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영상미술 / 직무사전

문화·예술·디자인·방송 > 문화콘텐츠 > 영상제작

직무내용

학과소개

영상미술은 종합 예술로서 영상제작에 있어서 텍스트의 분석을 통하여 콘셉트, 공간, 인물의 창의적 시각화를 위해 미술적 요소를 계획ㆍ설계ㆍ제작ㆍ관리하는 일이다.

능력단위

미술 기획 (수준 : 7)

정의
미술 기획이란 영상 미술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제작의도를 파악하여 텍스트를 분석하고, 미술 콘셉트를 설정하고, 전략을 수립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텍스트 분석하기
  • 제작의도 파악하기
  • 콘셉트 설정하기
  • 미술전략 수립하기
지식 및 기술
  • 미술
  • 미술콘셉트
  • 발현
  • 영감
  • 영상
  • 영상매체
  • 영상미술
  • 제작의도
  • 제작자
  • 텍스트
  • 텍스트분석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생산적
  • 심미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조직적
  • 책임감
  • 현실적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전공
  • 미술/건축/영상 관련학과

자료 조사 (수준 : 4)

정의
자료조사란 미술 콘셉트의 시각적 확장을 위하여 시장을 분석하고, 사례를 리서치하고,전문가의 자문과 고증을 하고, 장소를 사전 조사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시장분석하기
  • 리서치하기
  • "전문가 자문, 고증하기"
  • 장소 사전조사하기
지식 및 기술
  • 고증
  • 균형
  • 미술콘셉트
  • 사전조사
  • 사진촬영
  • 영상미술
  • 자료
  • 장소
  • 전문가
  • 촬영장소
  • 텍스트분석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과학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심미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직관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전공
  • 미술/영상 관련학과

콘셉트 디자인 (수준 : 6)

정의
콘셉트 디자인이란 조사된 자료와 창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아이디어를 스케치하고, 영상 미술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미지보드와 스토리보드를 작성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아이디어 스케치하기
  • 이미지보드 작성하기
  • 스토리보드 작성하기
지식 및 기술
  • 드로잉
  • 보드
  • 분위기
  • 소품
  • 스케치
  • 아이디어
  • 영상미술
  • 원근법
  • 인물
  • 콘셉트디자인
  • 표현
수행태도
  • 계량적
  • 과학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심미적
  • 인간적
  • 자신감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조직적
  • 직관적
  • 현실적
관련전공
  • 미술/건축/영상 관련학과

공간 디자인 (수준 : 5)

정의
공간 디자인이란 공간 콘셉트를 시각화하기 위하여 세트를 디자인하고, 데코레이션하고, 소품을 디자인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세트 디자인하기
  • 세트 데코레이션하기
  • 소품 디자인하기
지식 및 기술
  • 가구디자인
  • 공간디자인
  • 데코레이션
  • 레이아웃
  • 로케이션
  • 소품
  • 스케치
  • 시대
  • 제작현장
  • 채색도구
  • 투시도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심미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책임감
  • 협동적
관련전공
  • 미술/건축/영상 관련학과

인물 디자인 (수준 : 5)

정의
인물 디자인이란 캐릭터의 구축을 위하여 의상, 분장, 특수분장을 디자인할 수 있는능력이다.
직무내용
  • 의상 디자인하기
  • 분장 디자인하기
  • 특수분장 디자인하기
지식 및 기술
  • 드로잉
  • 레이아웃
  • 미술콘셉트
  • 미적감각
  • 복식사
  • 분장
  • 스타일링
  • 의상
  • 특수분장
  • 패턴제작
  • 화면구성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생산적
  • 심미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관련자격증
  • 패션디자인산업기사
관련전공
  • 미술/의상/분장/영상 관련학과

모델링 (수준 : 3)

