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직업백과

당신이 궁금한 세상의 모든 직업

기자

아사마루
하는일/근무환경

하는 일

기자는 각종 사건사고, 스포츠, 정치, 문화 소식, 생활정보, 그리고 세계 각국에서 일어나는 일 등을 기사화하여 방송, 신문, 인터넷 등의 매체를 통해 신속하게 제공한다. 활동하는 분야에 따라 방송기자, 신문기자, 잡지기자 등으로 불린다.

방송기자와 신문기자는 정치부, 사회부, 문화부, 경제부, 국제부, 체육부 등에 소속되어 해당 사건·사고, 뉴스 등을 취재하고, 관련 인물을 인터뷰하여 기사화하는 일을 한다. 독자 제보를 받거나 경찰서, 각 정부부처 등에 출입하면서 해당 기관과 관련한 뉴스, 인물 등을 취재하고, 기사화될 만한 것을 직접 찾아내 심층취재를 하기도 하며 기자회견에 참여할 때도 있다. 방송기자는 보통 취재 계획서를 회사에 제출하여 평가받고, 취재 승인을 받으면 일정을 잡아 촬영기자, 뉴스 오디오맨과 한 팀이 되어 사건·사고 현장으로 취재를 간다. 취재 후 방송시간에 맞춰 방송국으로 촬영테이프를 보내 편집하여 방송할 수 있게 한다.

신문기자는 신문사 사무실에서 기사를 작성할 때도 있지만 대부분 취재현장에서 마감 시간에 늦지 않도록 기사를 작성하여 신문사로 보낸다. 방송사와 신문사에는 기자들이 취재하여 보내온 촬영테이프나 기사 내용을 점검하고 방송 또는 신문에 나오기 적합하게 편집하는 편집기자가 별도로 있다. 특히 신문사의 편집기자는 여러 명의 기자가 취재해 온 내용을 살펴 기사의 중요도에 따라 기사, 사진, 관련 자료 등의 지면 할당 및 배치를 하고 기사 내용을 다듬는 작업을 한다. 또한 사건·사고현장, 인물 등을 시각적으로 촬영하여 기사의 현장감과 신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카메라기자와 사진기자가 있다.

잡지기자는 시사잡지, 여성잡지, 레저 관련 잡지 등 특정 분야를 주로 다루는 잡지사에 소속되어 주간, 월간, 분기별로 발간되는 잡지의 내용을 기획하여 취재하고 인터뷰하여 기사를 작성한다. 규모가 있는 잡지사의 경우 취재기자, 사진기자, 편집기자 등이 별도로 있으나 소규모 잡지사에서는 소수의 기자가 이러한 업무를 모두 담당하기도 한다.

취재 분야가 전문화되어 스포츠, 연예, 의학 등 특정 분야의 전문기자로 활동하기도 한다. 스포츠기자는 축구, 야구 등 각종 경기를 관전하고 선수 인터뷰나 경기결과를 기사화하여 전송하며, 연예기자는 연예 관련 뉴스를 취재하여 기사화한다. 또 의학 분야의 특성상 취재 시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이 요구되기 때문에 각 방송사 및 신문사에는 의학전문기자가 별도로 활동하고 있다. 기자 중에서는 해외에 파견되어 해당 국가의 각종 소식을 전하는 특파원도 있다. 이밖에 기업이나 단체, 협회 등의 이미지 제고와 회원소식 전달을 위해 발행하는 사보, 협회보 등을 담당하는 기자도 있다.

근무환경

기자의 출퇴근 시간은 일정치 않고 근무시간도 불규칙하다. 사건·사고가 발생하면 언제든지 현장으로 가서 취재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며, 특히 스포츠기자는 경기가 대부분 야간과 주말에 있기 때문에 주말을 거의 경기장에서 보낸다. 기사 마감 시간, 타 언론사와의 취재 경쟁, 특종과 기사 아이디어 등에 대한 스트레스가 많고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사건·사고 등으로 늘 긴장감 속에서 생활한다.

