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신발생산 / 직무사전

섬유·의복 > 패션 > 신발개발·생산

직무내용

학과소개

신발생산은 확정된 견본에 근거하여 생산계획을 수립하고, 생산준비 과정에서 만들어진 금형, 발형, 자재를 이용하여 재단, 갑피제작, 제화 과정을 거쳐 완제품을 만드는 일이다.

능력단위

신발생산계획 수립 (수준 : 7)

정의
신발생산계획 수립이란 확정된 견본에 근거한 공정분석에 의하여 가용설비 가용인원을분석하고 장비일정 및 자재일정을 감안한 생산일정을 수립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공정 분석하기
  • 가용설비 분석하기
  • 가용인력 분석하기
  • 장비일정 수립하기
  • 자재일정 수립하기
지식 및 기술
  • 가용인력
  • 공정별
  • 공정분석
  • 금형
  • 납기일정
  • 보유설비
  • 생산계획
  • 생산성
  • 생산수량
  • 신발
  • 제품규격서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생산적
  • 성실함
  • 실용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합리적
관련자격증
  • ERP정보관리사
  • 신발류제조기능사
  • 컴퓨터활용능력1급
  • 컴퓨터활용능력2급
  • 품질관리기사
관련전공
  • 경영학
  • 산업공학
  • 섬유공학
  • 화학공학

규격서ㆍ채산서 작성 (수준 : 4)

정의
규격서·채산서 작성이란 확정견본을 통하여 자재 및 공정별 표준화된 제품 규격서와생산 채산서를 작성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생산제품 규격서 작성하기
  • 작업 공정도 작성하기
  • 작업 규격서 작성하기
  • 생산 채산서 작성하기
지식 및 기술
  • 규격서
  • 생산
  • 생산성향상
  • 생산원가
  • 자재규격서
  • 자재소요량
  • 작업규격서
  • 정보공유
  • 제품규격서
  • 제품생산
  • 채산서
수행태도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자신감
  • 자율적
  • 조직적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자격증
  • ERP정보관리사
  • 신발류제조기능사
  • 컴퓨터활용능력1급
  • 컴퓨터활용능력2급
관련전공
  • 신발관련학과

생산패턴 제작 (수준 : 3)

정의
생산패턴 제작이란 확정된 견본에 의거하여 생산량을 감안한 공정별 치수별 패턴을 제작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치수별 패턴 제작하기
  • 생산패턴 치공구 제작하기
  • 발형 제작하기
지식 및 기술
  • 감안
  • 공정분석
  • 보유설비
  • 생산계획서
  • 생산성
  • 생산성향상
  • 작업규격서
  • 치공구제작
  • 치수
  • 패턴제작
  • 해독지식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생산적
  • 성실함
  • 자율적
  • 조직적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자격증
  • 신발류제조기능사
  •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관련전공
  • 신발관련학과

생산금형 제작 (수준 : 3)

정의
생산금형 제작이란 확정된 견본에 의거하여 금형구조의 특성에 따라 생산에 적합한 최적의 금형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치수별 금형 설계하기
  • 치수별 금형 제작하기
  • 생산금형 치공구 제작하기
지식 및 기술
  • NC
  • 공정분석
  • 금형
  • 금형구조
  • 금형설계
  • 금형제작
  • 기계작동
  • 생산계획서
  • 생산성향상
  • 알루미늄
  • 주물
수행태도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자율적
  • 조직적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AutoCAD 1급
  • AutoCAD 2급
  • 금형기능사
  • 신발류제조기능사
  •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 프레스금형산업기사
관련전공
  • 금형관련학과
  • 기계관련학과
  • 신발관련학과

원·부자재 준비 (수준 : 5)

정의
원·부자재 준비란 규격서 및 채산서에 근거하여 좋은 품질의 자재를 최적의 가격으로생산일정에 문제가 없도록 공급하고 관리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자재 규격ㆍ채산 분석하기
  • 자재납기 분석하기
  • 자재 발주하기
  • 자재 검사하기
지식 및 기술
  • 공급업체
  • 부자재
  • 색상
  • 신발
  • 안전규정
  • 유해물질
  • 자재공급
  • 자재별
  • 제품규격서
  • 채산서
  • 표준원가
수행태도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자율적
  • 적극적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자격증
  • 섬유화학기사
  • 신발류제조기능사
관련전공

재단 작업 (수준 : 5)

