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내용
학과소개
외선공사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가정, 공장, 빌딩 등 사용자설비까지 공급하기 위한 송전, 배전관련 설비를 공사하 는 일이다.
							능력단위
공사계획 (수준 : 5)
- 정의
 - 공사계획이란 송배전설비 공사를 위하여 현장조사, 착공서류작성, 대관업무검토, 공사예산 및 공정계획수립 등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현장조사하기
 - 착공서류 작성하기
 - 대관업무 검토하기
 - 공사예산 수립하기
 - 공정계획 수립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계약내역서
 - 공사
 - 공사계획
 - 도로점용허가
 - 일위대가
 - 적산
 - 지급자재
 - 착공서류
 - 책임자
 - 항공장애등
 - 현장관리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 발송배전기술사
 - 전기공사기사
 - 전기공사산업기사
 - 전기기능장
 - 전기기사
 - 전기산업기사
 - 전기안전기술사
 - 전기응용기술사
 - 전기철도기사
 - 전기철도기술사
 - 전기철도산업기사
 - 철도신호기사
 - 철도신호기술사
 - 철도신호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기관련 학과
 
 - 관련훈련
 - 
										
- 외선전공 양성과정(배전분야)
 
 
배전가공선로공사 (구버전) (수준 : 3)
- 직무내용
 - 
										
- 지장물 조사하기
 - 건주 작업하기
 - 장주 작업하기
 - 가선 작업하기
 - 전선 접속하기
 
 - 관련훈련
 - 
										
- 배전활선
 - 외선전공 양성과정(배전분야)
 - 배전활선(전기외선)
 - 무정전전공 기능향상 교육
 - 배전가공선로공사 향상과정 (가공배전)
 - 배전가공선로공사 향상과정 (배전활선)
 - 가공배전
 - 가공배전(전기외선)
 - 무정전기능향상
 - 전기공사
 - 배전가공선로공사 향상과정(기계화배전활선)
 - 기계화활선공법
 
 
배전지중공사 (수준 : 4)
- 정의
 - 배전지중공사란 지중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공사계획부터 지장물 조사, 굴착작업, 맨홀설치, 관로부설, 케이블포설 등을 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지장물 조사하기
 - 굴착 작업하기
 - 맨홀 설치하기
 - 관로 부설하기
 - 케이블 포설하기
 
 - 지식 및 기술
 - 
										
- 굴착
 - 다짐
 - 단말처리
 - 되메우기
 - 맨홀
 - 모래
 - 방수
 - 설계도서
 - 침하방지
 - 케이블
 - 케이블포설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무정전전공
 - 전기공사기사
 - 전기공사산업기사
 - 전기기능장
 - 전기기사
 - 전기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사
 - 전기철도산업기사
 - 지중배전전공
 - 철도신호기사
 - 철도신호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기관련 학과
 
 - 관련훈련
 - 
										
- 배전지중공사 기능향상교육
 - 배전지중공사 향상과정 (지중배전)
 - 지중배전(전기외선)
 - 외선전공 양성과정(배전분야)
 - 배전지중공사 기능교육
 - 배전지중공사(지중배전전공양성)
 - 지중배전
 - 지중배전기능향상 (자격증취득)
 - 지중배전기능향상
 - 지중배전향상교육(케이블접속신공법)
 - 자기수축형
 - 지중배전기능향상(전기외선)
 - 지중배전전공 양성(자격증취득)
 - 배전지중공사 향상과정(지중배전전공)
 - 전기기능사
 - 지중배전 기능향상 전공 교육(배전지중공사 향상과정)
 - 지중배전기능 자격증취득과정
 - 지중배전전공 양성(배전지중공사 기능교육)
 - 지중배전전공
 - 배전지중공사 향상과정(지중배전)
 - 지중배전전공 기능향상
 - 지중배전전공교육
 - 지중배전기능자격증 연장과정
 - 전기공사
 - 지중배전 기능향상
 - 배전지중공사(지중배전기능향상)
 - 지중배전전공 취득
 - 외선전공양성과정(배전전문인력)
 
