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개요
직무개요
질병진단을 위해 환자로부터 채취된 조직검체, 체액검체(객담, 복수, 뇨 등), 혈액검체 등을 진단하고 결과를 담당의사에게 통보한다.
수행직무
수행직무
환자로부터 채취된 조직검체(병리검사를 위한 환부의 일부분), 체액검체(객담, 복수, 뇨 등), 혈액검체 등에 대한 조직병리검사 및 세포병리검사를 시행하여 그 결과 또는 그 결과를 토대로 한 병리진단을 해당 환자의 담당의사에게 통보한다. 검체에 대한 진단을 위해 각종 시료를 제작하는 장비, 시약 등을 점검하고 진단에 대한 정도관리를 진행한다. 조직병리와 세포병리의 진단 및 특수염색검사, 면역염색검사, 분자병리검사, 전자현미경검사, 계측병리검사 등을 시행한다. 검체 제작에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임상병리사의 활동을 지도·감독한다. 병리학, 분자유전학, 면역병리학, 초미세병리학 관련 연구를 한다.
부가직업정보
| 구분 | 내용 |
|---|---|
| 교육수준 | 16년 초과(대학원 이상) |
| 숙련기간 | 4년 초과 ~ 10년 이하 |
|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
| 작업장소 | 실내 |
| 육체활동 |
|
| 직무기능 |
|
| 유사명칭 |
|
| 관련직업 | |
| 자격/면허 |
|
| 한국고용직업분류명 | 전문 의사 |
| 한국표준직업분류명 | 병리과전문의사 |
| 한국표준산업분류명 | [Q861]병원 |
| 조사년도 |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