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는일/근무환경
-
하는 일
기계장비설치 및 정비원은 제조용 산업기계, 냉동·냉장 및 공조기계, 기계가공용 공작기계, 승강기·플랜트 설비 등의 이송장치기계와 섬유·농업·광업 및 건설 등 산업별 기계 및 기계 관련 설비·장치를 작업장 또는 사업장 건물 내에 설치하고 관리·운영하며 고장 시 수리하고 정비한다. 산업별로 기계가 다양한 만큼 산업 전반에 걸쳐 활동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계장비설치 및 정비원에는 공업기계설치 및 정비원, 승강기설치 및 정비원, 물품이동장비설치 및 정비원, 냉동·냉장·공조기설치 및 정비원, 보일러설치 및 정비원, 건설 및 광업기계설치 및 정비원, 농업용기계설치 및 정비원 등이 있다.
이들은 기계장비 설치도면에 따라 기계 설비 및 장비를 정해진 위치에 설치하고 작동상태를 시험 가동한다. 가동 중인 기계의 작동 상태와 부품의 균열, 마모 상태, 고장 여부 등을 점검하고, 기계에 고장 또는 결함이 있는 경우에는 부품을 분해하여 수리·교체·재조립한다. 수리한 기계설비의 작동상태를 명세서와 비교 검사하여 필요한 조정을 하며, 정기적으로 기계장치를 분해 및 청소하고 기계장비 운전에 필요한 소모품을 갈아준다. 평상시에도 엔진동력계, 전압계, 저항계, 온도계, 유압측정기 등의 측정 기구를 사용해서 성능을 시험하고 필요한 조정을 수행한다.
근무환경
기계장비 설치나 정비 시 기계와 연관될 수 있는 안전관리, 보건환경 등에 주의하여야 한다. 각종 기계장치를 설치하고 정비할 때 사용하는 장비와 도구, 부품 때문에 작업장이 지저분하고 산만할 수 있다.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할 때가 많으며, 설치될 기계의 규모와 장소에 따라 고공작업, 지하작업 등이 수반되기도 한다. 타 작업장, 사업장 등으로 출장을 가기도 하는데, 기계설비의 종류나 출장지에 따라 며칠에서 몇 개월까지 걸리는 일도 있다. 설치를 위한 공사기간이 촉박하면 연장근무를 하며 고장 발생으로 고객이 수리를 요청하면 현장에 가서 일해야 한다.
- 교육/훈련/자격 / 적성 및 흥미
-
교육 및 훈련
특성화고등학교, 직업훈련기관, 폴리텍, 전문대학 등의 기계관련 학과에서 교육을 받고 관련 업체에 취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요즘에는 자동제어시스템을 갖춘 기계설비가 많아 폴리텍이나 전문대학 등에서 기계 관련 기본적인 지식 외에 자동제어시스템, 컴퓨터기술 등에 관한 지식을 배우게 된다. 기본적으로는 기계 및 전기 관련 과정을 교육받아야 하며, 현장실습훈련도 이수해야 한다.
▲ 관련 학과 : 기계과, 생산기계과, 농업기계과, 동력기계과, 정밀기계과, 건설기계과, 공조냉동과, 보일러과 등
▲ 관련 자격 : 기계정비기능사/산업기사, 동력기계정비기능사, 건설기계정비기능사/산업기사, 건설기계설비기능사/산업 기사, 건설안전기사/산업기사, 공조냉동기계기능사/산업기사, 농기계정비기능사, 농업기계산업기사, 생산 자동화기능사/산업기사, 승강기기능사/산업기사(이상 한국산업인력공단)
입직 및 경력개발
업체에서는 신문이나 인터넷 공고를 통해 수시로 신규 채용을 하고 있으며, 대기업에서는 기계관련 학과를 대상으로 직접 채용공고를 내어 모집하기도 한다. 진출하는 분야는 각종 기계설비제조업체, 기계수리업체, 건설설비공사업체, 건설업체, 섬유업체, 보일러업체, 승강기제조및설치업체 등이 있다.
현장에서 수행하는 업무 특성상 현장교육 후 숙련공의 업무보조를 하게 되고, 일정기간의 근무연한이 지나면 현장감독 내지 관리자로 성장하게 된다. 기술과 영업력을 습득해 관련 분야의 대리점 또는 부품회사를 직접 운영할 수도 있다.
