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공학(의료장비)과 / 학과정보
의약계열
학과소개
학과소개
적성/흥미
관련학과/교과목
관련학과/교과목
- 의용공학과
- 의공학과
- 의료공학과
-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
- 의료보장구과
주요 교과목
의료공학과에서는 질병예방 및 진단, 치료를 위해 각종 진단기기, 측정기기, 치료기기 등 전자의료장비를 개발하여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첨단 전자 및 컴퓨터 지식의 이론 및 기술을 공부합니다. 의학기초지식을 기본적으로 배우고, 의료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는 장비와 인공뼈나 인공장기 등 생체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인공재료에 대해 학습합니다.
‡ 기초과목 : 일반생리학, 인체해부학, 의료공학개론, 의용계측공학, 기초전자공학
‡ 심화과목 : 방사선이론, 컴퓨터구조, 생체물성공학, 의용초음파, 생체조직공학, 의료영상처리, 임상의공학, 의학영상시스템, 의용재료, 재활기기학, 치료기기학
의료장비과에서는 각종 의료장비들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의료전자공학은 물론 컴퓨터프로그래밍언어의 이론과 기술도 함께 배웁니다. 의학과 공학이 만난 학문인만큼 기초적인 의학 지식에 더해 방사선기기, 초음파기기 등 다양한 의료장비를 다루는 실습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 기초과목 : 일반물리, 공업수학, 프로그래밍 언어, 회로이론
‡ 심화과목 : 진단기기학 실습, 방사선기기 실습, 치료기기학 실습
취득 자격
구분 | 자격증 |
---|---|
국가자격 |
|
개설대학
개설 대학교
전공 | 대학교 |
---|---|
Bio-health Engineering | |
IT의료데이터과학전공 | |
메디컬IT융합공학과 | |
바이오메디컬공학부 | |
바이오메디컬공학부(헬스케어기기공학전공) | |
바이오메디컬공학부(헬스케어정보공학전공) | |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 | |
바이오융합공학전공 | |
바이오의공학부 | |
보건의료공학전공 | |
생체공학전공 | |
생체의공학과 | |
웰니스융합학부 | |
의공학과 | |
의공학부 | |
의공학전공 | |
의료IT공학과 | |
의료IT공학전공 | |
의료IT융합전공 | |
의료IT융합학과 | |
의료IT학과 | |
의료공학(의료장비)과 | |
의료공학전공 | |
의료기계공학전공 | |
의료기기융합전공 | |
의료시스템공학전공 | |
의용공학과 | |
의용공학부 | |
의용공학전공 | |
의용메카트로닉스공학과 | |
의용생체공학과 | |
의학공학전공 | |
전기ㆍ생체공학부 | |
한방의료공학(의료장비)과 | |
헬스케어IT학과 | |
휴먼기계바이오공학부 |
진출직업
진출분야
의료기관 : 종합병원, 한방병원, 재활병원 등의 의공실, 치과병원의 치과기공실
기업체 : 의료기기 개발, 제조 및 판매업체, 의료기기 수·출입업체, 전기·전자 관련업체, 컴퓨터 제조 및 개발업체, 의료정보영상기기 개발업체, 치과기공소, 치과재료업체, 치과기자재업체
연구소 : 의료기기 관련연구소, 전기·전자 관련연구소
취업현황
취업현황
학과/전공 | 입학자(명) | 졸업자(명) | 취업자(명) | 취업률 |
---|---|---|---|---|
대학교
(의료공학(의료장비)과 ) |
1,159
(지원 : 8,000) |
1,044 | 629 | 71 % |
전문대학
(의료공학(의료장비)과 ) |
463
(지원 : 2,080) |
470 | 241 | 65 % |
한국교육개발원의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를 참조하여 해당 학과의 지원자, (성별)입학자, (성별)졸업자, (성별)취업자, 취업률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 자료와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입학 및 취업현황’은 조사시점에 따라 매년 변동되는 점을 감안하여 학과선택 시 참조자료로만 활용할 것을권합니다.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
(학교 구분에 있어 "대학교"는 '일반 4년제 대학+교육대학+산업대학+기술대학+사내대학(대학)+사이버대학(대학)+원격대학(대학)'을 합산한 것이며, "전문대학"은 '일반 전문대학+기능대학+사내대학(전문)+사이버대학(전문)+원격대학(전문)'을 합산하였습니다.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과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 다소 다름을 밝혀 둡니다.)
‣ 취업률(%) = 취업자/{졸업자-(진학자+입대자+취업불가능자+외국인유학생+제외인정자)}×100
‣ 졸업자: 2014년 8월 졸업자 및 2015년 2월 졸업자 대상
‣ 취업자 = 조사기준일 당시 직장건강보험가입자 및 해외취업자, 농림어업종사자, 개인창작활동 종사자, 1인창(사)업자, 프리랜서
‣ 진학자 = 국내전문대학+국내대학+국내대학원+국외전문대학+국외대학+국외대학원
‣ 취업불가능자 : 수형자, 사망자, 해외이민자, 6개월 이상 장기입원자
‣ 외국인유학생 : 외국국적을 가진 유학생(외국국적 재외동포 포함)
‣ 제외인정자 : 의료급여법 제3조(수급권자)에 의한 의료급여수급자, 항공종사자 전문교육기관 교육대상자, 여자 군인 중 임관 전 훈련생, 종교지도자 양성학과 졸업자, 경찰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소방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 입학자 = 2016년 3월 입학자 대상
학과정보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