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영상연출 / 직무사전

문화·예술·디자인·방송 > 문화콘텐츠 > 영상제작

직무내용

학과소개

영상연출이란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서 대중들에게 정보, 재미, 감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스토리가 있는 영상 콘텐츠를 예술 적이고, 기술적으로 창작하는 일이다.

능력단위

영상콘텐츠 기획 (수준 : 5)

정의
영상콘텐츠 기획이란 영상 콘텐츠 제작을 위하여 아이템을 선정하고, 기획 의도와 구성내용을 반영한 기획서를 작성하여 스태프를 구성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아이템 선정하기
  • 기획서 작성하기
  • 스태프 구성하기
지식 및 기술
  • 간단명료
  • 기획서
  • 스태프
  • 스태프구성
  • 아이템
  • 영상연출
  • 영상콘텐츠
  • 자료조사
  • 제작스태프
  • 콘텐츠마케팅
  • 표준계약서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긍정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신감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협동적
관련전공
  • 영상 관련학과

스토리텔링 (수준 : 5)

정의
스토리텔링이란 영상콘텐츠별 특성에 맞는 대본/시나리오를 확정하고, 분석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영상콘텐츠별 특성 분석하기
  • 대본/시나리오 확정하기
  • 대본/시나리오 브레이크다운
지식 및 기술
  • 개발프로세스
  • 도구활용
  • 사전시각화
  • 스토리
  • 스토리텔링
  • 영상문법
  • 영상콘텐츠
  • 영상표현
  • 자료검색
  • 제작
  • 확정
수행태도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심미적
  • 응용력
  • 인간적
  • 자신감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조직적
관련전공
  • 극작과
  • 문예창작
  • 영상관련학과

미술 콘셉트 결정 (수준 : 4)

정의
미술 콘셉트 결정이란 영상콘텐츠의 시각적 완성도를 위하여 등장인물, 세트, 배경, 소품에 대한 전반적인 미술 콘셉트를 진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콘셉트 아트 확정하기
  • 등장인물 미술콘셉트 설정
  • 배경 미술콘셉트 설정
지식 및 기술
  • 공예
  • 등장인물
  • 미술콘셉트
  • 방향성
  • 사전시각화
  • 시각디자인
  • 시각자료
  • 영상콘텐츠
  • 캐릭터
  • 확정
  • 회화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심미적
  • 응용력
  • 인간적
  • 자신감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관련전공
  • 영상 관련학과

연기연출 (수준 : 6)

정의
연기연출이란 영상콘텐츠를 표현하기 위하여 출연자를 캐스팅하고, 캐릭터를 분석하여연기하도록 연출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캐릭터 분석하기
  • 출연자 캐스팅하기
  • 출연자 (연기)연출하기
지식 및 기술
  • 뮤지컬
  • 발성
  • 연출
  • 연출능력
  • 영상콘텐츠
  • 인물
  • 출연자
  • 캐릭터
  • 캐릭터분석
  • 캐스팅
  • 호흡
수행태도
  • 계량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관련전공
  • 연극 관련 학과
  • 영상

장면연출 계획 (수준 : 6)

정의
장면연출계획이란 확정된 대본/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콘티/스토리보드를 작성하고, 장면을 분석ㆍ예측하여 촬영ㆍ녹화를 계획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스토리보드/콘티 작성하기
  • 장면 분석하기
  • 미장센 연출하기
지식 및 기술
  • 공간연출
  • 사전시각화
  • 수용자
  • 스토리보드
  • 시나리오분석
  • 연출자
  • 영상문법
  • 영상콘텐츠
  • 장면
  • 콘티
  • 플롯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성실함
  • 실천적
  • 심미적
  • 응용력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책임감
  • 협동적
관련전공
  • 영상 관련학과

촬영/녹화 (수준 : 5)

정의
촬영/녹화란 대본/시나리오를 영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기술요소를 결정하고, 촬영/녹화를 진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기술요소 결정하기
  • 촬영하기
  • 녹화하기
지식 및 기술
  • 녹화
  • 녹화장비
  • 스태프
  • 스튜디오
  • 야외촬영
  • 영상콘텐츠
  • 제작스태프
  • 촬영
  • 출연자
  • 콘티
  • 큐시트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성실함
  • 심미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책임감
  • 협동적
관련전공
  • 사진 관련학과
  • 영상

영상편집 (수준 : 4)

정의
영상편집이란 촬영/녹화한 영상을 스토리텔링에 맞게 순서를 확정하고, 정해진 시간에맞게 구성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기술요소 결정하기
  • 편집구성안 작성하기
  • 편집하기
지식 및 기술
  • CGI
  • VFX
  • 스토리텔링
  • 영상
  • 영상문법
  • 영상편집
  • 영상포맷
  • 오디오
  • 촬영원본
  • 타임코드
  • 편집
수행태도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심미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관련전공
  • 영상 관련학과

CGI/VFX 확정 (수준 : 4)

정의
CGI/VFX 확정이란 영상콘텐츠의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CGI/VFX 소스들을 제작및 합성하는 과정을 관리, 감독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CGI/VFX 확정하기
  • 영상합성하기
  • 색보정 확정하기
지식 및 기술
  • CGI
  • VFX
  • 색보정
  • 스토리보드
  • 영상
  • 영상콘텐츠
  • 영상합성
  • 제작
  • 컴퓨터그래픽스
  • 합성
  • 확정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심미적
  • 응용력
  • 인간적
  • 자신감
  • 자율적
관련전공
  • 영상 관련학과

사운드 연출 (수준 : 4)

정의
사운드 연출이란 영상콘텐츠를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후시 녹음과 음향효과를 연출하고, 선곡과 작곡을 확정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후시 녹음 연출하기
  • 음향 효과 연출하기
  • 음악 작업 확정하기
지식 및 기술
  • 내레이션
  • 맞춤법
  • 사운드
  • 사운드디자인
  • 연출
  • 영상콘텐츠
  • 오디오
  • 음악
  • 음향효과
  • 작곡
  • 큐시트
수행태도
  • 계량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성실함
  • 심미적
  • 인간적
  • 자율적
  • 합리적
관련전공
  • 영상
  • 음악 관련학과

최종 완성 (수준 : 5)

정의
최종완성이란 영상콘텐츠의 완성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마스터링을 한 후 시사를 하고,최종 확정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종합편집하기
  • 시사하기
  • 최종 확정하기
지식 및 기술
  • 비디오
  • 시사
  • 영상
  • 영상연출
  • 영상콘텐츠
  • 오디오
  • 완성도
  • 음향효과
  • 제작의도
  • 종합편집
  • 최종확정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심미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책임감
  • 효율적
관련전공
  • 영상 관련학과

직무사전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