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내용
학과소개
영상음향제작은 영상매체와 관련된 음향 요소를 녹음하고 디자인하여 영상에 최적화된 음향콘텐츠를 제작하는 일이다.
							능력단위
음향제작 기획 (수준 : 7)
- 정의
 - 음향제작 기획이란 영상의 시나리오와 콘티를 분석하고 이에 적합한 음향제작을 위하여 예산과 인력을 구성하고 작업일정을 계획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시나리오?콘티 분석하기
 - 작업 예산 계획하기
 - 작업 스텝 구성하기
 - 작업 일정 수립하기
 
 - 지식 및 기술
 - 
										
- 사운드
 - 스텝
 - 시스템설계
 - 연출의도
 - 연출자
 - 영상음향
 - 음향제작
 - 작업일정
 - 콘티
 - 편성
 - 회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성실함
 - 심미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음향전문사
 
 - 관련전공
 - 
										
- 멀티미디어 콘텐츠
 - 음악관련학과
 - 컴퓨터공학
 
 
음향 시스템 기초 운용 (수준 : 4)
- 정의
 - 음향시스템 기초 운용이란 기획회의에서 도출된 결과에 따라 음향시스템을 설계하여설치·운용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장비/시스템 구성하기
 - 마이크 운용하기
 - 오디오 콘솔 운용하기
 - 오디오 시그널 프로세서 운용하기
 
 - 지식 및 기술
 - 
										
- 기술규격
 - 시그널프로세서
 - 연계성
 - 오디오
 - 오디오콘솔
 - 외부기기
 - 음향제작
 - 음향학
 - 장비간
 - 장비사용설명서
 - 주요사양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보수적
 - 응용력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음향전문사
 
 - 관련전공
 - 
										
- 멀티미디어 콘텐츠
 - 음악관련학과
 - 컴퓨터공학
 
 - 관련훈련
 - 
										
- 프로툴스 자격증 200레벨 Post 과정
 
 
DAW(Digital Audio Workstation) 운용 (수준 : 5)
- 정의
 - DAW(Digital Audio Workstation)운용이란 녹음 및 사운드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기위하여 관련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설치, 운용하기 위한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DAW 구성하기
 - 소프트웨어 운용하기
 - 콘트롤러 운용하기
 
 - 지식 및 기술
 - 
										
- DAW
 - 블록다이어그램
 - 사운드디자인
 - 설치및
 - 에디팅
 - 영상음향
 - 오디오
 - 외부기기
 - 운용
 - 주요사양
 - 컨트롤러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음향전문사
 
 - 관련전공
 - 
										
- 멀티미디어 콘텐츠
 - 음악관련학과
 - 컴퓨터공학
 
 - 관련훈련
 - 
										
- 프로툴스 자격증 100레벨 User 과정
 
 
현장녹음 (수준 : 5)
- 정의
 - 현장녹음은 녹음현장에서 주변 환경을 정비하고 영상물에 적합한 현장의 소리를 최적화하여 녹음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현장녹음 준비하기
 - 붐 오퍼레이팅하기
 - 현장 녹음하기
 
 - 지식 및 기술
 - 
										
- 노이즈
 - 녹음
 - 녹음장비
 - 동기신호
 - 레이팅
 - 믹서
 - 부속장비
 - 촬영현장
 - 케이블
 - 핸들링
 - 현장녹음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사교적
 - 성실함
 - 심미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 음향전문사
 
 - 관련전공
 - 
										
- 멀티미디어 콘텐츠
 - 음악관련학과
 - 컴퓨터공학
 
 - 관련훈련
 - 
										
- 프로툴스 자격증 200레벨 Post 과정
 
 
음악녹음 (수준 : 6)
- 정의
 - 음악녹음은 시나리오 및 영상을 분석하고 음향장비를 설치하여 음악을 녹음하고 믹싱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영상콘텐츠 분석하기
 - 마이크 세팅하기
 - 음악 녹음하기
 - 음악 믹스다운하기
 
 - 지식 및 기술
 - 
										
- DAW
 - 녹음
 - 사운드
 - 시그널프로세서
 - 영상
 - 오디오
 - 음색
 - 음악
 - 음압
 - 음원
 - 트랙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보수적
 - 성실함
 - 심미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 음향전문사
 
