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내용
학과소개
항공기 엔진·프로펠러 제작은 설계도면에 의거 구성품들을 생산하고 조립하여 제작된 항공기 엔진·프로펠러가 규격에 명시된 성능을 시험하여 그 결과로서 규격 충족성을 보장하는 일이다.
							능력단위
항공기 엔진 제작 요구사항 파악(구버전) (수준 : 4)
- 직무내용
 - 
										
- 도면 해석하기
 - 규격 해석하기
 - 제작·구매계획 수립하기
 
 
항공기 엔진 공정설계(구버전) (수준 : 5)
- 직무내용
 - 
										
- 공정 검토·선정하기
 - 치공구 설계·제작하기
 - CNC 프로그래밍하기
 - 공정도 작성하기
 
 
항공기 엔진·프로펠러 품질·인증 활동(구버전) (수준 : 4)
- 직무내용
 - 
										
- 품질 계획하기
 - 항공품질경영시스템(AS9100 등) 적용하기
 - 제작 인증받기
 - 항공기 엔진·프로펠러 품질과 인증 활동 문서화하기
 
 
항공기 가스터빈엔진 구성품 제작(구버전) (수준 : 5)
- 직무내용
 - 
										
- 팬 모듈 제작하기
 - 압축기 모듈 제작하기
 - 연소기 모듈 제작하기
 - 터빈 모듈 제작하기
 - 배기 모듈 제작하기
 - 액세서리 기어박스 모듈 제작하기
 - 가스터빈엔진 구성품 제작 문서화하기
 
 
항공기 왕복엔진 구성품 제작(구버전) (수준 : 5)
- 직무내용
 - 
										
- 엔진 구동품 제작하기
 - 점화계통 제작하기
 - 윤활계통 제작하기
 - 엔진 연료계통 제작하기
 - 엔진 냉각계통 제작하기
 - 왕복엔진 구성품 제작 문서화하기
 
 
항공기 프로펠러 제작 (수준 : 5)
- 정의
 - 항공기 프로펠러 제작은 블레이드, 허브, 조속기, 가변피치시스템을 제작하고, 그에 따른 제반사항을 문서화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블레이드 제작하기
 - 허브 제작하기
 - 조속기 제작하기
 - 가변피치시스템 제작하기
 - 프로펠러 제작 문서화하기
 
 - 지식 및 기술
 - 
										
- governor
 - 기계장치
 - 블래이드
 - 비파괴
 - 비파괴검사
 - 수치제어
 - 작업확인
 - 제작
 - 프로펠러
 - 항공기프로펠러
 - 허브
 
 - 수행태도
 -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금속가공기술사
 - 기계설계기사
 - 비파괴검사 관련기사
 - 일반기계기사
 - 항공기관기술사
 - 항공기사
 - 항공산업기사
 - 항공정비사
 
 - 관련전공
 - 
										
- 재료공학 계열
 - 항공·기계
 
 
항공기 가스터빈엔진 조립(구버전) (수준 : 4)
- 직무내용
 - 
										
- 모듈 조립하기
 - 구성품 장착하기
 - 차원 측정하기
 - 검사·시험하기
 - 가스터빈엔진 조립 문서화하기
 
 
항공기 왕복엔진 조립 (수준 : 4)
- 정의
 - 항공기 왕복엔진 조립이란 엔진 구동품, 점화계통, 윤활계통, 엔진연료계통, 냉각계통을 조립하고 조립과정을 문서화하는 일이다.
 - 직무내용
 - 
										
- 엔진구동품 조립하기
 - 점화계통 조립하기
 - 엔진 윤활계통 조립하기
 - 엔진 연료계통 조립하기
 - 엔진 냉각계통 조립하기
 - 조립과정 문서화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공구와장비
 - 엔진
 - 연료계통
 - 왕복엔진
 - 윤활계통
 - 점화장치
 - 조립
 - 조립기술
 - 조립도면
 - 진동방지
 - 커넥팅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기계설계기사
 - 일반기계기사
 - 항공기관기술사
 - 항공기사
 - 항공산업기사
 - 항공정비사
 
