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직업백과

당신이 궁금한 세상의 모든 직업

감독 및 연출자

아사마루
하는일/근무환경

하는 일

감독 및 연출자는 연극, 영화, 라디오 및 TV 프로그램, 광고 등의 제작을 총괄적으로 감독하고 연출한다. 통상 방송에서는 프로듀서(PD), 영화에서는 감독, 연극에서는 연출자 등으로 불린다.

방송프로듀서(PD : Producer, Program Director)는 지상파방송사, 종합유선방송사, 종합편성채널, 독립프로덕션 등에서 근무하며, 라디오 혹은 텔레비전의 보도, 교양, 오락(예능, 드라마, 스포츠) 등의 프로그램 기획부터 촬영, 편집 등 제작과정과 섭외, 예산에 이르기까지 방송 제작 전반을 총괄한다. 오락프로그램은 한 프로그램 내에 코너별로 담당 PD가 별도로 있기 때문에 여러 명의 PD가 함께 작업한다. 제작할 프로그램이 기획되면 제작진(스태프)과 협의하여 무대배경, 음향, 카메라, 시간배정 등을 결정하고 대본을 조정한다. 출연자 섭외, 장소 선정, 화면구성 등을 확인하고, 촬영에 참가하는 모든 제작진을 지휘한다. 방송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요일별·시간별로 배치하는 편성PD도 있다.

영화감독은 연기자는 물론 조명, 세트, 효과, 분장 등 영화를 촬영·제작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제작진을 통솔하여 영화를 만들고, 영화의 질과 완성도를 책임진다. 기획단계에서부터 시나리오작가와 함께 작품 구상, 인물에게 맞는 배우 선정 등에 관여하고 제작비를 투자할 투자자를 찾기도 한다. 촬영 스케줄을 관리하고, 촬영 시 배우들의 연기를 지도하며, 촬영이 끝난 뒤 편집 등의 마무리 작업을 감수하는 일까지 수행한다.

연극연출자는 작품을 해석하여 연극배우들을 지휘하고, 연극 관련 종사자의 활동을 총괄한다. 자신이 직접 희곡을 쓰거나 다른 이가 쓴 희곡을 작품으로 선정하는 등의 기획을 거쳐 무대에 올린다. 배역에 맞는 배우를 캐스팅하고 무대, 조명, 의상, 음향 등을 담당할 스태프를 구성하며, 공연연습을 지휘한다. 또한 극의 분위기에 맞게 무대를 구성하고 무대 위에서 배우들의 동선(움직임)과 소품 등을 챙기며 배우가 인물을 잘 표현할 수 있도록 연기지도를 한다.

이밖에 상업용 광고를 만드는 광고감독(CF감독), 기업체 홍보물 등의 영상물을 만드는 감독, 뮤직비디오감독 등도 있다.

근무환경

잦은 회의, 촬영, 편집 등으로 밤샘작업이 많은 등 작업 스케줄에 따라 근무시간이 유동적이다. 주말이나 휴일에 촬영할 때도 많으며, 장기간 지방이나 해외로 출장을 가는 경우도 있다. 연극연출자의 경우 공연이 주로 평일 저녁이나 주말 오후에 있기 때문에 연습과 공연 시간에 따라 근무시간이 달라진다. 영화감독은 한 작품을 끝낸 후 몇 달 혹은 몇 년 간 휴식을 갖기도 한다.

이전 작품에 대한 평가가 다음 작품 제작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흥행과 작품 평가에 대한 압박감에 시달릴 수 있다.

방송, 영화, 연극의 특성상 작업 후 시청자나 관객의 반응을 즉각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스트레스가 심한 편이고, 프리랜서의 경우 고정적인 수입을 기대하기 어렵다.

교육/훈련/자격 / 적성 및 흥미

교육 및 훈련

대학의 관련 학과나 사설학원 등에서 방송, 영화, 연극 제작 등에 관한 전문적인 교육을 받는 것이 유리하다. 해외유학 등을 통해 이론뿐 아니라 시나리오 작업에서부터 촬영, 편집 등에 대한 것을 전문적으로 공부하는 사람들의 진출도 많고, 대학에서부터 동아리활동, 단편영화제작 등 연출 경험을 미리 쌓는 사람도 많다.

