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내용
학과소개
과수재배는 적지에 과원을 조성하여 기상재해를 최소화하고, 과종별 생육단계에 따라 영양번식, 토양관리, 정지전정, 결실 관리, 생리장해관리 및 병해충잡초관리를 통해 고품질의 생산성 높은 과일을 생산하며, 수확후관리, 안전성관리를 통해 과 원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일이다.
							능력단위
과원조성 (수준 : 4)
- 정의
 - 과원조성이란 기후조건, 토양조건, 재배현황을 고려하여 개원적지를 선정하고, 과원규모, 토양특성, 관배수시설, 재식양식에 따라 과원을 설계하며, 과원 예정지의 토양을조성하고, 적합한 품종을 선택하여 재식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적지선정하기
 - 과원조성설계하기
 - 토양조성하기
 - 품종선택재식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과수재배
 - 과종
 - 관수
 - 묘목
 - 배수시설
 - 재해방지
 - 적지선정
 - 정지작업
 - 토양
 - 토양조건
 - 토양특성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전략적
 
 - 관련자격증
 - 
										
- 원예기능사
 
 - 관련전공
 - 
										
- 과수
 - 원예 관련 학과
 
 
과수 기상재해관리 (수준 : 2)
- 정의
 - 과수 기상재해관리란 기상상황 및 기상정보를 확인하여 기상재해 발생여부를 파악하여사전 예방책을 준비하고, 피해 발생 시 즉시 사후 피해대책을 수립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늦서리피해 방지하기
 - 우박피해 방지하기
 - 태풍피해 방지하기
 - 동해피해 방지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과수
 - 기상상황
 - 기상재해
 - 기상정보
 - 발생여부
 - 영양관리
 - 예방방법
 - 예방책
 - 우박
 - 태풍
 - 피해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관련자격증
 - 
										
- 원예기능사
 
 - 관련전공
 - 
										
- 과수
 - 원예 관련 학과
 
 
과수 영양번식 (수준 : 2)
- 정의
 - 과수 영양번식이란 충실한 모수로부터 삽수를 채취하여 보관하고, 우량 대목을 선정하여 양성하며, 과종 및 품목별로 적정 접목 방법을 활용하여 접목을 실시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삽수접수채취하기
 - 대목양성하기
 - 접목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과수
 - 과종
 - 대목
 - 모수
 - 삽수
 - 영양번식
 - 저온저장고
 - 적정환경
 - 접목
 - 채취
 - 충실
 
 - 수행태도
 -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원예기능사
 
 - 관련전공
 - 
										
- 과수
 - 원예 관련 학과
 
 
과수 토양관리 (수준 : 4)
- 정의
 - 과수 토양관리란 분석용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토양분석을 의뢰하여 적절한 시비처방을받고, 관수관리 및 배수관리를 실시하며, 토양표면과 토양영양을 관리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토양분석하기
 - 관배수관리하기
 - 토양표면관리하기
 - 토양영양관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과수
 - 과수재배
 - 관수방법
 - 배수시설
 - 시비량
 - 토양
 - 토양관리
 - 토양분석
 - 토양시료
 - 토양시료채취
 - 토양표면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관련자격증
 - 
										
- 원예기능사
 
 - 관련전공
 - 
										
- 과수
 - 원예 관련 학과
 
 
과수 정지전정 (수준 : 3)
- 정의
 - 과수 정지전정이란 재배방법에 따라 수형을 선택하여 수형상태를 유지관리하고, 골격지, 도장지, 결과지 순으로 전정 작업을 수행하며, 좋은 꽃눈을 확보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수형만들기
 - 전정하기
 - 결과지확보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가지치기
 - 과수
 - 과수재배
 - 과종
 - 복숭아
 - 수형
 - 유지방법
 - 정량
 - 정지전정
 - 종류
 - 포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성실함
 - 자율적
 