정의
재단 작업이란 자재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제품 규격서를 분석하여 자재 특성에따라 재단하고 재단물 분류를 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재단 규격서 분석하기
  • 재단 자재 준비하기
  • 재단하기
지식 및 기술
  • 배치도
  • 불량유무
  • 산업진흥
  • 자재
  • 자재특성
  • 작업규격서
  • 재단기
  • 재단방법
  • 재단작업
  • 제품규격서
  • 해독지식
수행태도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자율적
  • 집중력
  • 합리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신발류제조기능사
관련전공
  • 무관

갑피 제작 (수준 : 5)

정의
갑피 제작이란 제품 규격서 및 생산계획에 따라 공정을 분석하고 재단물과 부품을 접착, 재봉 등의 방법으로 갑피를 제작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재봉 규격서 분석하기
  • 재봉공정 분석하기
  • 부품 가공하기
  • 재봉하기
지식 및 기술
  • 갑피
  • 고주파
  • 공정순서
  • 본봉재봉기
  • 설비배치
  • 작업규격서
  • 재봉
  • 재봉기
  • 제품규격서
  • 지그재그
  • 해독지식
수행태도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자율적
  • 합리적
관련자격증
  • 신발류제조기능사
관련전공
  • 무관

창 가공 (수준 : 5)

정의
창 가공이란 생산제품 규격서에서 지정하는 창을 적합한 배합을 통하여 제조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창 가공 규격서 분석하기
  • 배합하기
  • 창 제조하기
지식 및 기술
  • 마무리작업
  • 배합물
  • 배합원료
  • 배합표
  • 성형설비
  • 안전규정
  • 요구물성
  • 작업규격서
  • 제품규격서
  • 중창
  • 해독지식
수행태도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생산적
  • 성실함
  • 자율적
  • 적극적
  • 집중력
  • 합리적
관련자격증
  • 신발류제조기능사
관련전공
  • 화학관련학과

창 조립 (수준 : 5)

정의
창 조립이란 제품 규격서에서 지정하는 완성창을 선처리와 접합을 통하여 조립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창 조립 규격서 분석하기
  • 선처리 하기
  • 접합하기
지식 및 기술
  • UV
  • 용제
  • 운용기술
  • 작업규격서
  • 작업특성
  • 전처리
  • 접착
  • 접착제
  • 접합
  • 제품규격서
  • 조사기
수행태도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생산적
  • 성실함
  • 자율적
  • 합리적
관련자격증
  • 신발류제조기능사
관련전공
  • 무관

제화 작업 (수준 : 6)

정의
제화 작업이란 준비된 갑피와 창을 성형, 선처리를 통하여 접합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제화작업 규격서 분석하기
  • 제조공정 분석하기
  • 제화물 준비하기
  • 성형하기
  • 제화작업 선처리 하기
  • 갑피 창 접합하기
지식 및 기술
  • 갑피
  • 공정특성
  • 래스트
  • 신골
  • 작업규격서
  • 전처리
  • 접합
  • 제품규격서
  • 제화
  • 파악기술
  • 해독지식
수행태도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생산적
  • 성실함
  • 자율적
  • 적극적
  • 합리적
관련자격증
  • 신발류제조기능사
관련전공
  • 무관

시험과 분석 (수준 : 4)

정의
시험과 분석이란 제품 개발 및 생산에 필요한 자재 및 완제품을 규격에 맞게 시험 및분석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자재 시험하기
  • 완제품 시험하기
  • 분석기기 운용하기
지식 및 기술
  • 규격
  • 마모시험
  • 부자재
  • 분석기기
  • 시험규격
  • 시험기기
  • 시험성적서
  • 시험환경
  • 완제품
  • 자재
  • 자재시험
수행태도
  • 계량적
  • 과학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응용력
  • 자율적
  • 합리적
관련자격증
  • 산업계측제어기사
  • 신발류제조기능사
  • 위험물산업기사
  • 품질관리기사
관련전공
  • 신발관련학과
  • 화학관련학과

검사와 포장 (수준 : 5)

정의
검사와 포장이란 생산제품 규격서에 따라 완성된 제품을 검사하고 마무리 작업을 통하여 포장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검사 포장 규격서 분석하기
  • 마무리 작업하기
  • 신발검사하기
  • 신발포장하기
지식 및 기술
  • 검사원
  • 검침기
  • 광택내기
  • 마무리작업
  • 신발
  • 완제품
  • 작업규격서
  • 제품규격서
  • 포장
  • 포장능력
  • 해독지식
수행태도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집중력
  • 책임감
  • 합리적
관련자격증
  • 신발류제조기능사
  • 품질관리기사
관련전공
  • 신발관련학과

직무사전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