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내용
학과소개
운항관리란 항공기 운항에 필요한 정보를 분석하여 비행계획의 수립과 변경을 수행하고 항공기 연료 소비량의 산출과 항 공기 운항의 통제와 감시를 수행함으로써 항공기 운항의 안전성, 정시성, 쾌적성, 경제성을 제고하는 일이다.
							능력단위
비행계획 수립 (수준 : 5)
- 정의
 - 비행계획 수립이란 항공정보 확인, 항공기성능 분석, 항로 선정, 기상정보 분석, 교체공항 선정을 통하여 비행계획을 준비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비행정보 분석하기
 - 항로 선정하기
 - 기상정보 분석하기
 - 교체공항 선정하기
 
 - 지식 및 기술
 - 
										
- AIP
 - ANNEX
 - NOTAM
 - 부속
 - 비행계획
 - 항공고시보
 - 항공기상
 - 항공법령
 - 항공정보
 - 항공정보간행물
 - 해독능력
 
 - 수행태도
 - 
										
- 계획적
 - 과학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전략적
 
 - 관련자격증
 - 
										
- 운항관리사
 
 - 관련전공
 - 
										
- 운항관리 관련 학과
 
 
비행계획서 작성 (수준 : 5)
- 정의
 - 비행계획서 작성이란 유·무상 탑재중량을 기준으로 순항고도 결정, 비행시간산출, 연료량 산출, 항공교통업무 비행계획서를 작성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순항고도 결정하기
 - 비행시간 산출하기
 - 연료량 산출하기
 - 항공교통업무 비행계획 작성하기
 
 - 지식 및 기술
 - 
										
- AIP
 - ATS
 - NOTAM
 - flight
 - 노선지침서
 - 비행계획서
 - 연료량
 - 항공고시보
 - 항공교통
 - 항공기비행
 - 항공정보간행물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논리적
 - 사교적
 - 인간적
 - 자율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운항관리사
 
 - 관련전공
 - 
										
- 운항관리 관련 학과
 
 
운항허가 확인 (수준 : 4)
- 정의
 - 운항허가 확인이란 노선분석에 의거 허가기준, 운항내역, 항공기 운항일정을 확인하여해당 항공당국의 운항허가를 득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허가기준 확인하기
 - 항로 확인하기
 - 운항내역 확인하기
 
 - 지식 및 기술
 - 
										
- AIP
 - 기상자료
 - 노선지침서
 - 운항계획
 - 운항규정
 - 항공고시보
 - 항공기
 - 항공기비행
 - 항공기성능
 - 항공정보간행물
 - 허가기준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합리적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운항관리사
 
 - 관련전공
 - 
										
- 운항관리 관련 학과
 
 
항공정보 활용 (수준 : 3)
- 정의
 - 항공정보 활용이란 항공정보 수집, 분석, 분류, 배포, 보관을 통하여 안전운항을 실현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항공정보 수집하기
 - 항공정보 분류하기
 - 항공정보 배포하기
 - 항공정보 보관하기
 
 - 지식 및 기술
 - 
										
- AIP
 - ANNEX
 - NOTAM
 - 교체공항
 - 노선지침서
 - 부속
 - 운항규정
 - 항공고시보
 - 항공정보
 - 항공정보간행물
 - 해독능력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사교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관련자격증
 - 
										
- 운항관리사
 
 - 관련전공
 - 
										
- 전공무관
 
 
운항 브리핑 (수준 : 5)
- 정의
 - 운항브리핑이란 비행계획서류를 확인, 배포, 브리핑하여 안전운항을 실현하기 위한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비행계획서류 확인하기
 - 비행계획서류 배포하기
 - 비행계획서류 브리핑하기
 
 - 지식 및 기술
 - 
										
- DOC
 - flight
 - 배포
 - 비행계획
 - 비행계획서
 - 운항규정
 - 통신시스템
 - 항공고시보
 - 항공기상
 - 항공법령
 - 항공정보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인간적
 - 자율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운항관리사
 
