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첨가제제조 / 직무사전

화학 > 정밀화학제품제조 > 기능성정밀화학제품제조

직무내용

학과소개

첨가제제조는 화학제품의 성능을 향상, 또는 부가가치를 높이거나, 제조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수한 목적의 기능을 갖는 첨가제를 생산하고 제공하는 일이다.

능력단위

기준서 검토 (수준 : 5)

정의
기준서 검토란 첨가제 제조를 위한 제품기준서 검토 , 제조공정기준서 작성, 품질관리기준서 파악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제품기준서 검토하기
  • 제조공정기준서 파악하기
  • 품질관리기준서 파악하기
  • 물질등록상황 파악하기
지식 및 기술
  • 공정기준서
  • 무기화학
  • 유기화학
  • 정밀화학
  • 제품기준서
  • 제품물성
  • 첨가제
  • 화학물질
  • 화학물질관리법
  • 화학물질정보시스템
  • 화학적특성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조직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 화공기술사
  • 화학분석기능사
  • 화학분석기사
관련전공
  • 화공
  • 화학계열

시험생산 (수준 : 5)

정의
시험생산이란 정밀화학 제품의 양산에 앞서 생산조건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시제품 시험생산 공정 구성, 시제품 생산, 시제품 평가,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시험생산 공정 구성하기
  • 시제품 생산하기
  • 시제품 평가하기
  •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하기
지식 및 기술
  • P&ID
  • PFD
  • 공정도
  • 물질
  • 물질수지
  • 생산
  • 시제품
  • 시험생산
  • 안전보건자료
  • 첨가제
  • 화학물질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과학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생산적
  • 성실함
  • 실천적
  • 안전우선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효율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 화공기술사
관련전공
  • 화공
  • 화학계열

원부재료 관리 (수준 : 5)

정의
첨가제 제조 원부재료관리란 첨가제를 생산하기 위하여 원부재료선정, 원부재료 소요량 결정, 원부재료 구매, 원부재료품질 평가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원부재료선정하기
  • 원부재료소요량결정하기
  • 원부재료구매하기
  • 원부재료품질평가하기
지식 및 기술
  • 관리규정
  • 구매계획
  • 무기화학
  • 생산계획
  • 시험기기
  • 시험분석
  • 원료
  • 원료품질
  • 원부
  • 유기
  • 첨가제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사교적
  • 생산적
  • 성실함
  • 실천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 화공기술사
관련전공
  • 화공
  • 화학계열

대량생산 (수준 : 5)

정의
대량생산이란 정해진 원료와 공정설비를 이용하여 목표로 하는 첨가제를 생산하기 위해 생산계획수립, 계측기 점검, 생산설비 점검, 생산공정 결정, 양산, 공정시료분석 등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생산계획 수립하기
  • 계측기 점검하기
  • 생산설비 점검하기
  • 생산공정 결정하기
  • 양산하기
  • 공정시료 분석하기
지식 및 기술
  • PSM
  • 계측기기
  • 교정관리
  • 대량생산
  • 생산계획
  • 생산공정
  • 생산공정도
  • 생산설비
  • 시료
  • 작업표준서
  • 첨가제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과학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사교적
  • 생산적
  • 자율적
  • 적극적
  • 책임감
  • 친환경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 화공기술사
  • 화학분석기능사
  • 화학분석기사
관련전공
  • 화공
  • 화학 계열

품질관리 (수준 : 3)

정의
품질관리란 첨가제의 적절한 품질관리를 하기 위해 분석기기 점검, 제품품질 평가, 불량대책 수립, 고객불만 대응 등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분석기기 관리하기
  • 제품품질 평가하기
  • 불량대책 수립하기
  • 고객불만 대응하기
지식 및 기술
  • AMP
  • 고객불만
  • 공업규격
  • 교정절차서
  • 분석결과
  • 분석기기
  • 분석장치
  • 불량원인
  • 불량제품
  • 제품품질
  • 첨가제
수행태도
  • 계량적
  • 과학적
  • 관용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집중력
  • 합리적
  • 효율적
관련자격증
  • 품질경영기사
  • 품질경영산업기사
  • 품질관리기술사
  • 화공기사
  • 화공기술사
  • 화학분석기능사
  • 화학분석기사
관련전공
  • 화공계열
  • 화학계열

포장·출하관리 (수준 : 3)

정의
포장·출하관리란 생산된 첨가제 제품을 출하하기 위해 제품포장, 재고관리, 출하관리,반품대책수립 등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제품포장하기
  • 재고관리하기
  • 출하관리하기
  • 반품대책 수립하기
지식 및 기술
  • GHS
  • ghs-msds
  • logistics
  • 유통기간
  • 재고관리
  • 제품포장
  • 첨가제
  • 출하
  • 출하계획
  • 출하관리
  • 포장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안전우선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관련자격증
  • 포장기사
  • 포장기술사
  • 포장산업기사
관련전공
  • 공업계열

환경·안전관리(구버전) (수준 : 4)

직무내용
  • 관련법규 파악하기
  • 유해물질 관리하기
  • 현장 안전관리하기
  • 환경영향 평가하기
  • 비상사태 대응하기

환경점검 (수준 : 3)

정의
환경 점검이란 첨가제 생산과 관련된 작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환경을 확인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환경관리규정 실행, 환경 설비 운전, 환경사고대처 등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환경관리규정 실행하기
  • 환경설비 운전하기
  • 환경사고 대응하기
지식 및 기술
  • 비상사태
  • 음식물쓰레기
  • 재활용품
  • 첨가제
  • 폐기물
  • 합성공정
  • 화학물질
  • 화학물질관리법
  • 환경관리
  • 환경사고
  • 환경오염사고
수행태도
  • 계량적
  • 과학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보수적
  • 사교적
  • 생산적
  • 성실함
  • 실천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친환경적
관련전공
  • 공업계열

환경관리 (수준 : 5)

정의
환경관리란 첨가제 생산과 관련된 작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환경을 예측·분석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환경법규파악, 환경 위험요소 개선, 환경사고 조치 등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환경관리법규 파악하기
  • 환경관련 위험요소 개선하기
  • 환경사고 예방하기
지식 및 기술
  • 물질
  • 비상사태
  • 안전보건자료
  • 음식물쓰레기
  • 첨가제
  • 합성공정
  • 화학물질
  • 화학물질관리법
  • 환경관리
  • 환경법규
  • 환경오염사고
수행태도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생산적
  • 성실함
  • 실천적
  • 안전우선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관련자격증
  • 화공기사
  • 화공기술사
  • 화학분석기능사
  • 화학분석기사
  • 환경기사
관련전공
  • 화학 계열
  • 환경

직무사전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