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공학과 / 학과정보
공학계열
학과소개
학과소개
적성/흥미
관련학과/교과목
관련학과/교과목
- 자동차공학과
- 미래자동차공학과
- 스마트자동차공학과
- 자동차튜닝과
- 자동차과
주요 교과목
‘자동차(공학)과’는 대부분의 대학에서 기계공학과와 동일한 학부로 운영하고 있으며, 기계공학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자동차 개발과 생산, 정비 및 진단에 필요한 기술을 공부합니다. 또한 자동차구조, 자동차검사, 진동 및 소음, 성능분석 등을 위해 각종 실험·실습, 기업체 현장실습을 병행합니다. 최근의 자동차는 기계뿐만 아니라 첨단 전자장비시스템이 결합되기 때문에 전기 및 전자 관련 기술과 메카트로닉스 관련 강의 및 실습도 병행합니다.
전문대학의 자동차과에서는 자동차 및 자동차 관련 기계장비의 설계, 제작, 검사, 보수와 관련한 실무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대학에 따라 자동차 보험, 손해사정 관련 교육을 하기도 합니다.
‡ 기초과목 : 열역학, 유체역학, 재료역학, 자동차재료, 전기전자공학, 자동차공학개론, 자동차구조실습
‡ 심화과목 : 자동차역학, 에너지공학, 용접공학, 로봇공학, 연소공학, 기계진동학, 자동차메카트로닉스, 사고분석, 기관설계, 차체설계, 자동차신기술
취득 자격
구분 | 자격증 |
---|---|
국가자격 |
|
개설대학
개설 대학교
전공 | 대학교 |
---|---|
IT자동차학과 | |
글로벌자동차생산전공 | |
기계시스템미래자동차공학부 | |
기계시스템미래자동차공학부(기계시스템공학) | |
기계시스템미래자동차공학부(미래자동차공학) | |
기계융합시스템공학부(미래형자동차공학전공) | |
기계자동차계열 | |
기계자동차공학과 | |
기계자동차공학부 | |
기계자동차공학부(기계의용공학전공) | |
기계자동차공학부(야간) | |
기계자동차공학부(자동차공학전공) | |
기계자동차공학전공 | |
기계자동차로봇부품공학부 | |
기계자동차학부 | |
미래자동차공학과 | |
미래자동차공학부 | |
스마트자동차공학과 | |
스마트자동차공학부 | |
스마트자동차학과 | |
융합기술공과대학 계열 | |
융합기술공학부 자동차융합기술공학전공 | |
자동차ICT공학과 | |
자동차IT융합전공 | |
자동차IT융합학과 | |
자동차공학과 | |
자동차공학과 정밀기계시스템전공 | |
자동차공학부 | |
자동차공학부 지능형자동차전공 | |
자동차공학부 친환경자동차전공 | |
자동차공학전공 | |
자동차관리학과 | |
자동차기계공학과 | |
자동차기계공학전공 | |
자동차산업공학과 | |
자동차스마트부품산업학과 | |
자동차응용공학과 | |
자동차전자제어전공 | |
전기차제어전공 | |
전자IT기계자동차공학부 | |
제어자동화공학부 | |
지능형자동차공학부 |
진출직업
진출분야
기업체 : 각종 기계 및 관련 장비 생산업체, 산업기계제작회사, 자동차생산업체, 자동차부품 설계 및 생산업체, 자동차정비 및 검사업체 등
정부 및 공공기관 : 기계직 공무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취업현황
취업현황
학과/전공 | 입학자(명) | 졸업자(명) | 취업자(명) | 취업률 |
---|---|---|---|---|
대학교
(자동차공학과) |
2,856
(지원 : 19,408) |
1,991 | 1,301 | 73 % |
전문대학
(자동차공학과) |
7,085
(지원 : 50,361) |
5,379 | 3,578 | 71 % |
한국교육개발원의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를 참조하여 해당 학과의 지원자, (성별)입학자, (성별)졸업자, (성별)취업자, 취업률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 자료와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입학 및 취업현황’은 조사시점에 따라 매년 변동되는 점을 감안하여 학과선택 시 참조자료로만 활용할 것을권합니다.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
(학교 구분에 있어 "대학교"는 '일반 4년제 대학+교육대학+산업대학+기술대학+사내대학(대학)+사이버대학(대학)+원격대학(대학)'을 합산한 것이며, "전문대학"은 '일반 전문대학+기능대학+사내대학(전문)+사이버대학(전문)+원격대학(전문)'을 합산하였습니다.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과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 다소 다름을 밝혀 둡니다.)
‣ 취업률(%) = 취업자/{졸업자-(진학자+입대자+취업불가능자+외국인유학생+제외인정자)}×100
‣ 졸업자: 2014년 8월 졸업자 및 2015년 2월 졸업자 대상
‣ 취업자 = 조사기준일 당시 직장건강보험가입자 및 해외취업자, 농림어업종사자, 개인창작활동 종사자, 1인창(사)업자, 프리랜서
‣ 진학자 = 국내전문대학+국내대학+국내대학원+국외전문대학+국외대학+국외대학원
‣ 취업불가능자 : 수형자, 사망자, 해외이민자, 6개월 이상 장기입원자
‣ 외국인유학생 : 외국국적을 가진 유학생(외국국적 재외동포 포함)
‣ 제외인정자 : 의료급여법 제3조(수급권자)에 의한 의료급여수급자, 항공종사자 전문교육기관 교육대상자, 여자 군인 중 임관 전 훈련생, 종교지도자 양성학과 졸업자, 경찰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소방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 입학자 = 2016년 3월 입학자 대상
학과정보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