흥미
관련학과/교과목
관련학과/교과목
- 국제학부
- 국제관계학과
- 글로벌경제학과
주요 교과목
국제관계학과에서는 외국어 및 국제관계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국제정치, 국제경제 및 지역연구를 교육합니다. 또한 국제정세, 지역연구, 국내정세와 통일연구, 국제기구와 실무분야 등을 연구함으로써, 정치, 외교, 사회, 경제, 문화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릅니다. 다양한 국제문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영어와 제2외국어를 할 수 있으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 기초과목 : 국제관계이론, 정치학개론, 다문화사회론, 세계정치론, 국제교류론, 외교정책론, 국제기구론
‡ 심화과목 : 국제협상론, 국제관계론, 국제협력론, 국제문제론, 국제분쟁론, 국제관계사, 국제정치경제론, 비교정치체제론, 국제문제연구방법론, 정치과정과 변화, 한국의 국제관계, 국제화와 한국의 정치경제, 아메리카지역연구, 일본지역연구, 중국지역연구, 동북아관계론, 중동아프리카연구
취득 자격
구분 | 자격증 |
---|---|
국가자격 |
|
민간자격 |
|
개설대학
개설 대학교
전공 | 대학교 |
---|---|
Department of International Relations | |
East Asian Politics and Culture | |
FTA국제학부 국제경영전공 | |
FTA국제학부 국제금융전공 | |
FTA국제학부 국제물류전공 | |
Global Studies Program | |
International Business 전공 | |
International Studies과 | |
KMU International Business school | |
NGOㆍ시민정치전공 | |
NGO학과 | |
국제개발협력 | |
국제개발협력학부 | |
국제개발협력학전공 | |
국제경상학부 | |
국제경제통상학과 | |
국제관계ㆍ행정학부 | |
국제관계학-빅데이터분석학 전공 | |
국제관계학과 | |
국제관계학부 | |
국제관계학전공 | |
국제무역경제학부 | |
국제비서ㆍ경제금융학부(경제금융전공) | |
국제학과 | |
국제학부 | |
국제학부 국제관계학과 | |
국제학부 국제산업정보학과 | |
국제학전공 | |
국제협력전공 | |
글로벌경제통상학부 | |
글로벌경제학과 | |
글로벌코리아전공 | |
글로벌파트너십연계전공 | |
글로벌학부 | |
동아시아국제학부 | |
상경학부 | |
스크랜튼학부 | |
아시아비즈니스국제학과 | |
언더우드 국제학전공 | |
언더우드학부 | |
영어ㆍ글로벌경영학과 | |
일본문화연계전공 | |
정치국제학과 | |
정치안보국제학과 | |
중국정경전공 | |
지미카터국제학부 | |
지속개발협력전공 | |
한국발전과국제개발협력연계전공 |
진출직업
진출분야
기업체 : 무역회사, 유통회사, 기타 통상관련 업체, 언론사 국제부, 기업체 국제업무 및 해외개발 담당부서, 국제회의 및 이벤트기획사
정부 및 공공기관 :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국제통상직, 출입국관리직 공무원), 한국수출입은행,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소 : 대외법률연구소, 국제문제연구소
국제기구 : 세계무역기구(WTO) 등
취업현황
취업현황
학과/전공 | 입학자(명) | 졸업자(명) | 취업자(명) | 취업률 |
---|---|---|---|---|
대학교
(국제학과) |
3,028
(지원 : 24,850) |
1,761 | 953 | 63 % |
한국교육개발원의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를 참조하여 해당 학과의 지원자, (성별)입학자, (성별)졸업자, (성별)취업자, 취업률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 자료와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입학 및 취업현황’은 조사시점에 따라 매년 변동되는 점을 감안하여 학과선택 시 참조자료로만 활용할 것을권합니다.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
(학교 구분에 있어 "대학교"는 '일반 4년제 대학+교육대학+산업대학+기술대학+사내대학(대학)+사이버대학(대학)+원격대학(대학)'을 합산한 것이며, "전문대학"은 '일반 전문대학+기능대학+사내대학(전문)+사이버대학(전문)+원격대학(전문)'을 합산하였습니다.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과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 다소 다름을 밝혀 둡니다.)
‣ 취업률(%) = 취업자/{졸업자-(진학자+입대자+취업불가능자+외국인유학생+제외인정자)}×100
‣ 졸업자: 2014년 8월 졸업자 및 2015년 2월 졸업자 대상
‣ 취업자 = 조사기준일 당시 직장건강보험가입자 및 해외취업자, 농림어업종사자, 개인창작활동 종사자, 1인창(사)업자, 프리랜서
‣ 진학자 = 국내전문대학+국내대학+국내대학원+국외전문대학+국외대학+국외대학원
‣ 취업불가능자 : 수형자, 사망자, 해외이민자, 6개월 이상 장기입원자
‣ 외국인유학생 : 외국국적을 가진 유학생(외국국적 재외동포 포함)
‣ 제외인정자 : 의료급여법 제3조(수급권자)에 의한 의료급여수급자, 항공종사자 전문교육기관 교육대상자, 여자 군인 중 임관 전 훈련생, 종교지도자 양성학과 졸업자, 경찰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소방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 입학자 = 2016년 3월 입학자 대상
학과정보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