 - 관련자격증
 - 
										
- 원예기능사
 
 - 관련전공
 - 
										
- 과수
 - 원예 관련 학과
 
 
과수 결실관리 (수준 : 2)
- 정의
 - 과수 결실관리란 수분수를 재식 및 관리하고, 자연수분 및 인공수분 방법을 활용하여결실량을 확보하며, 결실조절을 통해 적정 착과량을 결실시키고, 과종별로 봉지씌우기를 실시하여 착색을 관리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수분하기
 - 결실조절하기
 - 봉지씌우기
 - 착색관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개화
 - 결실
 - 과수
 - 과실
 - 과종
 - 복숭아
 - 봉지
 - 시기
 - 저해요인
 - 적화
 - 착색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성실함
 - 자율적
 
 - 관련자격증
 - 
										
- 원예기능사
 
 - 관련전공
 - 
										
- 과수
 - 원예 관련 학과
 
 
과수 생리장해관리 (수준 : 3)
- 정의
 - 과수 생리장해관리란 영양상태를 진단하여 적절한 시비관리를 실시하고, 영양결핍과영양과잉 원인 및 방지대책을 수립하여 적절한 관리를 실시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영양진단하기
 - 결핍관리하기
 - 과잉관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결핍
 - 과수
 - 과잉
 - 과종
 - 미량요소
 - 방지대책
 - 복숭아
 - 생리장해
 - 영양상태
 - 증상
 - 토양분석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과학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자율적
 - 전략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원예기능사
 
 - 관련전공
 - 
										
- 과수
 - 원예 관련 학과
 
 
과수 병해충잡초관리 (수준 : 3)
- 정의
 - 과수 병해충잡초관리란 육안 및 예찰기구를 통해 병해충 및 잡초의 발생여부를 예찰하고, 병해충 및 잡초를 특성에 따라 분류하며, 병해충 및 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제하는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병해충잡초 발생예찰하기
 - 병해충잡초 분류하기
 - 병해충잡초 방제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과수
 - 과종
 - 방제
 - 병해충
 - 병해충발생
 - 분류
 - 예찰
 - 잡초
 - 잡초발생
 - 잡초방제
 - 현상파악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과학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자율적
 - 전략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원예기능사
 
 - 관련전공
 - 
										
- 과수
 - 원예 관련 학과
 
 
과수 수확후관리 (수준 : 2)
- 정의
 - 과수 수확후관리란 과실의 성숙정도를 파악하여 분산 수확하며, 외온예냉 및 인공예냉을 활용하여 예냉관리하며,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저장하고 관리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수확하기
 - 예냉관리하기
 - 저장관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과수
 - 과실
 - 과종
 - 당도
 - 생리장해
 - 성숙정도
 - 수확
 - 수확시기
 - 수확후관리
 - 예냉
 - 품질변화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자율적
 - 조직적
 
 - 관련자격증
 - 
										
- 원예기능사
 
 - 관련전공
 - 
										
- 과수
 - 원예 관련 학과
 
 
과수 유통관리 (수준 : 3)
- 정의
 - 과수 유통관리란 소비자 선호도, 상품성 기준, 유통과정에 대한 시장을 조사하고, 등급별 과실을 선별하여 포장하며, 출하시기와 방법을 결정하여 출하하고 판매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시장조사하기
 - 선별포장하기
 - 출하판매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과수
 - 과실
 - 복숭아
 - 소비자
 - 소비자선호도
 - 시장
 - 유통과정
 - 유통관리
 - 출하
 - 포장규격
 - 품질저하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관련자격증
 - 
										
- 원예기능사
 
 - 관련전공
 - 
										
- 과수
 - 원예 관련 학과
 
 
과수 안전성관리 (수준 : 4)
- 정의
 - 과수 안전성관리란 인증기관의 요구를 준수하여 인증을 받고, 안전하게 농약을 보관,처리, 사용하며, 유해미생물을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인증관리하기
 - 농약관리하기
 - 유해미생물관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농기구
 - 농약
 - 미코플라스마
 - 복숭아
 - 소독
 - 인증
 - 인증서류
 - 인증심사기준
 - 인증정보
 - 인증종류
 - 포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과학적
 - 규범적
 - 기술적
 - 생산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전략적
 - 친환경적
 
 - 관련자격증
 - 
										
- 원예기능사
 
 - 관련전공
 - 
										
- 과수
 - 원예 관련 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