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민속·미술사학과 / 학과정보
인문계열
학과소개
학과소개
적성/흥미
관련학과/교과목
관련학과/교과목
- 문화인류학과
- 미술사학과
- 문화재보존학과
- 고고미술사학과
- 문화콘텐츠학과
주요 교과목
문화인류학과 : 인류의 문화와 사회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지구상에 인간이 출현했을 때부터 현재까지의 인간에 대한 시대별 문화 및 사회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사례연구, 참여관찰을 통한 현지조사와 비디오테이프 등의 각종 영상물 분석으로 문화를 탐구합니다.
‡ 입문과목 : 인류학개론, 종교문화론, 한국민속학, 형질인류학, 민족과 역사, 인류학사, 문화학의 이해
‡ 심화과목 : 혼인과 가족, 종교와 문화, 언어와 문화, 문화변동론, 인류학 현지조사 및 실습, 고고학 현지조사 및 실습
미술사학과 : 문화사의 한 분야로 미술품을 통해 역사를 재구성하고 이해하는 학문입니다. 미술사의 연구분야는 크게 한국미술, 동양미술, 서양미술로 나뉘며, 학부에서는 이 세 분야를 모두 공부합니다. 전반적인 미술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미술작품을 감상하고 분석하며, 국내외 미술작품에 대한 조사와 답사, 사진촬영기술 습득, 논문작성 등과 같은 다양한 능력을 키우게 됩니다.
‡ 입문과목 : 한국미술사, 동양미술사, 서양미술사, 인도서역미술사, 일본미술사
‡ 심화과목 : 서양고대 및 중세미술, 르네상스 및 바로크미술, 서양근대미술, 서양현대미술, 미술사방법론, 미술사강독
문화재학과 : 인류가 남긴 유형의 문화유산을 연구하고 교육하는 학문으로 인류 유산을 보호하는데 필요한 여러 지식을 배웁니다. 각종 문화재를 돌보는 전문가를 양성하며 보존과학, 화학, 재료학, 보조환경학 등 자연과학과 기술학에 바탕을 둔 이론과 실험, 실습을 교육합니다.
‡ 입문과목 : 한국사사료강독, 박물관학개론, 화재실측의 기초, 문화재보존과학기초, 세계문화의 이해, 문화인류학개론
‡ 심화과목 : 금속유물보존처리, 한국고고학의 이해, 박물관전시수장환경론, 한국미술의 이해, 유럽고고학, 중국고고학, 한국금속공예사, 목제유물보존처리, 한국고문서의 이해
취득 자격
구분 | 자격증 |
---|---|
국가자격 |
|
민간자격 |
|
개설대학
개설 대학교
전공 | 대학교 |
---|---|
고고미술사학과 | |
고고미술사학과 미술사학전공 | |
고고미술사학전공 | |
고고인류미술사학과 | |
국제문화학과 | |
글로벌문화콘텐츠학부 | |
다문화학과 | |
동양문화학과 | |
디자인문화콘텐츠전공 | |
무형유산학과 | |
문화ICT융합전공 | |
문화ㆍ디자인 경영전공 | |
문화경영계열 | |
문화경영학과 | |
문화기획학전공 | |
문화산업전공 | |
문화서비스학전공 | |
문화예술콘텐츠학과 | |
문화유산융합학부 | |
문화인류학과 | |
문화재관리학과 | |
문화재보존과학과 | |
문화재보존학과 | |
문화재보존학전공 | |
문화재학과 | |
문화재학전공 | |
문화창의학부 | |
문화컨텐츠테크놀러지 | |
문화콘텐츠개발전공 | |
문화콘텐츠기획전공 | |
문화콘텐츠디자인전공 | |
문화콘텐츠전공 | |
문화콘텐츠학과 | |
문화콘텐츠학부 | |
문화콘텐츠학부(인문과학대학) | |
문화콘텐츠학전공 | |
문화테크노학과 | |
미디어문화학과 | |
미디어문화학부 | |
미술사학과 | |
미술학과 시각문화큐레이터전공 | |
미술학과(시각문화큐레이터전공) | |
미주통상ㆍ문화학과 | |
민속학과 | |
박물관학전공 | |
언더우드 문학과문화전공 | |
연합전공 동아시아비교인문학 | |
예술학과 | |
인류학과 | |
인문콘텐츠학부 한일문화콘텐츠학과 | |
일본문화콘텐츠학과 | |
전통문화학과 | |
차문화경영학과 | |
철학-동아시아문화학 전공 | |
큐레이터학과 | |
한국문화ㆍ경영전공 | |
한국문화전공 | |
한국문화정보학전공 | |
한국문화콘텐츠학과 | |
한국문화학부 | |
한영문화콘텐츠학과 |
진출직업
진출분야
기업체 : 신문사, 잡지사, 출판사
정부 및 공공기관 : 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시·도립 박물관, 대학 박물관), 문화재청, 지역문화원, 국가기록원, 국제기구
연구소 :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역사학연구원
취업현황
취업현황
학과/전공 | 입학자(명) | 졸업자(명) | 취업자(명) | 취업률 |
---|---|---|---|---|
대학교
(문화·민속·미술사학과) |
2,118
(지원 : 15,757) |
1,487 | 739 | 58 % |
전문대학
(문화·민속·미술사학과) |
486
(지원 : 2,150) |
229 | 129 | 63 % |
한국교육개발원의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를 참조하여 해당 학과의 지원자, (성별)입학자, (성별)졸업자, (성별)취업자, 취업률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 자료와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입학 및 취업현황’은 조사시점에 따라 매년 변동되는 점을 감안하여 학과선택 시 참조자료로만 활용할 것을권합니다.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
(학교 구분에 있어 "대학교"는 '일반 4년제 대학+교육대학+산업대학+기술대학+사내대학(대학)+사이버대학(대학)+원격대학(대학)'을 합산한 것이며, "전문대학"은 '일반 전문대학+기능대학+사내대학(전문)+사이버대학(전문)+원격대학(전문)'을 합산하였습니다.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과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 다소 다름을 밝혀 둡니다.)
‣ 취업률(%) = 취업자/{졸업자-(진학자+입대자+취업불가능자+외국인유학생+제외인정자)}×100
‣ 졸업자: 2014년 8월 졸업자 및 2015년 2월 졸업자 대상
‣ 취업자 = 조사기준일 당시 직장건강보험가입자 및 해외취업자, 농림어업종사자, 개인창작활동 종사자, 1인창(사)업자, 프리랜서
‣ 진학자 = 국내전문대학+국내대학+국내대학원+국외전문대학+국외대학+국외대학원
‣ 취업불가능자 : 수형자, 사망자, 해외이민자, 6개월 이상 장기입원자
‣ 외국인유학생 : 외국국적을 가진 유학생(외국국적 재외동포 포함)
‣ 제외인정자 : 의료급여법 제3조(수급권자)에 의한 의료급여수급자, 항공종사자 전문교육기관 교육대상자, 여자 군인 중 임관 전 훈련생, 종교지도자 양성학과 졸업자, 경찰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소방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 입학자 = 2016년 3월 입학자 대상
학과정보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