 
배전기기 설치공사 (구버전) (수준 : 4)
- 직무내용
 - 
										
- 자재 검수하기
 - 안전관리하기
 - 변압기 설치하기
 - 개폐기 설치하기
 - 지상기기 설치하기
 
 - 관련훈련
 - 
										
- 배전활선
 - 외선전공 양성과정(배전분야)
 - 무정전전공 기능향상 교육
 - 무정전(전기외선)
 - 무정전 기능향상
 - 무정전
 - 무정전기능향상
 - 배전기기설치공사 향상과정(무정전)
 - 전기공사
 - 무정전기능향상(전기외선)
 
 
신기술 적용공사 (수준 : 6)
- 정의
 - 신기술 적용공사란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공사원가를 절감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외선공사에 신기술을 적용한 활선ㆍ무정전 공사, 송전공사, 배전공사, HVDC 공사 등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신기술 활선ㆍ무정전 공사하기
 - 신기술 송전 공사하기
 - 신기술 배전공사하기
 - HVDC 공사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공사
 - 매설
 - 무정전
 - 신기술
 - 연선
 - 전력
 - 전선관
 - 케이블
 - 케이블포설
 - 해저
 - 활선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인간적
 - 적극적
 - 전략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 발송배전기술사
 - 전기공사기사
 - 전기공사산업기사
 - 전기기능장
 - 전기기사
 - 전기산업기사
 - 전기안전기술사
 - 전기응용기술사
 - 전기철도기사
 - 전기철도기술사
 - 전기철도산업기사
 - 철도신호기사
 - 철도신호기술사
 - 철도신호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기관련 학과
 
 - 관련훈련
 - 
										
- 무정전전공
 - 무정전기능향상
 - 배전활선전공
 
 
철탑공사 (구버전) (수준 : 6)
- 직무내용
 - 
										
- 철탑 기초 공사하기
 - 철탑 안전설비 설치하기
 - 철탑 조립장비 설치하기
 - 철탑 조립하기
 - 헬기이용 작업하기
 
 - 관련훈련
 - 
										
- 송전전기원 양성교육
 
 
송전가공선로공사 (구버전) (수준 : 5)
- 직무내용
 - 
										
- 금구류 설치하기
 - 가선 작업하기
 - 긴선 작업하기
 - 가공지선 작업하기
 - 애자류 설치하기
 
 - 관련훈련
 - 
										
- 송전전기원 양성교육
 - 송전전기원 기능향상
 
 
송전관로 포설공사 (구버전) (수준 : 4)
- 직무내용
 - 
										
- 관로작업 전 점검하기
 - 관로 공사하기
 - 지중금구류 설치하기
 - 전력구 설치하기
 - 관로도통 시험하기
 
 - 관련훈련
 - 
										
- 외선전공 양성과정(배전분야)
 - 전기공사
 
 
송전지중케이블공사 (구버전) (수준 : 5)
- 직무내용
 - 
										
- 케이블 준비 작업하기
 - 케이블 포설하기
 - OF(Oil Filled) 케이블 접속하기
 - CV(XLPE) 케이블 접속하기
 - 접지계통 시공하기
 - 케이블 시험하기(OF and CV(XLPE))
 
 - 관련훈련
 - 
										
- 지중배전전공 기능향상 교육
 
 
검사·준공 (구버전) (수준 : 6)
- 직무내용
 - 
										
- 시험측정하기
 - 사용전 검사하기
 - 충전ㆍ가압하기
 - 준공검사하기
 
 
배전가공지지물공사 (수준 : 3)
- 정의
 - 배전가공지지물공사란 배전설비인 가공전선을 설치하여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지장물 조사, 건주작업을 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지장물 조사하기
 - 건주 작업하기
 - 장주 작업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공구
 - 볼트조임
 - 시공
 - 애자
 - 인장
 - 전선
 - 지선
 - 지장물
 - 지주
 - 차량
 - 취부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전략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가공배전전공
 - 무정전전공
 - 배전활선전공
 - 전기기능장
 - 전기기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사(산업기사) 철도신호기사(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기관련 학과
 