적성 및 흥미
기계를 대상으로 하거나 다루는 일에 흥미가 있어야 하며, 각종 기계장비는 그것을 다루는 조작원의 안전과 직결되므로 특별한 책임감과 꼼꼼함이 필요하다. 기계의 고장원인을 찾아내어 정비하기 위한 세심한 관찰력과 성실함도 요구된다.
- 종사현황
-
종사현황
공업기계설치 및 정비원- 성별 종사현황
- 남성
- 99.5%
- 여성
- 0.5%
- 연령별 종사현황
- 20대
- 12.3%
- 30대
- 29.6%
- 40대
- 29.1%
- 50대
- 23.1%
- 60대
- 5.9%
- 학력별 종사현황
- 고졸이하
- 57.1%
- 전문대졸
- 24.7%
- 대졸
- 17.9%
- 대학원졸
- 0.3%
- 임금별 종사현황
- 하위 25%
- 179만원
- 중위 50%
- 276만원
- 상위 25%
- 451만원
- 성별 종사현황
- 남성
- 96.8%
- 여성
- 3.2%
- 연령별 종사현황
- 20대
- 16.9%
- 30대
- 32.3%
- 40대
- 31.5%
- 50대
- 15.3%
- 60대
- 4.0%
- 학력별 종사현황
- 고졸이하
- 54.8%
- 전문대졸
- 28.2%
- 대졸
- 16.9%
- 대학원졸
- 0%
- 임금별 종사현황
- 하위 25%
- 149만원
- 중위 50%
- 252만원
- 상위 25%
- 420만원
- 성별 종사현황
- 남성
- 100%
- 여성
- 0%
- 연령별 종사현황
- 20대
- 6.5%
- 30대
- 32.6%
- 40대
- 37.0%
- 50대
- 15.2%
- 60대이상
- 8.7%
- 학력별 종사현황
- 고졸이하
- 67.4%
- 전문대졸
- 21.7%
- 대졸
- 10.9%
- 대학원졸
- 0%
- 성별 종사현황
- 남성
- 98.1%
- 여성
- 1.9%
- 연령별 종사현황
- 20대
- 5.6%
- 30대
- 20.4%
- 40대
- 40.7%
- 50대
- 27.7%
- 60대이상
- 6.2%
- 학력별 종사현황
- 고졸이하
- 66.7%
- 전문대졸
- 16.7%
- 대졸
- 16.7%
- 대학원졸
- 0%
- 임금별 종사현황
- 하위 25%
- 151만원
- 중위 50%
- 226만원
- 상위 25%
- 351만원
- 성별 종사현황
- 남성
- 99.4%
- 여성
- 0.6%
- 연령별 종사현황
- 20대
- 1.5%
- 30대
- 10.4%
- 40대
- 31.0%
- 50대
- 32.3%
- 60대이상
- 24.7%
- 학력별 종사현황
- 고졸이하
- 81.6%
- 전문대졸
- 8.5%
- 대졸
- 9.8%
- 대학원졸
- 0%
- 임금별 종사현황
- 하위 25%
- 125만원
- 중위 50%
- 197만원
- 상위 25%
- 308만원
- 성별 종사현황
- 남성
- 97.7%
- 여성
- 2.3%
- 연령별 종사현황
- 20대
- 3.8%
- 30대
- 18.9%
- 40대
- 34.1%
- 50대
- 34.8%
- 60대이상
- 8.3%
- 학력별 종사현황
- 고졸이하
- 72.7%
- 전문대졸
- 14.4%
- 대졸
- 12.9%
- 대학원졸
- 0%
- 임금별 종사현황
- 하위 25%
- 150만원
- 중위 50%
- 230만원
- 상위 25%
- 361만원
- 성별 종사현황
- 남성
- 98.1%
- 여성
- 1.9%
- 연령별 종사현황
- 20대
- 8.0%
- 30대
- 20.2%
- 40대
- 25.4%
- 50대
- 25.4%
- 60대이상
- 21.1%
- 학력별 종사현황
- 고졸이하
- 78.4%
- 전문대졸
- 11.3%
- 대졸
- 10.3%
- 대학원졸
- 0%
- 임금별 종사현황
- 하위 25%
- 117만원
- 중위 50%
- 190만원
- 상위 25%
- 302만원
- 성별 종사현황
- 직업전망
-
직업전망
향후 10년간 기계장비 설치 및 정비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기계장비 설치 및 정비원은 2015년 약 187.8천 명에서 2025년 약 189.4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1.7천 명(연평균 0.1%) 정도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고용변화가 크지 않아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부직업별로 보면 공업기계, 냉동·냉장·공조기, 농업용 및 기타기계 등의 설치 및 정비 분야에서 고용이 미미하나마 증가할 것으로, 승강기, 보일러, 건설 및 광업기계 등의 설치 및 정비 분야에서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계장비설치 및 정비원의 고용은 주로 건물설비 설치나 기계 및 장비 수리업의 경기에 영향을 받는다. 전국사업체조사 자료에 의하면, 이들의 고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기계 및 장비 수리업의 경우 사업체 및 종사자 수가 2006년 이후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반면 건물설비 설치 공사업의 경우 2010년까지는 사업체와 종사자가 꾸준히 증가하였지만 이후 사업체 수는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종사자 수는 등락을 보여왔다. 이는 건설경기의 침체가 지속되면서 건물관련 기계설비의 설치가 감소하였다가 최근 건설경기가 회복된 때문이다.
