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
학과소개
적성/흥미
관련학과/교과목
관련학과/교과목
- 아동학과
- 아동복지학과
- 아동가족학과
- 영유아보육학과
- 보육과
- 아동보육복지학과
주요 교과목
아동·청소년복지학과에서는 사회복지의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가정, 아동, 청소년 등 특정 복지대상에 대한 정책, 상담, 지원 등을 중점적으로 배우게 됩니다. 전문대학에서는 4년제 대학보다 실습교육을 더 중요시 하며, 청소년수련원,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시설 등에서의 현장실습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합니다.
‡ 기초과목 :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사회복지발달사
‡ 심화과목 : 정신건강론, 아동복지론, 재활치료, 상담심리, 가족관계와 가족상담치료, 특수아동지도, 청소년심리 및 상담, 의료복지행정, 자원봉사론, 언어재활치료, 사회복지현장실습
취득 자격
구분 | 자격증 |
---|---|
국가자격 |
|
개설대학
개설 대학교
전공 | 대학교 |
---|---|
가정아동복지학과 | |
가족자원경영학과 | |
뇌교육전공 | |
보육ㆍ가정상담학과 | |
보육학과 | |
복지상담학과 | |
복지상담학전공 | |
불교아동보육학과 | |
사회복지ㆍ아동학부 아동복지전공 | |
사회복지보육학과 | |
사회복지청소년학과 | |
아동ㆍ가정복지학전공 | |
아동ㆍ보육전공 | |
아동ㆍ생활복지전공 | |
아동ㆍ청소년복지학과 | |
아동ㆍ청소년학과 | |
아동가족복지학과 | |
아동가족상담학과 | |
아동가족전공 | |
아동가족학과 | |
아동복지융합학과 | |
아동복지전공 | |
아동복지학과 | |
아동복지학과(아동복지학) | |
아동복지학부 | |
아동복지학전공 | |
아동청소년복지상담학과 | |
아동청소년상담학전공 | |
아동학과 | |
아동학과(인문사회) | |
아동학부 | |
아동학부 아동가족학전공 | |
아동학부 아동학전공 | |
아동학전공 | |
여성학연계전공 | |
영유아보육학과 | |
영유아보육학전공 | |
유아보육학과 | |
청소년교육ㆍ상담학과 | |
청소년교육과 | |
청소년교육상담학과 | |
청소년문화.상담학과 | |
청소년복지전공 | |
청소년상담ㆍ평생교육학과 | |
청소년상담학과 | |
청소년상담학전공(연) | |
청소년지도학과 | |
청소년코칭상담학과 | |
청소년학과 | |
청소년학전공 | |
평생교육ㆍ청소년상담학과 | |
평생교육청소년학과 | |
평생교육학부 |
진출직업
진출분야
기업체 : 기업체 사회공헌 관련 부서, 병원, 사회복지시설
연구소 : 사회복지연구소, 사회조사연구소, 사회정책연구원, 사회과학연구소
정부 및 공공기관 :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사회복지직, 보호관찰직, 교정직, 소년보호직 공무원),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한국청소년상담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종합사회복지관
취업현황
취업현황
학과/전공 | 입학자(명) | 졸업자(명) | 취업자(명) | 취업률 |
---|---|---|---|---|
대학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
3,152
(지원 : 14,608) |
2,933 | 2,002 | 73 % |
전문대학
(아동·청소년복지학과) |
2,269
(지원 : 11,638) |
2,039 | 1,348 | 74 % |
한국교육개발원의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를 참조하여 해당 학과의 지원자, (성별)입학자, (성별)졸업자, (성별)취업자, 취업률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 자료와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입학 및 취업현황’은 조사시점에 따라 매년 변동되는 점을 감안하여 학과선택 시 참조자료로만 활용할 것을권합니다.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
(학교 구분에 있어 "대학교"는 '일반 4년제 대학+교육대학+산업대학+기술대학+사내대학(대학)+사이버대학(대학)+원격대학(대학)'을 합산한 것이며, "전문대학"은 '일반 전문대학+기능대학+사내대학(전문)+사이버대학(전문)+원격대학(전문)'을 합산하였습니다.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과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 다소 다름을 밝혀 둡니다.)
‣ 취업률(%) = 취업자/{졸업자-(진학자+입대자+취업불가능자+외국인유학생+제외인정자)}×100
‣ 졸업자: 2014년 8월 졸업자 및 2015년 2월 졸업자 대상
‣ 취업자 = 조사기준일 당시 직장건강보험가입자 및 해외취업자, 농림어업종사자, 개인창작활동 종사자, 1인창(사)업자, 프리랜서
‣ 진학자 = 국내전문대학+국내대학+국내대학원+국외전문대학+국외대학+국외대학원
‣ 취업불가능자 : 수형자, 사망자, 해외이민자, 6개월 이상 장기입원자
‣ 외국인유학생 : 외국국적을 가진 유학생(외국국적 재외동포 포함)
‣ 제외인정자 : 의료급여법 제3조(수급권자)에 의한 의료급여수급자, 항공종사자 전문교육기관 교육대상자, 여자 군인 중 임관 전 훈련생, 종교지도자 양성학과 졸업자, 경찰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소방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 입학자 = 2016년 3월 입학자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