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무선통신망구축 / 직무사전

정보통신 > 통신기술 > 무선통신구축(이동통신포함)

직무내용

학과소개

무선통신망구축은 무선통신망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무선국과 단말기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하여 구축 기획, 기본설계, 실시설계, 장비발주, 시공, 시험, 감리, 기술기준적용, 운용지원 및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하는 일이다.

능력단위

무선통신망구축 기획 (수준 : 5)

정의
무선통신망구축 기획이란 무선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자의 요구사항, 경제성을분석하고 구축일정, 예산계획을 수립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요구사항 분석하기
  • 경제성 분석하기
  • 구축일정 수립하기
  • 예산계획 수립하기
지식 및 기술
  • 가입자
  • 구축
  • 구축일정
  • 무선통신망
  • 예산계획
  • 예산집행
  • 요구사항
  • 요구사항목록
  • 커버리지
  • 투자대비
  • 환경요인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자격증
  • 무선설비기능사
  • 무선설비기사
  • 무선설비산업기사
  • 전파전자통신기능사
  • 전파전자통신기사
  •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 정보통신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통신기기기능사
  • 통신선로기능사
  • 통신선로산업기사
관련전공
  • 전자·정보통신 관련 학과

무선통신망구축 기본설계 (수준 : 4)

정의
무선통신망구축 기본설계란 무선통신망구축을 위해 전파환경, 망 기술분석을 통해 개략 공사비를 산출하고 일반시방서를 작성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전파환경 분석하기
  • 망기술 분석하기
  • 개략공사비 산출하기
  • 일반시방서 작성하기
지식 및 기술
  • 가능지역
  • 개략공사비
  • 계약상대자
  • 기술동향
  • 기술표준
  • 무선통신망
  • 성능구현
  • 음영지역
  • 일반시방서
  • 전파환경
  • 하자보증
수행태도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자격증
  • 무선설비기능사
  • 무선설비기사
  • 무선설비산업기사
  • 전파전자통신기능사
  • 전파전자통신기사
  •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 정보통신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통신기기기능사
  • 통신선로기능사
  • 통신선로산업기사
관련전공
  • 전자·정보통신 관련 학과

무선통신망구축 실시설계 (수준 : 4)

정의
무선통신망구축 실시설계란 기본설계와 현장실사를 바탕으로 무선망을 설계하고 장비규격서, 설계도면, 특별시방서를 작성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현장 실사하기
  • 무선망 설계하기
  • 장비규격서 작성하기
  • 설계도면 작성하기
  • 특별시방서 작성하기
지식 및 기술
  • 규격서
  • 기지국
  • 무선통신망
  • 부대설비
  • 서비스영역
  • 안테나
  • 접지설비
  • 주파수
  • 철탑
  • 통신장비
  • 특별시방서
수행태도
  • 계량적
  • 관용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응용력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책임감
  • 합리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무선설비기능사
  • 무선설비기사
  • 무선설비산업기사
  • 전파전자통신기능사
  • 전파전자통신기사
  •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 정보통신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통신기기기능사
  • 통신선로기능사
  • 통신선로산업기사
관련전공
  • 전자·정보통신 관련 학과

무선통신망구축 장비발주 (수준 : 3)

정의
무선통신망 장비발주란 무선통신망구축에 필요한 장비의 규격을 검토하여 장비를 발주하고 입수된 장비를 검수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장비규격 검토하기
  • 구축장비 발주하기
  • 발주장비 검수하기
지식 및 기술
  • 검수결과
  • 견적서
  • 구매가능
  • 구매발주서
  • 구축장비
  • 무선통신망
  • 발주서
  • 수의계약
  • 작성법
  • 장비규격
  • 충족여부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자격증
  • 무선설비기능사
  • 무선설비산업기사
  • 육상무선통신사
  • 전파전자통신기능사
  •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통신기기기능사
  • 통신선로기능사
  • 통신선로산업기사
관련전공
  • 전자·정보통신 관련 학과

무선통신망구축 시공(구버젼) (수준 : 3)

정의
무선통신망구축 시공이란 수립된 설치계획에 따라 통신장비, 안테나, 부대설비를 설치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설치계획 수립하기
  • 통신장비 설치하기
  • 안테나 설치하기
  • 부대설비 설치하기
관련자격증
  • 무선설비기능사
  • 무선설비산업기사
  • 육상무선통신사
  • 전파전자통신기능사
  •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통신기기기능사
  • 통신선로기능사
  • 통신선로산업기사
관련전공
  • 전자·정보통신 관련 학과

무선통신망 시험 (수준 : 2)