방송프로듀서는 대학에서의 동아리활동, 방송아카데미 등에서 프로그램 제작에 대한 교육을 받는 것이 입직 후 업무를 수행할 때 유리하다. 영화나 연극 분야는 조감독이나 보조연출자로 5~10년간 경험을 쌓아 감독이나 연출자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영화감독은 단편영화제 공모에 당선되어 입문할 수도 있고, 독립영화(단편영화) 제작실습을 통해 입문하기도 한다. 대체로 다른 직업에 비해 현장의 경험을 중시되는 편이다.

▲ 관련 학과 : 연극영화과, 신문방송학과, 언론정보학과, 광고(홍보)학과 등

입직 및 경력개발

방송프로듀서는 일반적으로 각 방송사의 공개채용을 통해 입직한다. 지상파방송사의 경우 4년제 대학 졸업 이상, 독립프로덕션 등에서도 전문대 졸업 이상을 요구하고 있으나 점차 학력 제한을 폐지하는 추세이다. 외국어 프로그램 제작 및 방송을 위해 해당 언어 전문 프로듀서를 채용하기도 한다.

방송사에 따라 채용 과정에 차이가 있지만 대개 ‘서류전형-필기시험(시사교양, 논술)-실무능력평가-면접’ 등의 단계를 거친다. 종합유선방송사, 독립프로덕션 등의 경우에는 인맥이나 학원 추천 등 다양한 경로로 채용이 이루어진다.

방송프로듀서의 경우 입사 후 일정기간 수습과정을 거쳐 조연출로 활동하게 된다. 보통 ‘조연출자 → 연출자(PD) → 책임연출자(CP : Chief Producer)’ 등으로 승진한다. 방송사에 입사 후 독립적으로 프로그램을 맡게 되기까지 교양프로그램은 5년 내외, 예능프로그램은 7년 내외, 드라마는 그 이상의 경력이 요구되어, 과거에 비해 방송사의 인력 적체로 2~3년이 더 소요되고 있다. 또한 전체 프로그램을 기획·관리하는 책임연출자(CP)까지는 입사 후 10년 이상이 소요된다. 방송프로듀서는 어느 정도 경력을 쌓아 프리랜서로 활동하기도 하며, 직접 독립프로덕션을 차려 방송사와 계약을 맺고 프로그램을 제작하기도 한다.

영화의 경우 조감독으로 경험을 쌓은 후 실력을 인정받아 감독으로 데뷔하기도 하며, 단편영화감독으로 활동하면서 제작 실무와 감각을 익혀 데뷔하기도 한다. 시나리오작가가 감독으로 데뷔하기도 한다. 연극연출자는 극단의 연출부로 들어가 조연출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영화감독과 연극연출자는 조연출자(조감독), 연출자(감독)의 단계를 거친다.

적성 및 흥미

방송이나 영화, 연극 등은 혼자 만드는 것이 아니므로 감독 및 연출자는 많은 제작진(스태프)과 함께 작업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이 필요하며, 이들을 관리하고 통솔할 수 있는 리더십, 추진력 등이 요구된다. 사회, 문화, 예술, 시사 등 다양한 방면에 대한 이해와 소질이 있어야 하고, 특히 영상 예술에 대한 관심과 재능이 있는 사람이 적합하다.

새로운 작품을 창조할 수 있는 풍부한 상상력과 창의력도 함께 요구된다.

종사현황

종사현황


감독 및 연출자 종사현황 : 성별(남성81.6%, 여성18.4%), 연령별(20대16.7%, 30대36.8%, 40대29.8%, 50대13.2%, 60대이상3.5%), 학력별(고졸이하4.4%, 전문대졸8.8%, 대졸72.8%, 대학원졸14.0%), 임금수준(하위25% 137만원, 중위50% 289만원, 상위25% 636만원)
직업전망

직업전망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감률 추정치 : 다소증가(1%이상 2%이하)

향후 10년간 감독 및 연출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감독 및 기술감독의 전망은 2015년 약 26.1천 명에서 2025년 29.4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3.3천 명(연평균 1.2%) 정도 다소 증가할 전망이다.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면서 케이블방송, 인터넷방송, IPTV 등 다매체·다채널화로 방송환경이 재편되면서 시장이 확대되었다. 또한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이 경쟁적 구조를 갖추면서 제작 방송프로그램 수가 늘어나고,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이 꾸준히 해외로 수출되는 점은 방송PD의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만,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15 콘텐츠산업통계」에 따르면, 방송산업의 매출액과 부가가치액, 수출액은 증가하는 반면,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가 증감을 반복하며 정체하고 있다. 세계 경기 침체의 장기화에 따라 광고매출에 영향을 많이 받는 방송시장이 타격을 입고, 지상파방송과 유선방송의 매출이 다소 감소하는 점은 방송PD의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방송산업 총괄 현황 표 내용 확인