정의
모델링이란 미술 제작의 구체적인 실현을 위하여 2D, 3D 작업을 하고, 미니어쳐 제작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2D 작업하기
  • 3D 작업하기
  • 미니어쳐 제작하기
지식 및 기술
  • 2d
  • 공정표
  • 단면도
  • 도면
  • 모형
  • 설계개요
  • 세트
  • 입면도
  • 제작도
  • 평면도
  • 표현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과학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심미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현실적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실내건축기능사
  • 실내건축기사
  • 실내건축산업기사
  •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관련전공
  • 미술/건축/영상 관련학과
관련훈련
  • 3D프린팅&라이노활용

제작 설계 (수준 : 5)

정의
제작설계란 영상 미술의 기술적 구현을 위하여 공간과 공간 장식을 설계하고, 의상,분장, 소품, 특수분장, 특수소품을 설계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공간설계하기
  • 공간 장식설계하기
  • 의상설계하기
  • 분장 설계하기
  • 소품 설계하기
  • 특수분장 설계하기
  • 특수소품 설계하기
지식 및 기술
  • VFX
  • 공간장식
  • 레이아웃
  • 분장
  • 설계
  • 소품
  • 의상
  • 일러스트
  • 작품
  • 촬영
  • 특수분장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생산적
  • 성실함
  • 심미적
  • 응용력
  • 인간적
  • 적극적
  • 전략적
  • 조직적
  • 집중력
  • 책임감
  • 합리적
관련자격증
  • 실내건축기능사
  • 실내건축기사
  • 실내건축산업기사
  •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관련전공
  • 미술/건축/분장/의상/미용/영상 관련학과

미술 제작 협의 (수준 : 7)

정의
미술 제작 협의란 스태프 회의와 프리젠테이션을 통해 제작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소통하고, 협의하여 미술 제작의 범위 또는 규모를 규정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스태프 회의하기
  • 프리젠테이션하기
  • 제작 확정하기
지식 및 기술
  • 디자인설계
  • 미술
  • 스태프
  • 스태프회의
  • 영상미술
  • 영상제작
  • 예산편성
  • 의견
  • 제안
  • 최종확정
  • 프리젠테이션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규범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신뢰감
  • 심미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현실적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전공
  • 미술/건축/영상 관련학과

미술 제작 (수준 : 5)

정의
미술 제작이란 제작 협의·확정된 내용을 바탕으로 세트를 시공, 장식하고, 의상, 분장,소품, 특수분장, 특수소품을 제작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세트 시공하기
  • 세트 장식하기
  • 의상 제작하기
  • 분장 제작하기
  • 소품 제작하기
  • 특수분장 제작하기
  • 특수소품 제작하기
지식 및 기술
  • VFX
  • 레이아웃
  • 분장
  • 세트
  • 영상제작
  • 적산
  • 제작
  • 제작단계
  • 조형
  • 질감
  • 특수분장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과학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심미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자격증
  • 가구제작기능사
  • 건축도장기능사
  • 건축목공기능사
  • 건축목공산업기사
  • 도배기능사
  • 목공예기능사
  • 미용사
  • 실내건축기능사
  • 실내건축기사
  • 실내건축산업기사
  • 양복기능사
  • 양장기능사
  • 용접기능사
  • 용접산업기사
  • 이용사
  • 전기기사
  • 전기산업기사
  •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 특수용접기능사
  • 한복기능사
  • 한복산업기사
  • 화약류제조기사
관련전공
  • 미술/건축/분장/의상/미용/영상 관련학과

프로젝트 관리 (수준 : 6)

정의
프로젝트 관리란 효율적인 미술 제작을 위하여 스태프 구성, 일정 계획을 수립하고 예산을 관리하고, 정산하며, 포트폴리오 제작 등 사후 관리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계획 수립하기
  • 예산 관리하기
  • 현장 관리/진행하기
  • 사후 관리하기
지식 및 기술
  • 경리
  • 레이아웃
  • 영상미술
  • 위하여
  • 제작
  • 촬영
  • 프로젝트
  • 프로젝트관리
  • 현장자료
  • 회계
  • 회계프로그램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생산적
  • 성실함
  • 실천적
  • 심미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조직적
  • 집중력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전공
  • 미술/건축/영상/회계 관련학과

직무사전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