정의
무선통신망 시험이란 무선통신망 설비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단위시험, 통합시험및 준공시험을 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단위 시험하기
  • 통합 시험하기
  • 준공 검사하기
지식 및 기술
  • 단위시험
  • 모듈
  • 무선통신망
  • 시험결과
  • 시험결과서
  • 시험계획서
  • 요구성능
  • 인수인계
  • 준공시험
  • 측정기사용법
  • 통합시험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자격증
  • 무선설비기능사
  • 육상무선통신사
  • 전파전자통신기능사
  • 통신기기기능사
  • 통신선로기능사
관련전공
  • 전자·정보통신 관련 학과

무선통신망구축 감리 (수준 : 5)

정의
무선통신망구축 감리란 설계도서 및 관련규정의 내용대로 시공되는지를 감독하기 위하여 법규를 바탕으로 설계도서와 시공의 감리를 수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법규 검토하기
  • 설계 감리하기
  • 시공 감리하기
지식 및 기술
  • 감리결과보고서
  • 감리업무수행계획서
  • 공사관리
  • 기술검토
  • 기술기준
  • 무선통신망
  • 설계도서
  • 시공감리
  • 안전시설
  • 운용절차
  • 현장실사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자격증
  • 무선설비기능사
  • 무선설비기사
  • 무선설비산업기사
  • 전파전자통신기능사
  • 전파전자통신기사
  •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 정보통신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통신기기기능사
  • 통신선로기능사
  • 통신선로산업기사
관련전공
  • 전자·정보통신 관련 학과
관련훈련
  •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운영실무(2016하)
  • 최신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운영실무(2017상)

무선통신망 기술기준적용 (수준 : 4)

정의
무선통신망 기술기준적용이란 전파관련 국내외 기술기준을 파악하여 무선국 허가를 받고 전자파장해를 분석하여 불요전자파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전파기술기준 파악하기
  • 무선국 개설하기
  • 전자파장해 분석하기
지식 및 기술
  • 기술기준
  • 무선국
  • 무선국허가
  • 무선설비
  • 무선통신망
  • 보호기준
  • 전자파
  • 전자파장해
  • 전파
  • 전파특성
  • 준공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전략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무선설비기능사
  • 무선설비기사
  • 무선설비산업기사
  • 전파전자통신기능사
  • 전파전자통신기사
  •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 정보통신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통신기기기능사
  • 통신선로기능사
  • 통신선로산업기사
관련전공
  • 전자·정보통신 관련 학과

무선통신망구축 운용지원 (수준 : 3)

정의
무선통신망구축 운용지원이란 전파관련 국내외 기술기준을 파악하여 무선통신망에 적용하기 위한 망 운용계획, 망 품질계획을 수립하고 망 운용인력을 교육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망운용계획 수립하기
  • 망품질계획 수립하기
  • 망운용인력 교육하기
지식 및 기술
  • 기지국
  • 망운용
  • 무선망설계
  • 무선통신망
  • 안테나
  • 운용계획
  • 운용실적
  • 운용인력
  • 전파
  • 전파환경
  • 품질계획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성실함
  • 안전우선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무선설비기능사
  • 무선설비산업기사
  • 육상무선통신사
  • 전파전자통신기능사
  •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통신기기기능사
  • 통신선로기능사
  • 통신선로산업기사
관련전공
  • 전자·정보통신 관련 학과
관련훈련
  • 통신설비기능장 취득 실기과정
  •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운영실무(2016하)
  • 최신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운영실무(2017상)

무선통신망구축 유지보수 (수준 : 3)

정의
무선통신망구축 유지보수란 무선통신망이 최고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지보수계획을 수립하여 세부적인 장애방지대책을 수립하고 유지보수인력을 교육하며 장비장애를 조치할 수 있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유지보수계획 수립하기
  • 장애방지대책 수립하기
  • 유지보수인력 교육하기
  • 장비장애 조치하기
지식 및 기술
  • 계통도
  • 구축환경
  • 무선통신망
  • 유지보수
  • 유지보수매뉴얼
  • 유지보수인력
  • 장애
  • 장애보고서
  • 장애복구
  • 장애원인
  • 장애처리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성실함
  • 실천적
  • 안전우선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무선설비기능사
  • 무선설비산업기사
  • 육상무선통신사
  • 전파전자통신기능사
  •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통신기기기능사
  • 통신선로기능사
  • 통신선로산업기사
관련전공
  • 전자·정보통신 관련 학과
관련훈련
  • 통신설비기능장 취득 실기과정

무선통신 전파환경 분석 (수준 : 4)