방송산업 총괄 현황
구분 사업체수(개) 종사자수(명) 매출액(백만원) 부가가치액(백만원) 부가가치율(%) 수출액(천달러) 수입액(천달러)
2010년 926 34,584 11,176,433 4,284,985 38.3 184,700 110,495
2011년 1,074 38,366 12,752,484 4,548,227 35.7 222,372 233,872
2012년 945 40,774 14,182,479 5,124,633 36.1 233,821 136,071
2013년 928 41,522 14,940,939 5,291,458 35.4 309,399 122,697
2014년 910 41,397 15,774,634 6,120,014 38.8 336,019 64,508
전년대비증감률(%) 1.9증가 0.3증가 5.6 15.7 - 8.6 47.4증가
연평균증감률(%) 0.4증가 4.6 9.0 9.3 - 16.1 12.6증가

방송통신위원회의 「2015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방송프로듀서(PD)는 2014년 12월말 기준 4,550명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2013년의 4,634명에 비해 84명이 감소한 수치로, 2010년 처음으로 4,000명대에 진입한 이후 2011년 4,573명, 2012년 4,514명, 2013년 4,634명, 2014명 4,550명으로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방송국의 프로듀서들은 방송사의 경영 악화로 신규 인력 채용이 잘 이뤄지지 않는 편이다. 또한 상당수의 프로그램이 외주제작으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에 방송국 소속이 아닌 외주제작사의 프로듀서를 중심으로 고용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 외주제작사는 소규모이고 예산 부족으로 실력이 우수한 경력직을 중심으로 채용하기 때문에 신입들은 치열한 입직경쟁을 치러야 하고, 유명 연출자와 그렇지 않은 연출자의 대우도 큰 차이가 있다. 독립프로덕션이나 종합유선방송사의 경우 규모가 작고 계약직 직원이 많으며, 근무환경이나 임금이 열악한 편이다.

방송산업 직종별 종사자 수 현황 표 내용 확인

방송산업 직종별 종사자 수
구분 전체 임원 경영 방송직 기술직 연구직 영업홍보 용역계약 기타
기자 PD 아나운서 제작관련 기타
전체종사자 2003.6 31,934 1,095 5,101 2,416 3,943 604 3,347 895 5,092 2,624 4,698 1,118
2004.6 31,645 995 5,180 2,473 4,013 602 3,402 851 4,960 2,602 4,803 764
2005.6 30,530 911 5,053 2,538 3,545 651 3,384 1,538 5,012 3,160 - 3,738
2005.12 29,308 938 5,431 2,866 3,852 718 3,045 1,557 4,814 140 3,429 - 2,517
2007.12 28,913 828 4,808 3,045 3,840 667 3,540 1,330 4,950 159 3,384 - 2,362
2008.12 29,569 910 4,414 3,161 3,800 699 3,597 1,091 5,216 189 3,881 - 2,711
2009.12 29,965 948 4,805 3,172 3,894 750 3,421 1,080 4,954 198 4,123 - 2,621
2010.12 29,878 935 4,84,77208 3,279 4,054 727 3,387 1,205 4,579 372 3,34,37184 - 2,195
2011.12 32,443 784 5,562 3,650 4,573 782 3,874 1,551 4,482 368 4,383 - 3,271
2012.12 33,888 817 5,307 3,794 4,514 784 4,217 1,787 4,570 281 4,546 - 3,271
2013.12 34,714 769 5,420 3,792 4,634 750 4,037 2,332 4,682 486 4,861 - 2,951
2014.12 34,515 785 5,635 3,798 4,880 755 4,581 2,250 4,284 539 5,340 - 2,098