 - 관련전공
 - 
										
- 운항관리 관련 학과
 
 
비행감시 (수준 : 5)
- 정의
 - 비행 감시란 비행계획, 목적지 공항상태, 출·도착 시간, 위치보고, 비행안전 위해요소를확인하여 안전운항을 확보하기 위한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비행계획 확인하기
 - 목적지 공항 상태 확인하기
 - "출, 도착 시간 확인하기"
 - 위치보고 확인하기
 - 비행 안전 위해요소 확인하기
 
 - 지식 및 기술
 - 
										
- NOTAM
 - 도착시간
 - 목적지공항
 - 비행계획
 - 비행계획서
 - 운항규정
 - 항공고시보
 - 항공기
 - 항공기상
 - 항공법령
 - 항공정보간행물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논리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집중력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운항관리사
 - 항공무선통신사
 
 - 관련전공
 - 
										
- 운항관리 관련 학과
 
 
비정상 상황 관리 (수준 : 6)
- 정의
 - 비정상 상황 관리란 정상운항의 유지가 불가능하거나 예측되는 사태가 발생할 경우에신속하게 대처방안을 도출하여 후속조치를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비정상 유형 판별하기
 - 대처 방안 도출하기
 - 후속 조치하기
 
 - 지식 및 기술
 - 
										
- 비정상상황
 - 사고처리
 - 업무체계
 - 운항규정
 - 점검목록
 - 정비규정
 - 항공기
 - 항공기비행
 - 항공법령
 - 항공정보간행물
 - 후속조치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합리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운항관리사
 
 - 관련전공
 - 
										
- 운항관리 관련 학과
 
 
항공기 운항 스케줄 관리 (수준 : 4)
- 정의
 - 항공기 운항 스케줄 관리란 가용 항공기, 가용 승무원, 예약현황, 지상조업 현황 등을확인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안전운항, 정시운항, 경제운항을 실현하고자 항공기운항 스케줄을 조정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가용 항공기 확인하기
 - 가용 승무원 확인하기
 - 예약 현황 확인하기
 - 지상조업 능력 확인하기
 
 - 지식 및 기술
 - 
										
- operations
 - specifications
 - 승무원
 - 예약현황
 - 운영기준
 - 운항규정
 - 지상조업
 - 항공기비행
 - 항공법령
 - 항공운송
 - 해독능력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운항관리사
 
 - 관련전공
 - 
										
- 운항관리 관련 학과
 
 
운항 결정 (수준 : 5)
- 정의
 - 운항 결정이란 운항 예정 시간대의 기상 상태, 제한사항 여부, 항공기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여 항공편의 운항개시, 중지 또는 지연 조치 여부를 결정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기상 상태 확인하기
 - 제한사항 확인하기
 - 항공기 상태 확인하기
 
 - 지식 및 기술
 - 
										
- AIP
 - METAR
 - NOTAM
 - 기상상태
 - 일기도
 - 제한사항
 - 항공고시보
 - 항공기의
 - 항공정보간행물
 - 항로상
 - 해독능력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과학적
 - 논리적
 - 성실함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운항관리사
 
 - 관련전공
 - 
										
- 운항관리 관련 학과
 
 
운항 통제 관리 (수준 : 5)
- 정의
 - 운항 통제 관리란 운항통제의 품질관리, 운항관리사의 교육훈련, 운항통제 전산시스템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품질관리 실행하기
 - 교육 훈련 실행하기
 - 전산시스템 운영하기
 - 안전관리 시스템 운영하기
 
 - 지식 및 기술
 - 
										
- AIP
 - SMS
 - 교육훈련
 - 안전관리시스템
 - 운항관리사
 - 운항규정
 - 운항통제
 - 전산시스템
 - 품질관리
 - 항공법령
 - 항공정보간행물
 
 - 수행태도
 - 
										
- 계획적
 - 논리적
 - 사교적
 - 성실함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책임감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운항관리사
 
 - 관련전공
 - 
										
- 운항관리 관련 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