 - 관련전공
 - 
										
- 항공·기계 계열 전공
 
 
항공기 가스터빈엔진 체계통합 (수준 : 3)
- 정의
 - 항공기 가스터빈엔진 체계통합이란 엔진 조립체 조립, 가스터빈엔진 검사, 가스터빈엔진 시험 수행 및 문서화를 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엔진 조립체 조립하기
 - 가스터빈엔진 검사하기
 - 가스터빈엔진 시험하기
 - 가스터빈엔진 문서화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가스터빈엔진
 - 개구부
 - 시험설비
 - 시험장비
 - 엔진
 - 엔진시험
 - 엔진조립
 - 조립
 - 조립공정
 - 치공구
 - 항공기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검사 관련 기사
 - 기계설계기사
 - 비파괴
 - 일반기계기사
 - 항공기관기술사
 - 항공기사
 - 항공산업기사
 - 항공정비사
 
 - 관련전공
 - 
										
- 항공·기계 계열
 
 
항공기 왕복엔진 체계통합 (수준 : 3)
- 정의
 - 항공기 왕복엔진 체계통합이란 왕복엔진조립, 왕복엔진 기능시험, 왕복엔진차원측정을하고 체계통합에 대해 문서화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왕복엔진 조립하기
 - 왕복엔진 기능시험하기
 - 왕복엔진 차원측정하기
 - 체계통합 문서화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개구부
 - 검사서
 - 기능시험
 - 안전사항
 - 왕복엔진
 - 조립
 - 조립도면
 - 조립품질
 - 차원측정
 - 품질기준서
 - 항공기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기계설계기사
 - 일반기계기사
 - 항공기관기술사
 - 항공기사
 - 항공산업기사
 - 항공정비사
 
 - 관련전공
 - 
										
- 항공·기계 계열
 
 
항공기엔진제작 도면해석 (수준 : 4)
- 정의
 - 항공기엔진 제작 도면해석이란 항공기 엔진제작 도면을 해석하고, 규격을 검토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도면 해석하기
 - 규격 해석하기
 
 - 지식 및 기술
 - 
										
- CATIA
 - CIS
 - DWG
 - PIT
 - 관련규격
 - 규정사항
 - 설계프로그램
 - 제작공정
 - 제작도면
 - 항공기엔진
 - 해석지식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응용력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항공기관기술사
 - 항공기사
 - 항공산업기사
 - 항공정비사
 
 - 관련전공
 - 
										
- 항공·기계 계열
 
 
항공기엔진제작 계획수립 (수준 : 4)
- 정의
 - 항공기엔진 제작 계획수립이란 규격사양에 따라 제작·구매계획을 수립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제작계획 수립하기
 - 구매계획 수립하기
 
 - 지식 및 기술
 - 
										
- CATIA
 - CIS
 - DWG
 - PIT
 - 구매계획
 - 구매품
 - 규정사항
 - 제작계획
 - 제작원가
 - 제작품
 - 항공기엔진
 
 - 수행태도
 - 
										
- 감성적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항공기관기술사
 - 항공기사
 - 항공산업기사
 - 항공정비사
 
 - 관련전공
 - 
										
- 항공·기계 계열
 
 
항공기엔진 공정도 작성 (수준 : 5)
- 정의
 - 항공기 엔진 공정도작성이란 공정을 검토·선정하여 공정도를 작성 할 수 있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공정 검토·선정하기
 - 공정도 작성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공정
 - 공정계획
 - 공정도
 - 공정도작성
 - 공정설계
 - 공정수행
 - 불합리
 - 선정
 - 제작규격
 - 최적공정
 - 항공기엔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신뢰감
 - 인간적
 - 자율적
 - 합리적
 
 - 관련자격증
 - 
										
- 기계설계기사
 - 일반기계기사
 - 항공기관기술사
 - 항공기사
 - 항공산업기사
 - 항공정비사
 
 - 관련전공
 - 
										
- 항공·기계 계열
 
 
항공기엔진 치공구제작 (수준 : 5)
- 정의
 - 항공기 엔진 치공구 제작이란 항공기 엔진 공정도에 따라 CNC 프로그래밍을 이용하여 치공구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CNC 프로그래밍하기
 - 치공구 설계·제작하기
 
