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VR콘텐츠디자인 / 직무사전

문화·예술·디자인·방송 > 디자인 > 디자인

직무내용

학과소개

VR콘텐츠디자인은 가상현실 스토리텔링에 의한 세계관에 따라 3D 객체 또는 360도 영상으로 구축된 가상 공간 내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경험을 습득할 수 있도록 가상현실 콘텐츠를 기획, 디자인, 프로그래밍하는 일이다.

능력단위

가상현실 공간파악 (수준 : 2)

정의
가상현실 공간파악이란 현실세계와 가상공간의 차이점을 인지하여 시각적 디바이스에 맞는 시스템 및 하드웨어 환경을 구성하고, 사용자 인지상태 분석을 통하여 상황에 맞는 대처법을 설계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가상현실 공간인지하기
  • 가상현실 인지공간 구현하기
  • 가상현실 사용현상 분석하기
지식 및 기술
  • 가상공간
  • 가상현실
  • 가상환경
  • 상태분석
  • 오감
  • 입력장치
  • 체험
  • 콘텐츠
  • 클라이언트
  • 표현
  • 플레이
수행태도
  • 감성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성실함
  • 심미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책임감
  • 현실적
  • 협동적

가상현실 스토리텔링 (수준 : 3)

정의
가상현실 스토리텔링이란 가상현실콘텐츠 제작을 위한 아이디어를 발상하고 세계관에 기반한 공간과 오브젝트의 도출 및 상호연관 관계의 확립을 통하여 구체화된 스토리텔링 프로세스를 설계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가상현실 아이디어 발상하기
  • 가상현실 스토리텔링 발상하기
  • 가상현실 스토리텔링 구체화하기
지식 및 기술
  • 가상현실
  • 구체화
  • 발상
  • 세계관
  • 소프트웨어활용
  • 순서도
  • 스토리텔링
  • 아이디어
  • 아이디어발상
  • 오브젝트
  • 인터넷활용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자율적
  • 적극적

가상현실 공간제작 (수준 : 3)

정의
가상현실 공간제작이란 리소스를 활용하여 3차원 가상공간과 환경을 구축하고, 구성요소들에 대한 객체제어 스크립트, 3D 입체사운드 기술을 통해 몰입도 높은 가상현실 공간을 제작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가상현실 리소스 활용하기
  • 가상현실 공간구성요소 구현하기
  • 가상현실 공간구성요소 제어하기
  • 3D 입체사운드 활용하기
지식 및 기술
  • 2d
  • 3d
  • 가상공간
  • 가상현실
  • 객체
  • 공간구성
  • 리소스
  • 사용가능
  • 스크립트
  • 스토리텔링
  • 이펙트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긍정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심미적
  • 자율적
  • 적극적
  • 효율적

가상현실 UI/UX 디자인 (수준 : 4)

정의
가상현실 UI/UX 디자인이란 가상현실콘텐츠 디자인을 위해 가상현실UI/UX 콘셉트를 디자인하고 시나리오를 제작하여 사용성을 검증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가상현실 UI/UX 콘셉트 디자인하기
  • 가상현실 UI/UX 시나리오 제작하기
  • 가상현실 UI/UX 사용성 검증하기
지식 및 기술
  • 3d
  • UI/UX
  • VR
  • ux디자인
  • 가상현실
  • 레이아웃
  • 사용성테스트
  • 스토리보드
  • 콘셉트디자인
  • 콘텐츠
  • 프로토타이핑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과학적
  • 관용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응용력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책임감
  • 협동적

가상현실 캐릭터디자인 (수준 : 4)

정의
가상현실 캐릭터디자인이란 가상현실 공간에서 활동할 수 있는 3D 캐릭터 디자인과 디지털 액터의 기본 동작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가상현실 캐릭터콘셉트 디자인하기
  • 가상현실 캐릭터 제작하기
  • 디지털 액터 제작하기
지식 및 기술
  • 3d모델링
  • 3d스캐너
  • 3d캐릭터
  • 가상현실
  • 기본동작
  • 레이아웃
  • 액터
  • 제작
  • 캐릭터
  • 캐릭터디자인
  • 텍스처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성실함
  • 실천적
  • 심미적
  • 응용력
  • 인간적
  • 자신감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합리적

가상현실 프로그래밍 (수준 : 3)