교육/훈련/자격 / 적성 및 흥미

교육 및 훈련

채용 시 방송사나 신문사의 경우 대졸 이상, 잡지사의 경우 전문대졸 이상으로 학력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많은 사람을 만나 취재하고 인터뷰하기 때문에 유창한 언변과 대화능력이 있어야 하며, 기사 작성에 필요한 작문실력도 필요하다. 따라서 사회를 냉철하게 바라보는 시각과 언변, 글쓰기 등의 훈련이 필요하다. 인터넷신문의 편집기자는 인터넷의 구조나 웹 관련 프로그램도 다룰 줄 알아야 한다.

전문기자라 하여 의학, 법학, 문학 등과 같이 특정 전문 분야의 지식을 갖춘 기자를 뽑기도 하는데, 전문기자가 되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의 전공자이거나 의사, 변호사 등의 전문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 관련 학과 : 신문방송학과, 언론정보학과, 정치학과, 사회학과 등 인문·사회계열 학과 등

입직 및 경력개발

지상파 방송 3사(KBS, MBC, SBS)를 비롯해 종합편성채널, 보도채널, 종합유선방송, 지역민영방송 등의 방송국과 일간지, 지역신문사, 잡지사, 기업체 홍보실, 인터넷언론사 등에서 활동한다.

지상파방송사와 주요 일간지의 경우 주로 공개채용을 하며 일반적으로 매년 7~9월 사이에 채용공고가 난다. 방송사 및 언론사 등에 따라 전형방법은 차이가 있지만, 보통 ‘서류전형-필기시험-면접’ 등을 거쳐 채용이 이루어진다. 필기시험에는 논술, 상식 등을 치르는데 시사문제와 관련한 특정 주제를 주고 발표를 하게 하거나 기사 작성을 하도록 하는 곳도 있다. 방송기자의 경우 카메라테스트를 거쳐야 한다.

기자 채용에 전공, 학력, 연령 제한을 두지 않는 곳도 늘고 있으나 주요 언론사의 경우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자로 학력을 제한하고 있으며, 일부 신문사에서는 인턴, 대학생 기자 등의 경험이 있는 사람을 우대하기도 한다.

언론사에 따라 3~6개월 정도의 수습기간을 거치는데, 처음에는 사회부에 소속되어 경찰서를 출입하면서 기자로서의 훈련을 하게 된다. 그 후 정치부, 경제부 등을 거쳐 기자로서 자질을 키운다. 평기자로 10년 이상을 보내게 되며 ‘차장 → 부장 → 부국장 → 편집국장(방송사의 경우 보도국장)’ 등의 단계를 거쳐 승진한다. 지방지, 소규모 신문·잡지사 기자의 경우 경력을 쌓아 방송기자나 주요 일간지 신문기자로 옮기기도 한다.

적성 및 흥미

기자는 독자가 이해하기 쉽고, 편견 없는 기사를 쓸 수 있는 글쓰기 능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학창시절 논술반, 신문반 등의 동아리 활동을 통해 글쓰기 능력을 기르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사회현상을 정확히 이해하고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적극적인 사고방식과 정의감, 공정성 등이 요구되며,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의사 교환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출퇴근 시간이 일정치 않고, 사건·사고가 나면 현장에 바로 취재를 가야 하는 등 불규칙한 생활을 하므로 무엇보다 건강한 체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종사현황

종사현황


기자 및 논설위원 종사현황 : 성별(남성72.7%, 여성27.3%), 연령별(20대14%, 30대30.8%, 40대26.6%, 50대21.7%, 60대이상7%), 학력별(고졸이하12.6%, 전문대졸7.7%, 대졸67.8%, 대학원졸11.9%), 임금수준(하위25% 138만원, 중위50% 252만원, 상위25% 501만원)
직업전망

직업전망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감률 추정치 : 다소증가(1%이상 2%이하)

향후 10년간 기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기자 및 논설위원은 2015년 약 22.1천 명에서 2025년 24.9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2.8천 명(연평균 1.2%) 정도 다소 증가할 전망이다.