정의
무선통신 전파환경 분석이란 무선통신망 구축을 위하여 서비스구역 결정, 전파환경 측정, 전파환경 측정 분석, 주파수 배치 계획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서비스 구역 결정하기
  • 전파환경 측정하기
  • 전파환경 측정 분석하기
  • 주파수 배치 계획하기
지식 및 기술
  • GUI
  • 무선설비
  • 무선통신
  • 무선통신망
  • 전파
  • 전파전파
  • 전파측정
  • 전파환경
  • 주파수
  • 중계기
  • 측정자료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응용력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합리적
관련자격증
  • 구내방송통신 설계_L4
  • 무선설비기능사
  • 무선설비기사
  • 무선설비산업기사
  • 무선통신 설계_L4
  • 전파전자통신기능사
  • 전파전자통신기사
  •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 정보통신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통신기기기능사
  • 통신선로기능사
  • 통신선로산업기사
관련전공
  • 전자·정보통신 관련 학과

안테나계 설비 설계 (수준 : 4)

정의
안테나계 설비 설계란 무선통신망구축을 위해 필요한 설비인 급전선, 안테나, 철탑의기술규격을 작성하고 설계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급전선 설계하기
  • 안테나 설계하기
  • 철탑 설계하기
  • 안테나계 기술 규격 작성하기
지식 및 기술
  • 공급장치
  • 기술기준
  • 무선설비
  • 무선설비규칙
  • 설계
  • 안테나
  • 자재규격서
  • 철탑
  • 표준공법
  • 표준시방서
  • 피뢰침
수행태도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응용력
  • 인간적
  • 자율적
  • 합리적
관련자격증
  • 구내방송통신 설계_L4
  • 무선설비기능사
  • 무선설비기사
  • 무선설비산업기사
  • 무선통신 설계_L4
  • 전파전자통신기능사
  • 전파전자통신기사
  •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 정보통신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통신기기기능사
  • 통신선로기능사
  • 통신선로산업기사
관련전공
  • 전자·정보통신 관련 학과

무선통신 설비 설계 (수준 : 4)

정의
무선통신 설비 설계란 무선통신망 구축을 위해 필요한 설비인 무선중계설비, 고정무선설비, 이동통신설비, 위성통신설비, 무선통신설비 기술규격을 학습하고 설계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무선중계설비 설계 적용하기
  • 고정무선설비 설계 적용하기
  • 이동통신설비 설계 적용하기
  • 위성통신설비 설계 적용하기
  • 무선통신설비 기술규격 작성하기
지식 및 기술
  • 계산값
  • 기술기준
  • 무선설비
  • 무선설비규칙
  • 무선통신
  • 무선통신망
  • 무선통신보조설비
  • 설계서
  • 설비설계
  • 이동전화
  • 학습능력
수행태도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실천적
  • 응용력
  • 인간적
  • 자율적
관련자격증
  • 구내방송통신 설계_L4
  • 무선설비기능사
  • 무선설비기사
  • 무선설비산업기사
  • 무선통신 설계_L4
  • 전파전자통신기능사
  • 전파전자통신기사
  •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 정보통신 설계_L5
  • 정보통신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통신기기기능사
  • 통신선로기능사
  • 통신선로산업기사
관련전공
  • 전자·정보통신 관련 학과

이동통신 중계기 설치 준비 (수준 : 3)

정의
이동통신 중계기 설치 준비란 현장의 형태 지형지물 파악을 바탕으로 공사비 산출, 발주장비 검수, 구축 일정을 작성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현장파악하기
  • 발주장비 검수하기
  • 공사비산출하기
  • 구축일정 수립하기
지식 및 기술
  • 공사비산출
  • 공사원가
  • 교류전원
  • 구축일정
  • 무선단말기
  • 서비스영역
  • 설치준비
  • 접지설비
  • 중계기
  • 지형지물
  • 철탑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관련자격증
  • 무선설비기능사
  • 무선설비산업기사
  • 육상무선통신사
  • 전파전자통신기능사
  •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통신기기기능사
  • 통신선로기능사
  • 통신선로산업기사
관련전공
  • 전자·정보통신 관련 학과

이동통신 중계기 설치 (수준 : 3)

정의
이동통신 중계기 설치란 수립된 설치계획에 따라 중계기, 서비스 안테나, 케이블, 부대설비를 규격에 맞게 설치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설치계획 수립하기
  • 중계기 설치하기
  • 케이블 설치하기
  • 안테나 설치하기
  • 부대장비 설치하기
지식 및 기술
  • RF
  • 공급장치
  • 무선국
  • 무선단말기
  • 부대장비
  • 설치
  • 설치기준
  • 안테나
  • 조달방법
  • 중계기
  • 케이블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합리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무선설비기능사
  • 무선설비산업기사
  • 육상무선통신사
  • 전파전자통신기능사
  •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통신기기기능사
  • 통신선로기능사
  • 통신선로산업기사
관련전공
  • 전자·정보통신 관련 학과

직무사전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