정의
가상현실 프로그래밍이란 가상현실의 객체, 배경, 이벤트 등 전반적인 콘텐츠를 설계, 프로그래밍하고 외부 API와 네트워크, 데이터 연동 및 멀티플랫폼으로 확장하여 가상현실콘텐츠를 구현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가상현실 공간구현 프로그래밍하기
  • 외부 API연동 프로그래밍하기
  • 멀티플랫폼지원 프로그래밍하기
지식 및 기술
  • API
  • SDK
  • 가상현실
  • 가상환경
  • 객체
  • 멀티플랫폼
  • 외부
  • 코딩
  • 프로그래밍
  • 프로그래밍언어
  • 플랫폼
수행태도
  • 계량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성실함
  • 응용력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씬(공간)디자인 후반작업 (수준 : 4)

정의
씬(공간)디자인 후반작업이란 가상현실 시나리오를 분석 및 파악하여 제작된 가상현실 콘텐츠에 필요한 연출과 가상현실 장치에 맞는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안정적이며 실감나는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도록 가상현실 공간과 장치를 동기화하고 물리적 현상을 적용하며 체험공간을 구체화하고 연출에 필요한 이미지와 영상을 편집 및 활용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가상공간과 디바이스 동기화하기
  • 가상공간에 물리적 현상 표현하기
  • 가상현실 체험공간 구체화하기
  • 가상공간연출 영상편집과 활용하기
지식 및 기술
  • 가상공간
  • 가상현실
  • 구체화
  • 동기화
  • 물리적
  • 연출
  • 영상
  • 체험공간
  • 클라이언트
  • 현상
  • 후반작업
수행태도
  • 계량적
  • 관용적
  • 긍정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성실함
  • 안전우선
  • 응용력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현실적
  • 협동적
  • 효율적

혼합현실 촬영영상 디자인 (수준 : 4)

정의
혼합현실 촬영영상 디자인이란 카메라 촬영을 통해 현실세계의 영상 데이터를 가공하고, 360도 영상 정합/병합과 이질적 혼합현실 객체 증강 및 공간 스캐팅 활용을 통하여 360도 가상현실 공간을 구체화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360도 영상 후가공하기
  • 이질적 혼합현실 객체 증강하기
  • 공간스캐닝 활용하기
지식 및 기술
  • 객체
  • 스캔
  • 영상
  • 영상촬영
  • 촬영영상
  • 콘텐츠
  • 파일형식
  • 편집능력
  • 편집작업
  • 피사체
  • 합성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규범적
  • 긍정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심미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현실적

가상현실 애니메이션 디자인 (수준 : 5)

정의
가상현실 애니메이션 디자인이란 3D 공간을 구성하고 객체 및 캐릭터를 정합하여 사용자 시점 변화에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리얼타임 애니메이션 파악하기
  • 사용자 시점 파악하기
  • 애니메이션 백그라운드 제작하기
  • 인터랙션 활용하기
지식 및 기술
  • 3d모델링
  • 가상현실
  • 객체
  • 기능요소
  • 로드
  • 백그라운드
  • 밸런싱
  • 애니메이션
  • 저작도구
  • 정합
  • 클러스터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효율적

가상현실게임디자인 (수준 : 5)

정의
가상현실게임디자인이란 가상현실게임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가상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따라 다양한 명령에 반응하는 캐릭터의 행동 표현과 인공지능으로 행동하는 상대적인 가상객체 사이의 상호 작용을 구체적으로 디자인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게임 인터랙션 구현하기
  • 게임 사용자 모션커맨드 구현하기
  • 리소스 활용하기
지식 및 기술
  • 가상공간
  • 가상현실
  • 게임
  • 게임기획
  • 레이아웃
  • 리소스
  • 음원
  • 인공지능
  • 인터랙션
  • 캐릭터
  • 편집기술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과학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자율적
  • 적극적
  • 책임감

가상현실 교육/훈련 콘텐츠디자인 (수준 : 6)

정의
가상현실 교육/훈련 콘텐츠디자인이란 콘셉트 설계, 단계별 콘텐츠 구현및 평가 모니터링을 통하여 교육/훈련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가상현실 교육/훈련 콘텐츠를 제작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교육/훈련 콘셉트 설계하기
  • 사용자 모션커맨드 활용하기
  • 교육/훈련 콘텐츠 제작하기
  • 평가 모니터링 프로그램 제작하기
지식 및 기술
  • 가상현실
  • 교육/훈련
  • 극대화
  • 기능단위
  • 레이아웃
  • 리소스
  • 설계
  • 제작
  • 콘텐츠
  • 콘텐츠기획
  • 프로그래밍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과학적
  • 규범적
  • 긍정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직무사전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