방송통신위원회의 「2015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방송기자는 2003년 2,416명에서 2014년 12월 기준 3,798명으로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2014년 기준 전체 방송기자의 59.1%인 2,246명이 지상파방송사 소속이고, 종합유선방송 294명, 중계유선방송 0명, 위성방송 0명, 방송채널사용사업 1,258명, IPTV 0명으로 대부분 지상파방송사와 방송채널사용사업 부문에서 활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중 종합유선방송 기자는 2003년 174명에서 294명으로, 방송채널사용사업의 기자는 2003년 370명에서 2014년 1,258명으로 늘어나, 방송기자의 활동무대가 지상파방송에서 종합유선방송 및 방송채널사용사업 부문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성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지상파 방송사의 경우 경기 침체에 따라 경영상의 이유로 신규인력 채용이 갈수록 제한되는 반면, 이를 대신한 일자리가 종합유선방송 및 방송채널사용사업 부문에서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방송산업 직종별 종사자 수 현황 표 내용 확인

방송산업 직종별 종사자 수
구분 전체 임원 경영 방송직 기술직 연구직 영업홍보 용역계약 기타
기자 PD 아나운서 제작관련 기타
전체종사자 2003.6 31,934 1,095 5,101 2,416 3,943 604 3,347 895 5,092 2,624 4,698 1,118
2004.6 31,645 995 5,180 2,473 4,013 602 3,402 851 4,960 2,602 4,803 764
2005.6 30,530 911 5,053 2,538 3,545 651 3,384 1,538 5,012 3,160 - 3,738
2005.12 29,308 938 5,431 2,866 3,852 718 3,045 1,557 4,814 140 3,429 - 2,517
2007.12 28,913 828 4,808 3,045 3,840 667 3,540 1,330 4,950 159 3,384 - 2,362
2008.12 29,569 910 4,414 3,161 3,800 699 3,597 1,091 5,216 189 3,881 - 2,711
2009.12 29,965 948 4,805 3,172 3,894 750 3,421 1,080 4,954 198 4,123 - 2,621
2010.12 29,878 935 4,84,77208 3,279 4,054 727 3,387 1,205 4,579 372 3,34,37184 - 2,195
2011.12 32,443 784 5,562 3,650 4,573 782 3,874 1,551 4,482 368 4,383 - 3,271
2012.12 33,888 817 5,307 3,794 4,514 784 4,217 1,787 4,570 281 4,546 - 3,271
2013.12 34,714 769 5,420 3,792 4,634 750 4,037 2,332 4,682 486 4,861 - 2,951
2014.12 34,515 785 5,635 3,798 4,880 755 4,581 2,250 4,284 539 5,340 - 2,098

신문기자 및 잡지기자의 경우,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15 콘텐츠산업통계」의 출판산업 업종별 연도별 매출액을 살펴보면, 관련 업종인 신문발행업과 잡지 및 정기간행물발행업이 2012년부터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신문기자 및 잡지기자가 속한 산업의 규모는 출판업의 전반적인 정체와 쇠퇴 경향에 따라 대규모 고용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정기간행물 현황 등록일람표(2015.12.31 기준)’에 따르면, 일간신문, 인터넷 신문, 주간지, 월간지 등이 2009년 12,975건에서 2015년 18,712건으로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를 견인하는 것은 인터넷 신문으로 2009년 1,698건에서 2013년 4,916건, 2015년 6,605건으로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에 기반 한 새로운 뉴스 매체들이 시장에 진입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기자의 일자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중의 관심 영역이 여러 방면으로 확장되고, 뉴스 소비패턴이 다양화되면서 소수계층을 타깃으로 한 전문 뉴스 콘텐츠 제공 방식이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출판산업 업종별 연도별 매출액 현황 표 내용 확인

