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기능성고분자제조 / 직무사전

화학 > 석유·기초화학물 제조 > 기초유기화학물제조

직무내용

학과소개

기능성고분자제조는 기술동향과 경제성 분석, 분자설계, 중합, 개질, 물성측정, 해석, 분석, 생산성 향상, 품질보증과 인증, 안전·환경 점검을 통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일이다.

능력단위

기술동향과 경제성 분석 (수준 : 4)

정의
기술동향과 경제성 분석은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정하기 위하여 고객 요구분석과시장조사, 경제성 분석, 기술성 평가, 선행 특허 조사를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고객 요구분석과 시장조사하기
  • 경제성 분석하기
  • 기술성 평가하기
  • 선행특허 조사하기
지식 및 기술
  • 경제성분석
  • 고객요석
  • 공정프로세스
  • 기능성고분자
  • 기술동향
  • 기술로드맵
  • 목표물성
  • 선행특허
  • 요구물성
  • 특허
  • 특허맵
수행태도
  • 계량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합리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기능성고분자 설계 (수준 : 6)

정의
기능성고분자 설계는 목표한 기능성고분자의 화학적 구조를 선정하기 위하여 목표물성선정, 단량체 선정, 모델링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목표물성 선정하기
  • 원료 선정하기
  • 모델링 하기
지식 및 기술
  • PVC
  • 가공특성
  • 기능성고분자
  • 모델링소프트웨어
  • 목표물성
  • 문헌조사
  • 물리적특성
  • 분자
  • 분자구조
  • 파악여부
  • 화학적특성
수행태도
  • 계량적
  • 과학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성실함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기능성고분자 중합 (수준 : 3)

정의
기능성고분자 중합은 중합방법 검토, 반응기 운전조작, 조건선정을 통하여 결과물을도출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중합방법 검토하기
  • 중합반응기 운전조작하기
  • 최적조건 선정하기
  • 중합결과물 분석하기
지식 및 기술
  • 기능성고분자
  • 보유설비
  • 실험계획법
  • 실험데이터
  • 실험방법
  • 작업장안전
  • 주요변수
  • 중합
  • 중합반응
  • 중합반응기
  • 최적조건
수행태도
  • 계량적
  • 과학적
  • 기술적
  • 논리적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기능성고분자 개질 (수준 : 4)

정의
기능성고분자 개질은 컴파운딩기, 블렌딩수지, 첨가제 선정을 통해 컴파운딩을실시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베이스레진 선정하기
  • 첨가제 선정하기
  • 컴파운딩 실시하기
  • 개질물성 분석하기
지식 및 기술
  • 개질
  • 기능성고분자
  • 난연
  • 베이스레진
  • 분석기기
  • 비교분석
  • 실험계획법
  • 열적특성
  • 첨가제
  • 충전재
  • 컴파운딩
수행태도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합리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관련훈련
  • 품질관리를 위한 화학분석실무

기능성고분자 물성평가(구버전) (수준 : 3)

직무내용
  • 기계적물성 평가하기
  • 화학적물성 평가하기
  • 열적물성 평가하기
  • 기능성 평가하기
관련훈련
  • 품질관리를 위한 화학분석실무
  • 물성개선을 위한 플라스틱 시험분석

기능성고분자 분석 (수준 : 5)

정의
기능성고분자 분석은 분자량, 유변물성, 분자구조, 전기·광특성을 분석하여 물리화학적특성을 예측하고 관리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분자량 분석하기
  • 유변물성 분석하기
  • 분자구조 분석하기
  • 전기·광특성 분석하기
지식 및 기술
  • 가공조건
  • 기능성고분자
  • 분석기기
  • 분석방법
  • 분석여부
  • 분자구조
  • 분자량
  • 성형해석
  • 시료
  • 전기
  • 화학구조
수행태도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기능성고분자 후가공성 평가 (수준 : 4)

정의
기능성고분자 후가공성 평가는 후가공 방법선정, 성형해석, 후가공평가, 시험평가를 할수 있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후가공방법 선정하기
  • 성형해석하기
  • 후가공성 평가하기
  • 시험평가하기
지식 및 기술
  • 가공
  • 가공성
  • 고객
  • 기능성고분자
  • 물성평가
  • 분자구조
  • 성형해석
  • 시험평가
  • 제작설비
  • 제품성형
  • 후가공방법
수행태도
  • 계량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관련훈련
  • 품질관리를 위한 화학분석실무

공정개선 (수준 : 5)

정의
공정개선은 품질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공정데이터분석, 공정개선, 공정자동화,공정유지ㆍ관리를 수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공정데이터 분석하기
  • 공정 개선하기
  • 공정 자동화하기
  • 공정 유지·관리하기
지식 및 기술
  • 공정개선
  • 공정능력
  • 공정데이터
  • 공정분석
  • 공정이해
  • 공정조건
  • 모델링
  • 모델링기술
  • 생산설비
  • 실태
  • 자동화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품질보증과 인증 (수준 : 4)

정의
품질보증과 인증은 기능성고분자제품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하여 통계적 데이터 해석,품질 개선, 품질 경영 시스템 운영과 신뢰성을 평가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통계적 데이터 해석하기
  • 불량원인 분석하기
  • 품질인증 제도 운영하기
  • 신뢰성 평가하기
지식 및 기술
  • 6시그마
  • 기능성고분자
  • 석유화학
  • 신뢰성
  • 신뢰성평가
  • 운영팀
  • 제도운영
  • 품질개선
  • 품질경영시스템
  • 품질보증
  • 품질불량
수행태도
  • 계량적
  • 과학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신뢰감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합리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안전·환경 점검 (수준 : 3)

정의
안전⦁환경 점검은 종업원과 주변 환경을 위하여 안전, 환경, 재활용 시스템,유해ㆍ위험물질을 관리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안전관리하기
  • 시설환경 점검하기
  • 유해물질 관리하기
  • 위험물질 관리하기
지식 및 기술
  • 공정분석
  • 공정이해
  • 기능성고분자
  • 배출허용기준
  • 보관장소
  • 위험물질
  • 위험요소
  • 유해물질
  • 행동지침
  • 환경관리기준
  • 환경점검
수행태도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기능성고분자 물성측정 (수준 : 3)

정의
기능성고분자 물성측정은 기계적물성, 화학적물성, 열적물성과 기능성을 측정하고평가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기계적물성 측정하기
  • 화학적물성 측정하기
  • 열적물성 측정하기
  • 기능성 측정하기
지식 및 기술
  • 계측장치
  • 기계적물
  • 기능성
  • 기능성고분자
  • 데이터
  • 물성
  • 물성측정
  • 시편
  • 열적물성
  • 운전능력
  • 화학적물성
수행태도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신감
  • 자율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기능성고분자 물성해석 (수준 : 5)

정의
기능성고분자 물성해석은 기계적물성, 화학적물성, 열적물성을 해석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기계적물성 해석하기
  • 화학적물성 해석하기
  • 열적물성 해석하기
지식 및 기술
  • 개선필요
  • 기계적물
  • 기능성고분자
  • 물성
  • 배합설계
  • 베이스레진
  • 분산
  • 상분리
  • 열적물성
  • 통계지식
  • 화학적물성
수행태도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신감
  • 자율적
  • 합리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관련전공
  • 화학
  • 화학공학

직무사전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