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캐릭터유통·서비스 / 직무사전

문화·예술·디자인·방송 > 문화콘텐츠 > 문화콘텐츠유통·서비스

직무내용

학과소개

캐릭터 유통서비스란 캐릭터 사업자가 캐릭터 가치를 창출하고 보호하기 위해 사용권자에게 캐릭터 상품의 제조 관리를 위임하여 수익창출을 하는 일이다

능력단위

캐릭터 상품 사업화 조사(라이선서) (수준 : 4)

정의
캐릭터 사업화 조사란 사업화 계획 수립을 위하여 소비자, 상품, 유통, 산업정책을 조사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캐릭터 상품 소비자 조사하기
  • 캐릭터 상품 시장 조사하기
  • 캐릭터 유통 시장 조사하기
  • 캐릭터 산업정책 조사하기
지식 및 기술
  • 기존자료
  • 기초자료
  • 사업화
  • 산업정책
  • 연구자
  • 유통
  • 제조업
  • 조사
  • 캐릭터
  • 캐릭터산업
  • 캐릭터상품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사교적
  • 성실함
  • 심미적
  • 자율적
  • 조직적
  • 합리적
관련전공
  • 문화 콘텐츠 관련학과

캐릭터 상품 유통시장 분석(라이선서) (수준 : 5)

정의
캐릭터 유통 시장분석이란 사업화 계획 수립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해 소비자, 상품시장, 유통시장, 산업정책을 분석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캐릭터 상품 소비자 분석하기
  • 캐릭터 상품 시장 분석하기
  • 캐릭터 유통 시장 분석하기
  • 캐릭터 산업정책 분석하기
지식 및 기술
  • 경제지표
  • 산업정책
  • 선호
  • 소비자
  • 소비패턴
  • 시장
  • 유통
  • 캐릭터
  • 캐릭터산업
  • 캐릭터상품
  • 트랜드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기술적
  • 논리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조직적
  • 합리적
관련전공
  • 경영/경재 학과

캐릭터 권리 확보 보호(라이선서) (수준 : 3)

정의
캐릭터 권리 확보 보호란 지적 재산권 보호를 위하여 해당관련 기관을 통해 저작권을확보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캐릭터 지적 재산권 이해와 저작권 등록하기
  • 캐릭터 상표 등록하기
  • 캐릭터 의장 및 디자인등록하기
지식 및 기술
  • 관심
  • 권리
  • 디자인등록
  • 사진촬영
  • 상표등록
  • 상표법
  • 서류
  • 저작권
  • 저작권등록
  • 지식재산권
  • 캐릭터
수행태도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논리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관련전공
  • 디자인 관련학과
  • 영업마케팅
  • 캐릭터

캐릭터 사업화 계획 수립(라이선서) (수준 : 7)

정의
캐릭터 사업화 계획 수립이란 캐릭터의 가치와 수익 창출을 위하여, 마케팅 예산 사업계획 상품화 계획 제안서를 작성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캐릭터 사업 마케팅 계획 수립하기
  • 캐릭터 사업 예산 계획 수립하기
  • 캐릭터 사업계획서 작성하기
  • 캐릭터 사업 상품화 계획 수립하기
  • 캐릭터 사업 제안서 작성하기
지식 및 기술
  • 마케팅계획
  • 사업
  • 사업계획
  • 사업계획서
  • 사업화
  • 상품화
  • 소비자
  • 예산계획
  • 유통서비스
  • 제안서
  • 캐릭터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논리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합리적
관련전공
  • 경영 관련학과

캐릭터 라이선싱(라이선서) (수준 : 6)

정의
캐릭터 라이선싱이란 캐릭터의 상품화를 위하여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내용에 따른 캐릭터 사용권을 행사하는 것이다.
직무내용
  • 캐릭터 상품 사업화 제안하기
  • 캐릭터 상품 사업화 계약 협상하기
  • 캐릭터 상품 사업화 계약서 작성하기
  • 캐릭터 상품 사업화 관련 법률검토하기
  • 캐릭터 사업 로열티 정산 관리하기
지식 및 기술
  • 계약
  • 계약서
  • 라이센싱
  • 로열티
  • 법률정보
  • 상품화
  • 위기대처
  • 제안
  • 캐릭터
  • 캐릭터산업
  • 표준계약서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독창적
  • 성실함
  • 신뢰감
  • 자신감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합리적
  • 협동적
관련전공
  • 디자인 관련학과

