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고분자복합재료제조 / 직무사전

화학 > 석유·기초화학물 제조 > 기초유기화학물제조

직무내용

학과소개

고분자복합재료제조는 고객 요구사항과 시장분석에 따라 배합·공정설계, 혼련작업, 공정검사, 제품검사, 품질관리, 품질보증 외주관리, 시설유지보수, 시험제품 생산을 통하여 성능이 향상된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직무이다.

능력단위

고객 요구사항과 시장분석 (수준 : 6)

정의
고객 요구사항과 시장분석은 고분자복합재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고객 요구사항을파악하고 경제성, 시장동향, 기술을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고객요구사항 파악하기
  • 경제성 분석하기
  • 시장동향 분석하기
  • 기술 분석하기
지식 및 기술
  • 고객요구사항
  • 고분자복합
  • 국내외
  • 기술개발동향
  • 기술분석
  • 동향분석
  • 변동
  • 석유화학
  • 시장
  • 시장분석
  • 원가구조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재료공학
  • 화학
  • 화학공학

배합설계 (수준 : 5)

정의
배합설계는 고분자 수지와 복합물, 첨가제를 선정하고 마스터배치를 설계하는능력이다.
직무내용
  • 수지 선정하기
  • 복합물 선정하기
  • 첨가제 선정하기
  • 마스터배치 설계하기
지식 및 기술
  • 고분자복합
  • 기술자료
  • 마스터배치
  • 배합설계
  • 복합
  • 분석장치
  • 비율
  • 첨가제
  • 특성지식
  • 혼련
  • 혼합방법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과학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합리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관련훈련
  • 알기쉬운 플라스틱 압출성형기술
  • 고무성형기술

공정설계 (수준 : 5)

정의
공정설계는 배합설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혼련기를 선정하고, 혼련 공정을설계하여 적합한 포장방법을 결정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혼련기 선정하기
  • 혼련공정 설계하기
  • 혼련조건 설계하기
  • 포장방법 결정하기
지식 및 기술
  • 결정
  • 고분자복합
  • 공정설계
  • 분산
  • 원료
  • 제품포장
  • 주변설비
  • 포장단위
  • 포장방법
  • 혼련
  • 혼련기
수행태도
  • 계량적
  • 과학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관련훈련
  • 고무성형기술

혼련작업 (수준 : 3)

정의
혼련작업이란 고분자복합재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원료를 준비하고 용융분산을 통해제품을 제조 후 토출 포장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혼련 준비하기
  • 혼련하기
  • 토출 포장하기
지식 및 기술
  • 고분자복합
  • 내부청소
  • 소모량
  • 용융
  • 원료
  • 이송라인
  • 작업표준
  • 주변설비
  • 토출
  • 혼련
  • 혼련기
수행태도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안전우선
  • 인간적
  • 자율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공정검사 (수준 : 3)

정의
공정검사는 품질불량 최소화를 위하여 분산검사를 실시하여 검사표를 작성하고검사결과를 판정할 수 있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분산 검사하기
  • 검사표 작성하기
  • 검사결과 판정하기
지식 및 기술
  • 개구부
  • 고분자복합
  • 공정
  • 공정능력
  • 공정흐름도
  • 물성평가
  • 분산
  • 영향분석
  • 정돈
  • 통계적
  • 표작성
수행태도
  • 계량적
  • 과학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생산적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전략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제품검사 (수준 : 3)

정의
제품검사는 제조된 고분자복합재료의 품질관리를 위하여 제품의 물성과 기능을검사하여 시험성적서를 작성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물성 검사하기
  • 기능 검사하기
  • 시험성적서 작성하기
지식 및 기술
  • 개구부
  • 고분자복합
  • 기능성
  • 기능테스트
  • 물성
  • 물성평가
  • 시편
  • 시험기기
  • 시험성적서
  • 열적물성
  • 화학적물성
수행태도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품질관리(구버전) (수준 : 5)

직무내용
  • 불량유형과 원인파악하기
  • 불량방지 대책 수립하기
  • 통계적 품질 관리하기
  • 품질 개선하기
  • 품질인증 추진하기

외주관리 (수준 : 5)