 - 지식 및 기술
 - 
										
- CNC
 - LASER
 - cnc장비
 - 가공공정도
 - 공정도
 - 공정설계
 - 작업확인
 - 치공구
 - 치공구설계
 - 치공구제작
 - 항공기엔진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효율적
 
 - 관련자격증
 - 
										
- 기계설계기사
 - 일반기계기사
 - 항공기관기술사
 - 항공기사
 - 항공산업기사
 - 항공정비사
 
 - 관련전공
 - 
										
- 항공·기계 계열
 
 
항공기엔진·프로펠러 품질활동 (수준 : 4)
- 정의
 - 항공기 엔진·프로펠러 품질 활동이란 항공품질경영시스템을 적용하여 항공기 엔진·프로펠러 제작에 대한 품질 활동을 문서화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품질 계획하기
 - 항공품질경영시스템 (AS9100 등) 적용하기
 
 - 지식 및 기술
 - 
										
- management
 - 대출
 - 열람
 - 품질경영시스템
 - 품질계획
 - 품질기록
 - 품질활동
 - 프로펠러
 - 항공
 - 항공기엔진
 - 환경경영시스템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기계설계기사
 - 일반기계기사
 - 품질경영기사
 - 품질관리기술사
 - 항공기사
 - 항공산업기사
 - 항공엔진기술사
 - 항공정비사
 
 - 관련전공
 - 
										
- 항공·기계·산업공학 계열
 
 
항공기엔진·프로펠러 인증활동 (수준 : 4)
- 정의
 - 항공기 엔진·프로펠러 인증 활동이란 항공품질경영시스템을 적용하여 항공기 엔진·프로펠러 제작 인증 활동에 대해 문서화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제작 인증받기
 - 항공기 엔진·프로펠러 인증 활동 문서화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감항인증
 - 대출
 - 인증
 - 인증절차
 - 품질경영시스템
 - 품질기록
 - 프로펠러
 - 항공
 - 항공기엔진
 - 형식인증
 - 환경경영시스템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기술적
 - 논리적
 - 생산적
 - 실천적
 - 인간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기계설계기사
 - 일반기계기사
 - 품질경영기사
 - 항공기사
 - 항공산업기사
 - 항공엔진기술사
 - 항공정비사
 
 - 관련전공
 - 
										
- 항공·기계·산업공학 계열
 
 
항공기가스터빈엔진 저온부분 모듈제작 (수준 : 5)
- 정의
 - 항공기 가스터빈엔진 저온부분 모듈 제작이란 팬모듈, 압축기모듈, 액세서리 기어박스(Accessory Gear Box)모듈과 같은 저온부분(Cold Section)을 제작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팬 모듈 제작하기
 - 압축기 모듈 제작하기
 - 액세서리 기어박스 모듈 제작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가스터빈엔진
 - 감속기
 - 구성부품
 - 모듈
 - 모듈제작
 - 박스
 - 액세서리
 - 재작업
 - 제작도면
 - 치공구
 - 특수공정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기계설계기사
 - 일반기계기사
 - 항공기관기술사
 - 항공기사
 - 항공산업기사
 - 항공정비사
 
 - 관련전공
 - 
										
- 전기·전자 계열
 - 항공·기계
 
 
항공기가스터빈엔진 고온부분 모듈제작 (수준 : 5)
- 정의
 - 항공기 가스터빈엔진 고온부분 모듈 제작이란 연소기모듈, 터빈모듈, 배기모듈과 같은고온부분(Hot Section)을 제작하고 제작공정을 문서화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연소기 모듈 제작하기
 - 터빈 모듈 제작하기
 - 배기 모듈 제작하기
 - 가스터빈엔진 구성품 제작 문서화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감속기
 - 구성부품
 - 모듈제작
 - 박스
 - 벤틸레이션
 - 압축기
 - 액세서리
 - 연소장치
 - 제작도면
 - 터빈
 - 품질문서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기계설계기사
 - 일반기계기사
 - 항공기관기술사
 - 항공기사
 - 항공산업기사
 - 항공정비사
 
