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공학과 / 학과정보
공학계열
학과소개
학과소개
학과소개동영상
적성/흥미
관련학과/교과목
관련학과/교과목
- 신소재공학과
- 나노신소재공학과
- 신소재응용과
- 융합신소재공학과
- 화학신소재학과
주요 교과목
신소재공학과에서는 각각의 소재에 대한 제조공정 및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공학 분야에서 요구되는 소재의 개발 및 사용에 적합한 물성을 다룹니다. 미래 산업사회가 요구하는 신소재의 개발을 위해서는 각 소재의 구조와 성질을 구분하는 기본 이론과 원리에 대한 이래가 필요하기 때문에 저학년에는 전공 기초지식을 학습하고, 고학년에는 각종 소재의 특성 및 실제로 응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학습합니다.
‡ 기초과목 : 소재기초과학, 소재열역학, 결정구조와 결함, 신소재공학실험, 신소재와 미래과학기술
‡ 심화과목 : 금속소재개론, 세라믹소재개론, 소재공정디자인, 소재분석기기, 소재가공학, 재료수치해석, 나노과학과 기술, 환경에너지 소재, 바이오소재
취득 자격
구분 | 자격증 |
---|---|
국가자격 |
|
개설대학
개설 대학교
전공 | 대학교 |
---|---|
금속소재공학전공 | |
금속신소재공학전공 | |
금형신소재공학과 | |
기계ㆍ신소재공학과 | |
기계ㆍ신소재공학과(신소재공학트랙) | |
기계ㆍ자동차공학과 | |
나노소재공학부 신소재공학전공 | |
나노소재공학부(에너지화공전공,신소재공학전공) | |
나노신소재공학과 | |
나노신소재공학부 | |
나노융합공학부 | |
나노응용공학과 | |
디스플레이신소재공학과 | |
바이오소재공학전공 | |
바이오소재과학과 | |
바이오시스템ㆍ소재학부 | |
부품소재공학과 | |
생명화학공학부 화공신소재학과 | |
세라믹신소재공학과 | |
신소재ㆍ화공시스템공학부 | |
신소재ㆍ화공시스템공학부 신소재공학전공 | |
신소재공학 | |
신소재공학과 | |
신소재공학부 | |
신소재공학부 금속신소재공학전공 | |
신소재공학부 정보소재공학전공 | |
신소재공학전공 | |
신소재금속공학과 | |
신소재시스템공학과 | |
신소재시스템공학전공 | |
신소재프로세스공학과 | |
신소재화학공학부 신소재공학과 | |
융합기술대학 | |
융합소재공학과 | |
융합신소재공학과 | |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 |
응용과학군정밀화학신소재학과 | |
응용소재공학과 | |
응용신소재공학전공 | |
의료신소재학과 | |
의약신소재전공 | |
정보전자신소재공학과 | |
차세대기술공학부 | |
첨단소재공학부 | |
탄소나노신소재공학과 | |
탄소융합공학과 | |
화공신소재고분자공학부 | |
화공신소재공학과 | |
화공신소재공학부 | |
화공신소재환경공학부 | |
화학공학ㆍ신소재공학부 | |
화학소재융합공학부 | |
화학신소재공학부 | |
화학신소재공학전공 | |
화학신소재전공 | |
화학신소재학과 |
진출직업
진출분야
기업체 : 소프트웨어개발업체, 컴퓨터개발업체, 게임개발업체, 모바일 프로그래밍업체, 웹프로그래밍업체, 웹페이지구축업체, 애니메이션관련업체, 영상물제작업체
정부 및 공공기관 :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취업현황
취업현황
학과/전공 | 입학자(명) | 졸업자(명) | 취업자(명) | 취업률 |
---|---|---|---|---|
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4,442
(지원 : 43,724) |
3,830 | 2,003 | 69 % |
전문대학
(신소재공학과) |
520
(지원 : 2,256) |
590 | 447 | 80 % |
한국교육개발원의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를 참조하여 해당 학과의 지원자, (성별)입학자, (성별)졸업자, (성별)취업자, 취업률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 자료와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입학 및 취업현황’은 조사시점에 따라 매년 변동되는 점을 감안하여 학과선택 시 참조자료로만 활용할 것을권합니다.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
(학교 구분에 있어 "대학교"는 '일반 4년제 대학+교육대학+산업대학+기술대학+사내대학(대학)+사이버대학(대학)+원격대학(대학)'을 합산한 것이며, "전문대학"은 '일반 전문대학+기능대학+사내대학(전문)+사이버대학(전문)+원격대학(전문)'을 합산하였습니다.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과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 다소 다름을 밝혀 둡니다.)
‣ 취업률(%) = 취업자/{졸업자-(진학자+입대자+취업불가능자+외국인유학생+제외인정자)}×100
‣ 졸업자: 2014년 8월 졸업자 및 2015년 2월 졸업자 대상
‣ 취업자 = 조사기준일 당시 직장건강보험가입자 및 해외취업자, 농림어업종사자, 개인창작활동 종사자, 1인창(사)업자, 프리랜서
‣ 진학자 = 국내전문대학+국내대학+국내대학원+국외전문대학+국외대학+국외대학원
‣ 취업불가능자 : 수형자, 사망자, 해외이민자, 6개월 이상 장기입원자
‣ 외국인유학생 : 외국국적을 가진 유학생(외국국적 재외동포 포함)
‣ 제외인정자 : 의료급여법 제3조(수급권자)에 의한 의료급여수급자, 항공종사자 전문교육기관 교육대상자, 여자 군인 중 임관 전 훈련생, 종교지도자 양성학과 졸업자, 경찰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소방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 입학자 = 2016년 3월 입학자 대상
학과정보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