 - 관련훈련
 - 
										
- 배전담당기술자양성
 - 기계화공간확장 활선공법교육
 - 전기기능사
 - 배전가공선로공사 향상과정 (가공배전)
 - 가공배전
 - 기계화활선공법(단기)
 - 가공배전전공
 - 배전기술자양성
 - 전기공사(외선 내선)기술자양성
 - 가공배전전공 취득
 - 외선전공양성과정(배전전문인력)
 
 
배전가공선로공사 (수준 : 3)
- 정의
 - 배전가공선로공사란 배전설비인 가공전선을 설치하여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가선작업 및 전선을 접속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가선 작업하기
 - 전선 접속하기
 
 - 지식 및 기술
 - 
										
- 다이스
 - 분기
 - 슬리브
 - 시공실무
 - 알루미늄
 - 압축기
 - 애자
 - 이도
 - 전기?에너지
 - 전선
 - 취부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가공배전전공
 - 무정전전공
 - 배전활선전공
 - 전기기능장
 - 전기기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사(산업기사) 철도신호기사(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기관련 학과
 
 - 관련훈련
 - 
										
- 배전활선
 - 배전가공선로공사 향상과정(배전활선)
 - 가공배전전공교육
 - 배전담당기술자양성
 - 배전담당 기초실무
 - 무정전전공기능향상교육
 - 무정전전공
 - 배전가공선로공사 향상과정 (가공배전)
 - 배전담당기초실무
 - 무정전전공교육
 - 전기기능사
 - 가공배전
 - 배전활선전공 취득
 - 무정전기능향상
 - 송전전기원(2급)양성교육
 - 가공배전전공
 - 배전활선전공
 - 배전기술자양성
 - 외선전공양성과정(배전전문인력)
 - 전기공사(외선 내선)기술자양성
 - 가공배전전공 취득
 
 
배전기기준비 (수준 : 3)
- 정의
 - 배전기기 준비란 주상 또는 지상에 설치하는 변압기, 개폐기류에 대하여 적정한 기기를 설치하기 위하여 자재를 검수하고 안전을 관리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자재 검수하기
 - 안전관리하기
 
 - 지식 및 기술
 - 
										
- COS
 - 개폐장치
 - 기초공사
 - 낙하방지
 - 내전압
 - 변압기
 - 설계도서
 - 설치
 - 소요자재
 - 절연내력
 - 주상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가공배전전공
 - 무정전전공
 - 배전활선전공
 - 전기기능장
 - 전기기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사(산업기사) 철도신호기사(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기관련 학과
 
 - 관련훈련
 - 
										
- 배전담당기술자양성
 - 배전활선전공교육
 - 전기기능사
 - 배전기술자양성
 - 전기공사(외선 내선)기술자양성
 - 외선전공양성과정(배전전문인력)
 
 
배전기기설치공사 (수준 : 3)
- 정의
 - 배전기기 설치공사란 주상 또는 지상에 설치하는 변압기, 개폐기, 지상기기에 대하여적정한 기기를 안전하게 설치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변압기 설치하기
 - 개폐기 설치하기
 - 지상기기 설치하기
 
 - 지식 및 기술
 - 
										
- COS
 - 개폐장치
 - 결선
 - 기초공사
 - 내전압
 - 리드선
 - 변압기
 - 보호방식
 - 설치
 - 제어회로
 - 주상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가공배전전공
 - 무정전전공
 - 배전활선전공
 - 전기기능장
 - 전기기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사(산업기사) 철도신호기사(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기관련 학과
 