 - 관련전공
 - 
										
- 전기·전자 계열
 - 항공·기계
 
 
항공기 왕복엔진 구동품 제작 (수준 : 5)
- 정의
 - 항공기 왕복엔진 구동품 제작이란 엔진 구동품을 제작하고 그 과정을 문서화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엔진 구동품 제작하기
 - 왕복엔진 구동품 제작 문서화하기
 
 - 지식 및 기술
 - 
										
- cnc장비
 - 공정도
 - 기술협회
 - 왕복
 - 왕복엔진
 - 제어판
 - 제작
 - 피스톤
 - 항공기
 - 항공우주
 - 후처리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금속가공기술사
 - 금속재료기사
 - 기계설계기사
 - 일반기계기사
 - 전기기사
 - 전자기사
 - 항공기관기술사
 - 항공기사
 - 항공산업기사
 - 항공정비사
 
 - 관련전공
 - 
										
- 재료공학 계열
 - 전기·전자
 - 항공·기계
 
 
항공기 왕복엔진 계통구성품 제작 (수준 : 5)
- 정의
 - 항공기 왕복엔진계통 구성품 제작이란 점화계통, 윤활계통, 연료공급계통과 냉각계통을 제작하고 구성품제작 과정을 문서화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점화계통 제작하기
 - 윤활계통 제작하기
 - 엔진 연료계통 제작하기
 - 엔진 냉각계통 제작하기
 - 왕복엔진 구성품 제작 문서화하기
 
 - 지식 및 기술
 - 
										
- 계통구성
 - 공구와장비
 - 구성부품
 - 엔진
 - 엔진냉각
 - 연료계통
 - 왕복엔진
 - 윤활계통
 - 점화장치
 - 제작
 - 항공기
 
 - 수행태도
 - 
										
- 계량적
 - 기술적
 - 논리적
 - 인간적
 - 자율적
 - 적극적
 - 조직적
 - 책임감
 - 합리적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금속가공기술사
 - 금속재료기사
 - 기계설계기사
 - 일반기계기사
 - 전기기사
 - 전자기사
 - 항공기관기술사
 - 항공기사
 - 항공산업기사
 - 항공정비사
 
 - 관련전공
 - 
										
- 재
 - 전기·전자
 - 항공·기계
 
 
항공기가스터빈 엔진 구성품 조립 (수준 : 3)
- 정의
 - 항공기 가스터빈엔진 구성품조립이란 가스터빈 엔진 모듈을 조립하고, 구성품을 장착하여 엔진을 완성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모듈 조립하기
 - 구성품 장착하기
 
 - 지식 및 기술
 - 
										
- SUB
 - 가스터빈엔진
 - 구성부품
 - 규격서
 - 모듈
 - 일반
 - 작업절차서
 - 장착
 - 절차서
 - 조립
 - 특수작업
 
 - 수행태도
 - 
										
- 계량적
 - 관용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자율적
 - 조직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기계설계기사
 - 일반기계기사
 - 항공기관기술사
 - 항공기사
 - 항공산업기사
 - 항공정비사
 
 - 관련전공
 - 
										
- 항공·기계 계열
 
 
항공기가스터빈 엔진 조립 검사 (수준 : 4)
- 정의
 - 항공기 가스터빈엔진 조립 검사란 가스터빈 엔진 구성품의 차원을 측정하고, 성능 평가에 필요한 검사 및 시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문서화하는 능력이다.
 - 직무내용
 - 
										
- 차원 측정하기
 - 검사·시험하기
 - 가스터빈엔진 조립 문서화하기
 
 - 지식 및 기술
 - 
										
- 가스터빈엔진
 - 개구부
 - 구성부품
 - 기술기준
 - 모듈
 - 문서화
 - 엔진
 - 엔진조립
 - 재작업
 - 차원
 - 차원측정
 
 - 수행태도
 - 
										
- 계량적
 - 계획적
 - 규범적
 - 기술적
 - 논리적
 - 성실함
 - 자율적
 - 적극적
 - 책임감
 - 협동적
 
 - 관련자격증
 - 
										
- 기계설계기사
 - 일반기계기사
 - 항공기관기술사
 - 항공기사
 - 항공산업기사
 - 항공정비사
 
 - 관련전공
 - 
										
- 항공·기계 계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