캐릭터 상품 제조기획(라이선시) (수준 : 4)

정의
캐릭터 상품 제조기획이란 상품제조를 목적으로 시장조사와 상품 디자인을 통해,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직무내용
  • 캐릭터 상품 디자인 진행하기
  • 캐릭터 상품 시장조사 진행하기
  • 캐릭터 상품 제조업체 선정하기
  • 캐릭터 상품 가격 결정하기
지식 및 기술
  • 노트
  • 데이터수집
  • 레이아웃
  • 상품
  • 상품디자인
  • 시장조사
  • 유사상품
  • 캐릭터
  • 캐릭터상품
  • 트랜드
  • 트렌드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과학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합리적
관련전공
  • 디자인 관련학과

캐릭터 상품 제조(라이선시) (수준 : 5)

정의
캐릭터상품 제조란 (캐릭터)상품출시를 위하여 샘플제작 및 검수를 통해 (캐릭터)상품을 생산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캐릭터 상품 샘플 제작 진행하기
  • 캐릭터 상품 디자인 검수 진행하기
  • 캐릭터 상품 제조 진행하기
  • 캐릭터 상품 인허가 절차 진행하기
지식 및 기술
  • 등록절차
  • 디자인의도
  • 레이아웃
  • 렌더링
  • 모형제작
  • 상품
  • 샘플제작
  • 인허가
  • 캐릭터
  • 캐릭터상품
  • 프리젠테이션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생산적
  • 성실함
  • 실천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관련전공
  • 디자인 관련 학과
  • 지식재산권 관련학과

캐릭터 상품 유통기획(라이선시) (수준 : 7)

정의
캐릭터 상품 유통기획이란 제조된 상품의 판매를 위하여 국내외 유통시장의 조사를 통해 유통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직무내용
  • 국내외 캐릭터 상품 유통시장 조사하기
  • 캐릭터 상품 유통 계획 수립하기
  • 캐릭터 상품 홍보계획 수립하기
지식 및 기술
  • 국내외
  • 산출
  • 시장
  • 유통
  • 유통계획
  • 캐릭터
  • 캐릭터산업
  • 캐릭터상품
  • 판매현황
  • 홍보매체
  • 홍보전략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논리적
  • 독창적
  • 사교적
  • 성실함
  • 실천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합리적
관련전공
  • 디자인 관련학과

캐릭터 상품 유통 마케팅(라이선시) (수준 : 5)

정의
캐릭터 상품 유통 마케팅이란, 상품판매 촉진을 위하여 관련 매체를 통해 광고, 홍보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캐릭터 상품 광고매체 선정하기
  • 캐릭터 상품 홍보물 제작 진행하기
  • 캐릭터 상품 프로모션 진행하기
지식 및 기술
  • 검수능력
  • 광고
  • 극대화
  • 매체
  • 매체특성
  • 제작
  • 캐릭터상품
  • 트렌드변화
  • 프로모션
  • 홍보
  • 홍보물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논리적
  • 실천적
  • 자율적
  • 적극적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관련전공
  • 디자인 관련학과

캐릭터 상품 유통 사후관리(라이선시) (수준 : 6)

정의
캐릭터 상품유통 사후관리란 지속적인 캐릭터 상품 판매를 위하여, 매출재고의 분석과소비자만족을 위해 체계적으로 관리를 하는 능력이다.
직무내용
  • 캐릭터 상품 매출 재고 분석하기
  • 캐릭터 상품 판매결과 및 계획 보고하기
  • 캐릭터 상품 만족도 조사하기
  • 불법 캐릭터 상품 단속 진행하기
지식 및 기술
  • 고객평가
  • 단속
  • 라이센싱
  • 법규
  • 상품
  • 상품판매
  • 시장
  • 정품
  • 지속여부
  • 캐릭터상품
  • 판매량
수행태도
  • 계량적
  • 계획적
  • 관용적
  • 논리적
  • 생산적
  • 성실함
  • 실천적
  • 자율적
  • 적극적
  • 전략적
  • 조직적
  • 책임감
관련전공
  • 디자인 관련학과

직무사전 데이터는 워크넷( www.work.go.kr )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