출판산업 업종별 연도별 매출액 현황 표
중분류 소분류 2012년 2013년 2014년 비중(%) 전년대비증감률(%) 연평균증감률(%)
출판업 서석 출판업 1,276,220 1,248,995 1,223,846 5.9 2.0 증가 2.1증가
교과서 및 학습서적 출판업 2,725,004 2,756,693 2,796,877 13.6 1.5 1.3
인터넷/모바일 전자출판제작업 190,671 206,935 227,230 1.1 9.8 9.2
신문 발행업 2,835,704 2,797,015 2,756,456 13.4 1.5 증가 1.4증가
잡지 및 정기간행물 발행업 1,103,149 1,086,599 1,069,632 5.2 1.6증가 1.5증가
정기 광고간행물 발행업 447,552 451,222 458,265 2.2 1.6 1.2
기타 인쇄물 출판업 190,062 190,768 191,425 0.9 0.3 0.4
소계 8,768,362 8,738,227 8,723,731 42.4 0.2증가 0.3증가
인쇄업 인쇄업 4,015,990 3,924,346 3,865,632 18.8 1.5 증가 1.9증가
출판 도소매업 서적 및 잡지류 도매업 2,850,812 2,794,537 2,743,469 13.3 1.8증가 1.9증가
서적 및 잡지류 소매업 5,276,229 5,146,300 5,042,680 24.5 2.0 2.2
소계 8,127,041 7,940,837 7,786,149 37.8 1.9 2.1
온라인 출판 유동업 인터넷 모바일 전자출판 서비스업 123,246 137,480 154,862 0.8 12.6 12.1
출판임대업 서적 임대업(만화제외) 62,648 58,899 56,415 0.3 4.2증가 5.1증가
합계 1,097,287 20,799,789 0,586,789 100.0 1.0증가 1.2증가

IT와 미디어의 융합으로 누구나 글을 쓰고 사진과 영상을 찍어서 인터넷에 올리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취재기자도 편집과 사진촬영, 영상제작까지 담당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또한 실제 현장에 나가지 않아도 인터넷이나 화상 생중계로 취재가 가능해지면서 이런 직군의 융합 현상은 기자의 일자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또한 장기적인 경기침체에 따른 경영악화, 광고료 수입 감소, 신문 및 잡지구독률 저하 등이 겹쳐 신규 일자리 창출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4차 산업혁명으로 산업계가 재편되면서 언론사들도 새로운 사회적 수요에 맞춘 발 빠른 대응이 없으면 도태될 수 있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과 온라인 체제를 강화하고, 모바일 기기 및 페이스북 등의 소셜미디어를 연계해 기사를 제공하는 등 독자들의 요구에 대응하려는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매체의 난립 및 경쟁 심화, 경기 위축에 따른 기업의 광고비 삭감, 언론사의 경영효율화를 위한 구조조정 등으로 인력의 감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인공지능의 발달로 로봇 저널리즘 등이 등장하면서 통계분석 기사를 비롯해 스포츠, 금융, 과학, 기상 등의 특정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기자의 업무를 대체될 것이란 전망은 기자의 고용을 어둡게 하고 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온라인 매체가 증가하고, 사회구성원의 관심분야와 욕구가 다양하게 확대되면서 사회적으로 신문의 영향력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특정 분야에 대한 심층 취재가 가능한 과학기술, 의학, 법률, 환경 등의 전문기자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방송기자는 발 빠르게 취재를 다녀야 하는 일의 특성상 30대의 젊은 인력이 많고, 보통 40대 이상이 되면 취재업무 보다는 관리직으로 이동하거나 타 분야로 이·전직이 많은 편이다. 때문에 취재 활동을 하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지식과 인맥을 많이 쌓아 기업체 홍보나 광고 및 홍보 대행사, 출판사 등으로 이·전직하는 사례도 있다. 언론사 입직의 경우, 여전히 언론고시라 불릴 정도로 준비기간이 길고 입직경쟁이 치열한 편이다. 더욱이 갈수록 3~5년 정도의 경력직 기자들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는 점은 신입 기자의 입직을 어렵게 한다. 다만, 요즘은 카드뉴스, 영상뉴스 등 새로운 형태의 뉴스 콘텐츠에 대한 소비가 크게 늘면서 미디어 플랫폼 변화에 대응하는 기획력과 창의력을 갖춘 기자의 수요가 커지고 있다. 또한 뉴스 취재 및 소재 수집경로가 현장취재나 취재원, 보도자료 등에서 인터넷, 소셜미디어 등으로 변화함에 따라 이에 적합한 역량을 갖춘다면 신입의 경우도 경쟁력이 클 것으로 보인다.

관련직업
관련정보처

직업전망 데이터는 워크넷(www.work.go.kr)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