 - 관련훈련
 - 
										
- 배전활선
 - 배전담당기술자양성
 - 배전활선전공교육
 - 무정전전공
 - 전기기능사
 - 무정전전공 취득
 - 무정전기능향상
 - 무정전
 - 배전기기설치공사 향상과정(무정전)
 - 가공배전전공
 - 전기공사(외선 내선)기술자양성
 - 배전기술자양성
 - 배전활선전공
 - 외선전공양성과정(배전전문인력)
 
 
철탑기초공사 (수준 : 5)
- 정의
 - 철탑기초공사란 송전가공선로를 지지하기 위한 철강재구조물로서 기초공사와 안전설비를 설치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철탑 기초 공사하기
 - 철탑 안전설비 설치하기
 
 - 지식 및 기술
 - 
										
- 기초공사
 - 말뚝
 - 안전로프
 - 우물통
 - 주주
 - 철탑
 - 철탑기초
 - 철탑부지
 - 추락방지
 - 콘크리트
 - 현장관리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송전전기원
 - 전기기능장
 - 전기기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사(산업기사) 철도신호기사(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기관련 학과
 
 
철탑조립공사 (수준 : 5)
- 정의
 - 철탑조립공사란 송전가공선로를 지지하기 위한 철강재구조물로서 기초공사, 안전설비설치를 바탕으로 철탑을 조립하는 능력이다.ㄴ
 - 직무내용
 - 
										
- 철탑 조립장비 설치하기
 - 철탑 조립하기
 - 헬기이용 작업하기
 
 - 지식 및 기술
 - 
										
- ARM
 - 기중기
 - 말뚝
 - 시공계획서
 - 이동식크레인
 - 조립
 - 주주
 - 철탑
 - 철탑조립
 - 헬기
 - 현장관리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송전전기원
 - 전기기능장
 - 전기기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사(산업기사) 철도신호기사(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기관련 학과
 
 - 관련훈련
 - 
										
- 송전전기원(2급)양성교육
 
 
연선공사 (수준 : 5)
- 정의
 - 연선공사란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변전소까지 공급하는 설비로서 철탑과 철탑사이의 송전가공선로를 설치하기 위한 금구류 설치와 연선작업을 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금구류 설치하기
 - 연선 작업하기
 
 - 지식 및 기술
 - 
										
- 금구류
 - 설치
 - 슬리브
 - 시공계획서
 - 애자
 - 애자장치
 - 앵커
 - 이도
 - 전기?에너지
 - 철구
 - 철탑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송전전기원
 - 전기기능장
 - 전기기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사(산업기사) 철도신호기사(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기관련 학과
 
 - 관련훈련
 - 
										
- 송전전기원기능향상교육
 - 송전전기원양성교육
 
 
긴선공사 (수준 : 5)
- 정의
 - 긴선공사란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변전소까지 공급하는 설비로서 철탑과 철탑사이의 송전가공선로를 설치하기 위한 긴선, 가공지선, 애자류 등을 작업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긴선 작업하기
 - 가공지선 작업하기
 - 애자류 설치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간접법
 - 금구류
 - 볼트
 - 스페이서
 - 알루미늄
 - 애자
 - 애자장치
 - 이도
 - 전선
 - 직접법
 - 취부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송전전기원
 - 전기기능장
 - 전기기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사(산업기사) 철도신호기사(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기관련 학과
 
 - 관련훈련
 - 
										
- 송전전기원양성교육
 
 
송전관로포설공사 (수준 : 4)
- 정의
 - 송전관로포설공사란 지중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하여 관로공사, 지중금구류 설치, 전력구 설치 등을 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관로 공사하기
 - 지중금구류 설치하기
 - 전력구 설치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가변저항
 - 공동구
 - 관로공사
 - 금구류
 - 설치
 - 안전대책
 - 앵커볼트
 - 접지저항
 - 지지대
 - 콘크리트강도
 - 터파기
 