영상물이 유통되는 형태가 방송 송출 중심에서 유튜브 등 인터넷 유통 채널로 중심축이 이동함에 따라 1인 미디어 영역에서 일자리 증가가 커질 전망이다. 즉, 영상물의 연출하고 제작하는 미디어콘텐츠창작자(콘텐츠 크리에이터)는 전통적인 개념의 방송PD는 아니지만, 영상 제작의 기획과 연출, 제작 등을 일괄 책임지고 창작한다는 점에서 유사 업무 종사자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제작 및 유통 방식의 변화로 이들의 수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영화산업의 경우, 양적 수치가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편은 아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15 콘텐츠산업통계」에 따르면, 2014년 영화산업 사업체 수는 지난 5년 동안 계속해서 감소해 전년과 비교해 10.0%가 줄었고, 종사자 수와 매출액, 부가가치액도 전체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대신 수출액이 2013년 급격한 증가를 보인 것을 예외로 하면(‘설국열차’의 선전), 수출은 여전히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영화의 극장 티켓 파워와 디지털 온라인 시장의 성장, 해외 수출액의 증가세 등으로 영화산업은 계속해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의 영화에 대한 애정이 상당한 데다가, 여가 선용 차원에서 영화를 즐기는 관람객 수는 계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영화산업 총괄 현황 표 내용 확인

영화산업 총괄 현황
구분 사업체수(개) 종사자수(명) 매출액(백만원) 부가가치액(백만원) 부가가치율(%) 수출액(천달러) 수입액(천달러)
2010년 3,727 30,561 3,577,948 1,169,265 32.7 13,583 53,374
2011년 3,416 29,493 3,833,659 1,524,495 39.8 15,829 46,355
2012년 2,622 30,775 4,364,639 1,707,458 39.1 20,175 59,409
2013년 1,427 30,238 4,664,748 1,794,369 38.5 37,071 50,339
2014년 1,285 29,646 4,565,106 1,533,307 33.6 26,380 50,157
전년대비증감률(%) 10.0증가 2.0증가 2.1증가 14.5증가 - 28.8증가 0.4증가
연평균증감률(%) 23.4증가 0.8증가 6.3 7.0 - 18.1 1.5증가

다만, 영화감독의 직업적 특성상 한두 편의 작품을 만들고 사라지는 감독도 많고, 흥행 실패에 따른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이직을 선택하는 사람도 많으므로 양적인 측면에서 영화감독의 수가 크게 증가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경기 불황에 따른 영화산업 투자 위축 및 부가시장 침체 등이 이어지고 있으며, 소수의 흥행 영화에만 전적으로 의존해온 산업구조의 취약성이 드러나고, 대기업의 상영관 독과점으로 저예산 영화의 설 자리를 막으면서 장르의 다양화를 저해하는 것이 한국영화 발전에 걸림돌이 된다는 문제의식도 커지고 있다.

연극 분야의 경우, 삶의 질 향상과 여가문화에 대한 관심 증대 등에 힘입어 공연이 꾸준히 제작되고 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5년 문예연감」의 최근 5년간 연극 공연 추이를 살펴보면, 2014년 공연 건수는 총 4,018건으로, 2010년 2,706건, 2011년 3,514건, 2012년의 3,552건, 2013년 3,288건으로 조금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연 횟수는 2010년 69,122회, 2011년 66,060회, 2012년 47,781회로 감소하다가, 2013년 50,920회로 전년대비 3,139회 증가하고 2014년은 65,695회로 전년대비 14,775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연극 공연 추이 현황 표 내용 확인

최근 5년간 연극 공연 추이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공연 건수 2,706 3,480 3,552 3,288 4,018
공연 횟수 69,122 66,060 47,781 50,920 65,695

하지만 인기 연극배우가 등장하는 연극에 관객이 몰리는 연극계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여전하고, 재정적 곤란을 겪는 극단과 연극연출자의 어려움은 지속될 전망이어서, 연극연출자의 고용 역시 크게 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연극연출자는 연극 연출에 대한 소신을 가지고 진출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다른 매체의 연출자와 달리 환경적인 영향을 비교적 덜 받고 고용이 꾸준한 편이지만, 장기화되고 있는 경기 침체로 연극계의 어려움이 지속되면 일자리 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종합하면, 기존의 방송사 중심의 연출자 및 영화감독, 연극연출자의 고용은 크게 증가하지 않는 반면, 외주제작사를 중심으로 VJ형태의 연출자들이 늘고, 유튜브 같은 인터넷 영상 유통 채널에서 활동하는 연출자들이 늘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직업
관련정보처

직업전망 데이터는 워크넷(www.work.go.kr)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