건물설비 설치 공사업, 기계 및 장비 수리업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 연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기계 및 장비수리업 사업체 수 17,306 17,230 17,941 18,163 18,868 19,443 20,418 20,097 20,664 종사자수 52,717 51,761 55,132 56,788 59,885 61,597 64,466 66,315 70,432 건물 설비 설치공사업 사업체 수 15,379 15,182 15,786 15,570 15,215 15,693 16,613 17,578 19,056 종사자수 80,896 78,432 92,982 99,482 120,471 107,700 100,529 106,245 120,030 향후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저금리, 저성장 기조의 장기화 우려는 제조 분야의 신규투자를 억지하여 제조 관련 기계설비를 담당할 기계장비설치 및 정비원의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건설경기 침체의 장기화 우려도 건물기계설비 분야의 기능인력 고용을 더디게 할 것이다. 분야 중에서는 농업용기계설치 및 정비원의 경우 국내 농업면적이 감소하면서 농업기계의 절대적인 수요가 줄어들어 이에 수반한 정비인력도 다소 감소할 전망이나 농작물 자가소비와 친환경 농작물에 대한 선호의 영향 등은 자영농에 필요한 농업기계 수요가 늘이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국내 중소 제조업체들의 경우 노후 생산설비가 많아 이를 정비 관리하기 위한 기능인력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나타날 전망이다. 또한 기계분야 기술발전, 친환경 기술의 적용 등과 맞물려 새로운 기계장비의 교체 요구도 높아져 관련 기능 인력의 고용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최근 안전사고의 급증에 따른 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데, 산업현장 뿐 아니라 생활 속의 안전도 강조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산업 현장이나 일반 건물의 기계설비에 대한 관리점검을 늘리는 계기가 되어 관련 기능인력의 고용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다. 한편 글로벌화의 진전에 따른 생산기지의 해외이전은 기계장비설치 및 정비원의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 요인이 될 것이다.
긍정적 혹은 부정적 요인들이 맞물리면서 기계장비설치 및 정비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이 될 전망이다.
- 관련직업
-
- 공업기계설치 및 정비원
- 승강기설치 및 정비원
- 물품이동장비설치 및 정비원
- 냉동·냉장·공조기설치 및 정비원
- 보일러설치 및 정비원
- 건설 및 광업기계설치 및 정비원
- 농업용기계정비원
- 일반기계조립원
- 기계공학기술자(건설기계공학기술자, 냉난방 및 공조공학기술자)
- 관련정보처
-
- 대한설비건설협회 (02)6240-1100
-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02)2052-9300
-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02)565-2721
- 한국기계산업진흥회 (02)369-8600
- 한국기술사회 1644-0051
-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자격시험 1644-8000
직업전망 데이터는 워크넷(www.work.go.kr)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