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학과 / 학과정보
교육계열
학과소개
학과소개
적성/흥미
관련학과/교과목
관련학과/교과목
- 특수교육과
- 초등특수교육과
- 중등특수교육과
- 유아특수교육과
- 특수체육교육과
주요 교과목
특수교육과 : 특수교육과는 언어장애, 정서장애, 지체장애, 정신지체 등 특수교육의 대상이 되는 모든 장애영역을 다룹니다. 학생 지도에 필요한 교육학 이론을 공부하며 학생의 장애영역에 따라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세부 교육내용을 학습합니다. 대부분 4년제 대학교의 사범대학에 개설되어 있으며 학교에 따라 특수교육과 내에서 유아특수교육, 초등특수교육, 중등특수교육 등으로 세분되기도 합니다.
‡ 기초과목 : 교육학개론, 생리학개론, 심리학개론, 사회복지학개론, 언어발달과 지도, 교육사회학, 교육심리학
‡ 심화과목 : 시각장애아교육, 정신지체아교육, 특수교육과 철학, 학습장애아교육, 정서장애아교육, 물리·작업치료, 중증중복장애아교육
유아특수교육과 : 영·유아 발달에 관한 문제와 발달지체 판별 그리고 발달지체 영·유아 교육중재에 관한 이론을 공부합니다. 교육실, 섭식지도실, 치료교육실, 유희실, 양호실 등에서 실습실운영을 통한 실습과 현장 위주의 전문적인 교육을 받게 됩니다. 0세부터 6세까지의 장애가 있거나 장애 위험이 있는 영·유아를 교육하는 유아특수 교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기초과목 : 특수교육개론, 유아특수교육개론, 영유아발달, 장애아행동지원 및 중재
‡ 심화과목 : 장애유아과학교육, 지체장애유아교육, 정서·행동장애유아교육, 장애아심리, 시각장애유아교육, 장애유아응용행동분석
언어치료학과 : 서로의 생각을 교류하고 이를 통해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만큼 의사소통은 사람에게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부분입니다. 언어치료학은 의사소통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의 문제를 파악하고 진단과 치료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복지관, 치료실, 어린이집, 병원, 학교 등 다양한 곳에서의 실습교육을 통해 언어치료 전문가 및 언어치료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기초과목 : 언어병리학개론, 재활학개론, 청각학개론, 발달심리학, 언어발달, 언어치료연구방법 및 통계
‡ 심화과목 : 언어장애진단 및 평가, 언어진단훈련, 보안대체의사소통, 학습장애언어치료, 대뇌생리학, 신경언어장애, 실험음성학, 청각장애언어치료
취득 자격
구분 | 자격증 |
---|---|
국가자격 |
|
민간자격 |
|
개설대학
개설 대학교
전공 | 대학교 |
---|---|
유아ㆍ특수교육과(심화과정) | |
유아특수교육과 | |
유아특수교육학과 | |
유아특수재활학과 | |
재활특수교육학과 | |
중등특수교육과 | |
중등특수교육전공 | |
중등특수교육학과 | |
초등특수교육과 | |
초등특수교육전공 | |
초등특수교육학과 | |
특수(통합)교육과(심화과정) | |
특수ㆍ상담ㆍ복지계열 | |
특수ㆍ통합교육과(심화전공) | |
특수교육과 | |
특수교육학과 | |
특수교육학부 | |
특수체육교육과 | |
특수체육교육학과 | |
특수체육전공 | |
특수체육학과 |
진출직업
진출분야
-학교 : 공·사립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의 특수학급(단, 공립학교의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교원임용고사에 합격해야 함)
-기타 : 특수 교육관련 공공기관 및 단체, 장애인복지관, 종합사회복지관, 병원부설 치료실, 상담실 등
취업현황
취업현황
학과/전공 | 입학자(명) | 졸업자(명) | 취업자(명) | 취업률 |
---|---|---|---|---|
대학교
(특수교육학과) |
1,983
(지원 : 10,196) |
1,863 | 958 | 54 % |
전문대학
(특수교육학과) |
407
(지원 : 1,401) |
412 | 277 | 77 % |
한국교육개발원의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를 참조하여 해당 학과의 지원자, (성별)입학자, (성별)졸업자, (성별)취업자, 취업률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 자료와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입학 및 취업현황’은 조사시점에 따라 매년 변동되는 점을 감안하여 학과선택 시 참조자료로만 활용할 것을권합니다.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
(학교 구분에 있어 "대학교"는 '일반 4년제 대학+교육대학+산업대학+기술대학+사내대학(대학)+사이버대학(대학)+원격대학(대학)'을 합산한 것이며, "전문대학"은 '일반 전문대학+기능대학+사내대학(전문)+사이버대학(전문)+원격대학(전문)'을 합산하였습니다.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과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 다소 다름을 밝혀 둡니다.)
‣ 취업률(%) = 취업자/{졸업자-(진학자+입대자+취업불가능자+외국인유학생+제외인정자)}×100
‣ 졸업자: 2014년 8월 졸업자 및 2015년 2월 졸업자 대상
‣ 취업자 = 조사기준일 당시 직장건강보험가입자 및 해외취업자, 농림어업종사자, 개인창작활동 종사자, 1인창(사)업자, 프리랜서
‣ 진학자 = 국내전문대학+국내대학+국내대학원+국외전문대학+국외대학+국외대학원
‣ 취업불가능자 : 수형자, 사망자, 해외이민자, 6개월 이상 장기입원자
‣ 외국인유학생 : 외국국적을 가진 유학생(외국국적 재외동포 포함)
‣ 제외인정자 : 의료급여법 제3조(수급권자)에 의한 의료급여수급자, 항공종사자 전문교육기관 교육대상자, 여자 군인 중 임관 전 훈련생, 종교지도자 양성학과 졸업자, 경찰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소방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 입학자 = 2016년 3월 입학자 대상
학과정보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