정의
외주관리는 고분자복합재료 제조 현장에서 협력사 능력 평가 발주서 작성, 외주제조제품에 대한 품질, 납기 일정을 관리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협력사 능력 평가하기
  • 발주서 작성하기
  • 외주 일정 관리하기
지식 및 기술
  • 가격경쟁력
  • 고분자복합
  • 납기
  • 발주서
  • 생산능력
  • 업체
  • 외주관리
  • 외주업체
  • 작업환경개선
  • 품질
  • 협력사
수행태도
  • 계량적
  • 과학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사교적
  • 생산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책임감
  • 친환경적
  • 협동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시설유지보수 (수준 : 5)

정의
시설유지보수는 제조시설과 주변설비의 안정적인 운전을 위하여 혼련기, 주변기기,이송라인의 점검·보수를 수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혼련기 유지보수하기
  • 주변설비 유지보수하기
  • 이송라인 유지보수하기
지식 및 기술
  • 건조장치
  • 고분자복합
  • 기계장치
  • 냉각기
  • 시설유지
  • 운용능력
  • 이상유무
  • 이송라인
  • 전기장치
  • 주변설비
  • 혼련기
수행태도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사교적
  • 안전우선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안전과 환경관리 (수준 : 5)

정의
안전과 환경관리는 고분자복합재료 제조 현장에서 안전 대책을 수립하고 안전에 관한관리와 환경·유해물질을 관리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안전 대책 수립하기
  • 안전 관리하기
  • 환경 관리하기
  • 유해물질 관리하기
지식 및 기술
  • 고분자복합
  • 대기오염물질
  • 사고보고서
  • 산업재해
  • 안전교육
  • 유해물질
  • 응급조치매뉴얼
  • 응급처치
  • 작업환경개선
  • 주변설비
  • 환경관리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시험제품 생산 (수준 : 3)

정의
시험 제품 생산 이란 고분자 복합재료 양산 진행 전에, 고객과 협의된 규격 또는목표로 설정된 규격에 부합하는 재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시험 설비(Pilot line)에서작업 후 평가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시제품 설정하기
  • 시제품 생산하기
  • 시제품 평가하기
지식 및 기술
  • CCC
  • KS
  • 고분자복합
  • 마스터배치
  • 배합설계
  • 복합재료
  • 불균일
  • 주변설비
  • 첨가제
  • 특성지식
  • 혼련기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안전우선
  • 인간적
  • 자율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혼련작업 안정화 조건조정 (수준 : 3)

정의
혼련작업 중 공정의 연속 토출상태를 정상유지하기 위하여 공정이상 조치, 원부원료별투입량 조정하기 등을 수행하는 일이다.
직무내용
  • 공정이상 조치하기
  • 원부원료 투입량 조정하기
지식 및 기술
  • 공정
  • 공정이상
  • 미세조정
  • 불균일
  • 안정
  • 원료
  • 원부원료
  • 작업표준
  • 주변설비
  • 투입량
  • 혼련기
수행태도
  • 계량적
  • 과학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안전우선
  • 인간적
  • 자율적
  • 합리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품질관리 (수준 : 5)

정의
품질관리는 제조현장에서 제품불량유형과 원인을 분석하고 방지대책을 수립, 통계적품질 관리를 통하여 품질개선을 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불량유형과 원인파악하기
  • 불량방지 대책 수립하기
  • 통계적 품질 관리하기
  • 품질 개선하기
지식 및 기술
  • 고분자복합
  • 공정성
  • 대책수립
  • 데이터
  • 데이터확보
  • 분석프로그램
  • 불량유형
  • 조작능력
  • 통계적
  • 통계적품질관리
  • 품질개선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과학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합리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품질보증 (수준 : 5)

정의
품질보증이란 시장에서 요구하는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품질관리시스템 구축하고운영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품질관리시스템 구축하기
  • 품질관리시스템 운용하기
지식 및 기술
  • CCC
  • 고분자복합
  • 관리항목
  • 구축시스템
  • 사후관리
  • 세부관리
  • 인증기관
  • 인증종류
  • 추진계획
  • 품질관리시스템
  • 품질인증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신뢰감
  • 인간적
  • 자율적
  • 합리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직무사전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