 - 관련전공
 - 
										
- 멀티미디어 콘텐츠
 - 음악관련학과
 - 컴퓨터공학
 
 
후반녹음 (수준 : 5)
- 정의
 - 후반 녹음이란 현장녹음을 보충하고 후반 작업에 필요한 대사와 효과음을 녹음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후반녹음 준비하기
 - 대사 녹음하기
 - 효과음 녹음하기
 
 - 지식 및 기술
 - 
										
- DAW
 - 녹음
 - 녹음장비
 - 대사
 - 멀티트랙
 - 연출자
 - 오디오
 - 폴리녹음
 - 현장녹음
 - 효과음
 - 후반녹음
 
 - 수행태도
 - 
										
- 계량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성실함
 - 심미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집중력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 음향전문사
 
 - 관련전공
 - 
										
- 멀티미디어 콘텐츠
 - 음악관련학과
 - 컴퓨터공학
 
 - 관련훈련
 - 
										
- 프로툴스 자격증 200레벨 Post 과정
 
 
사운드 편집 (수준 : 6)
- 정의
 - 사운드 편집이란 사전 녹음된 음원과 준비된 효과음을 영상물에 맞춰 편집하고 디자인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사운드 편집 준비하기
 - 대사 편집하기
 - 효과음 편집하기
 - 사운드 디자인하기
 
 - 지식 및 기술
 - 
										
- DAW
 - 대사
 - 사운드
 - 사운드디자인
 - 사운드편집
 - 시그널프로세서
 - 영상
 - 편집
 - 플러그인
 - 현장녹음
 - 효과음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보수적
 - 사교적
 - 성실함
 - 심미적
 - 응용력
 - 자율적
 - 적극적
 - 집중력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 음향전문사
 
 - 관련전공
 - 
										
- 멀티미디어 콘텐츠
 - 음악관련학과
 - 컴퓨터공학
 
 - 관련훈련
 - 
										
- 프로툴스 자격증 200레벨 Post 과정
 
 
믹스 (수준 : 6)
- 정의
 - 믹스(Mix)란 영상의 의도에 따라 녹음, 편집된 사운드 소스의 음색, 음량, 음상 등을조절하여 음향제작의 결과물을 도출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프리믹스하기
 - 오디오 시그널 프로세싱하기
 - 음상과 밸런스 조절하기
 - 파이널믹스하기
 
 - 지식 및 기술
 - 
										
- DAW
 - 다이내믹
 - 멀티채널
 - 믹스
 - 믹싱콘솔
 - 사운드
 - 소스
 - 스템
 - 연출자
 - 영상
 - 오디오
 
 - 수행태도
 -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심미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 음향전문사
 
 - 관련전공
 - 
										
- 멀티미디어 콘텐츠
 - 음악관련학과
 - 컴퓨터공학
 
 - 관련훈련
 - 
										
- 프로툴스 자격증 200레벨 Post 과정
 
 
마스터링 (수준 : 6)
- 정의
 - 마스터링(mastering)이란 믹스가 종료된 이후 영상물이 배포되는 형태에 따라 적합한포맷으로 변환하고 점검, 보완할 수 있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DCP오디오 마스터링하기
 - 스템 마스터링하기
 - 다운 믹스하기
 
 - 지식 및 기술
 - 
										
- DAW
 - DCP
 - 디지털오디오
 - 마스터
 - 마스터링
 - 멀티채널
 - 믹스
 - 믹싱콘솔
 - 스템
 - 오디오
 - 포맷
 
 - 수행태도
 -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관련자격증
 - 
										
-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 음향전문사
 
 - 관련전공
 - 
										
- 멀티미디어 콘텐츠
 - 음악관련학과
 - 컴퓨터공학
 
 - 관련훈련
 - 
										
- 프로툴스 자격증 200레벨 Post 과정
 
 
사후관리 (수준 : 3)
- 정의
 - 사후관리란 녹음된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작업장을 정리하며 작업에 발생한 비용을 정산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데이터 관리하기
 - 작업장 정리하기
 - 비용정산하기
 
 - 지식 및 기술
 - 
										
- 녹음장비
 - 데이터
 - 데이터관리
 - 데이터파일
 - 백업
 - 비용정산
 - 작업일지
 - 작업자
 - 저장매체
 - 회계관리
 - 후반작업
 
 - 수행태도
 -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사교적
 - 성실함
 - 안전우선
 - 인간적
 - 자율적
 - 전략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음향전문사
 
 - 관련전공
 - 
										
- 멀티미디어 콘텐츠
 - 음악관련학과
 - 컴퓨터공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