 - 수행태도
 -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송전전기원
 - 전기기능장
 - 전기기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사(산업기사) 철도신호기사(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기관련 학과
 
 - 관련훈련
 - 
										
- 외선전공양성과정(배전전문인력)
 
 
송전안전대책공사 (수준 : 3)
- 정의
 - 송전안전대책공사란 지중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하여 관로·전력구 작업전 점검 및 케이블 작업을 준비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관로?전력구 작업전 점검하기
 - 케이블 작업 준비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가스검지기
 - 공동구
 - 관로공사
 - 모래
 - 물의종류
 - 설치
 - 송전
 - 안전대책
 - 안전시설
 - 추락방지
 - 케이블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송전전기원
 - 전기기능장
 - 전기기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사(산업기사) 철도신호기사(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기관련 학과
 
 - 관련훈련
 - 
										
- 배전담당기술자양성
 - 전기공사(외선 내선)기술자양성
 - 외선전공양성과정(배전전문인력)
 
 
송전지중케이블포설공사 (수준 : 5)
- 정의
 - 송전지중케이블포설공사란 케이블을 지중의 관로 및 전력구에 설치하기 위하여 관로를도통하고 케이블을 포설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관로도통 시험하기
 - 케이블 포설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공동구
 - 도통시험
 - 방식
 - 유해가스
 - 전기?에너지
 - 접지계통
 - 케이블
 - 케이블포설
 - 포설
 - 행거
 - 홀더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송전전기원
 - 전기기능장
 - 전기기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사(산업기사) 철도신호기사(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기관련 학과
 
 
송전지중케이블접속공사 (수준 : 5)
- 정의
 - 송전지중케이블접속공사란 케이블을 지중의 관로 및 전력구에 설치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접속하고 접지계통을 시공하며 케이블 시험을 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케이블 접속하기
 - 접지계통 시공하기
 - 케이블 시험하기
 
 - 지식 및 기술
 - 
										
- XLPE
 - 내전압시험
 - 슬리브
 - 절연유
 - 절연지
 - 접속부
 - 접지계통
 - 진공펌프
 - 케이블
 - 케이블접속
 - 하우징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송전전기원
 - 전기기능장
 - 전기기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사(산업기사) 철도신호기사(산업기사)
 
 - 관련전공
 - 
										
- 전기관련 학과
 
 
시험 (수준 : 5)
- 정의
 - 시험이란 전기외선공사 준공을 위하여 시험측정과 충전·가압을 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시험측정하기
 - 충전ㆍ가압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가압
 - 개구부
 - 개폐장치
 - 시설물
 - 시험측정
 - 신고필증
 - 압축력
 - 연락체계
 - 전기공사
 - 준공
 - 지중선로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 발송배전기술사
 - 전기기능장
 - 전기기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산업기사)
 - 전기안전기술사
 - 전기응용기술사
 - 전기철도기사(산업기사) 철도신호기사(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술사
 - 철도신호기술사
 
 - 관련전공
 - 
										
- 전기관련 학과
 
 - 관련훈련
 - 
										
- 케이블VLF진단인력 양성교육(기본)
 
 
준공검사 (수준 : 5)
- 정의
 - 준공검사란 전기외선공사 준공을 위하여 사용전 검사와 준공검사를 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사용전 검사하기
 - 준공검사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개구부
 - 발주자
 - 신고필증
 - 이도
 - 인계
 - 인수
 - 전기공사
 - 절연간격
 - 접지저항
 - 준공
 - 지상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 발송배전기술사
 - 전기기능장
 - 전기기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산업기사)
 - 전기안전기술사
 - 전기응용기술사
 - 전기철도기사(산업기사) 철도신호기사(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술사
 - 철도신호기술사
 
 - 관련전공
 - 
										
- 전기관련 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