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직업백과

당신이 궁금한 세상의 모든 직업

대학교수

아사마루
하는일/근무환경

하는 일

대학교수는 대학, 교육대학, 전문대학, 방송대학 등의 고등교육기관에서 자신의 전공 학문과 관련하여 강의하고 연구한다.

또한 시험, 발표, 보고서 등을 통해 학생들의 성적을 평가하고, 학생들의 논문이나 연구계획을 지도하며 교내동아리 활동 등을 지도한다.

이들은 전공 분야에 따라 국어국문학과 교수, 경영학과 교수, 컴퓨터공학과 교수 등으로 불린다. 전공이나 담당 교과목에 따라 강의, 실험, 실습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는데, 인문·사회계열 교수는 강의를 통한 수업이 많으며, 이공계열 교수는 실험/실습의 비중이 높다. 예·체능계열 교수는 강의와 실습 지도를 병행한다.

대학교수는 자신의 전공 분야에 대해 연구하여 각종 학회, 세미나 등에 논문을 제출하고 발표한다. 또한 자신의 전공 분야의 전문분야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하여 심사과정을 통해 게재하거나 다른 교수 및 연구자의 논문을 심사하여 게재 여부를 평가한다.

교수의 연구 실적이 재임용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강의와 학생지도뿐 아니라 연구 활동도 활발히 해야 한다. 교수는 전문가로서 자신의 전공 분야와 관련하여 정부나 기업체의 정책 수립이나 사업 방향에 대해 조언하기도 하며, 평가를 위해 외부회의에 참석하기도 한다. 이밖에 전공 분야, 관심 분야 등에 대한 책을 집필하기도 한다. 최근 연구 중심의 대학원 체제로 대학 구조를 개편하려는 학교가 늘고 있는데, 4년제 대학의 대학교수는 학부생 외에도 대학원생의 강의 및 논문지도를 병행한다.

대학교수 중에는 학교 보직으로 학생처장, 학과장, 단과대학장 등을 맡기도 하는데 이 때는 학교나 학과 운영과 관련된 각종 행정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밖에도 신입생을 유치하거나 학생들의 취업과 진로지도를 지원하기 위해 대내외적인 활동도 수행한다.

근무환경

대학교수는 주로 강의 일정에 따라 근무하므로 출퇴근 시간이 다소 자유로운 편이다. 근무하는 학교(전문대학, 대학)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주당 6~12시간 정도 강의하며, 직책이나 보직이 있는 경우에는 담당하는 강의시간이 다소 줄어들게 된다.

대학에 따라 7년마다 1년 정도의 연구년, 또는 안식년이 있어 이 기간에는 강의 없이 연구활동이나 대외활동에 전념하기도 한다. 대학교수는 방학 동안 계절학기 강의나 학회 활동, 연구 및 다음 학기 강의를 준비한다.

교육/훈련/자격 / 적성 및 흥미

교육 및 훈련

대학교수가 되기 위해서는 전공과목의 박사학위를 보유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요구된다. 일부 전문대학의 문화·예술 관련 분야의 경우 박사학위가 없어도 특별한 업적이나 해당 분야의 오랜 실무경험을 갖춘 사람을 채용하는 경우도 있다.

대학교수가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공 분야에 수준 높은 연구 실적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국내외 학술지를 통해 연구 실적을 발표하고, 관련 학회 활동에 활발히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 관련 학과 : 대학교의 모든 학과

입직 및 경력개발

대학교수는 국·공립 및 민간 전문대학 및 대학교, 대학원 등에서 종사한다. 학과별로 결원이 발생하면 공고를 통해 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2~3년간 전임강사로 채용한 후 연구성과, 강의평가 등을 고려하여 정년보장 트랙교수로 정식 임용한다.

채용 시 박사학위 소지자로 응시자격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관련분야의 연구실적 등을 평가한다. 또한 시범 강의(시강)를 통해 학생, 교수들의 평가를 반영하는 대학도 있다. 그러나 일부 전문대학의 문화·예술 관련 분야에서 박사학위가 없어도 특별한 업적이나 해당 분야의 오랜 실무경험을 갖춘 사람을 채용하는 등 해당 영역에서 인정을 받으며 활발한 활동을 하는 전문가, 특별한 업적이 있는 사람을 채용하기도 한다.

대학교수는 정년보장 트랙의 경우 전임강사를 거쳐 ‘조교수 → 부교수 → 정교수’로 승진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비정년 트랙의 경우 시간강사, 강의전담교수, 연구교수, 겸임교수 등의 직책으로 강의, 연구, 학생지도 중 일부만을 수행한다.

적성 및 흥미

주로 탐구하고 남을 가르치는 일에 적합한 탐구력과 교육능력을 필요로 한다. 기존 이론이나 이미 발견된 것을 뛰어 넘어 새로운 것을 조사하고 연구하는 일에 흥미를 느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제까지 알려진 것과 앞으로 새롭게 연구해야 할 것을 구분하여 논리적이면서도 흥미롭게 글을 쓰고, 학생들에게 전달하며, 전문가들과 교류하거나 협동할 수 있는 의사전달능력과 발표능력 및 사회성도 필요하다.

종사현황

종사현황


대학교수 종사현황 : 성별(남성77.1%, 여성22.9%), 연령별(20대0%, 30대10.9%, 40대34.5%, 50대37.6%, 60대이상17.1%), 학력별(고졸이하0%, 전문대졸0%, 대졸2.4%, 대학원졸97.6%), 임금수준(하위25% 283만원, 중위50% 516만원, 상위25% 813만원)
직업전망

직업전망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감률 추정치 : 다소감소(-2%이상 -1%이하)

향후 10년간 대학교수의 고용은 다소 감소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대학교수는 2015년 약 68.4천 명에서 2025년 약 65.0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3.4천 명(연평균 ?0.5%)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교육개발원의 간추린 교육통계(2015)를 살펴보면 대학교수는 2008년 73,072명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5년 90,215명(23.5%)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전문대학원의 수는 2006년 138개에서 2015년 201개로 급격히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에 일반 대학원도 149개에서 183개로 증가하였다. 평생교육 확대에 따라 대학원 교육이 활성화되고 법학전문대학원 등 대학원이 증가하면서 강의를 담당하는 교수의 수가 많이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06년 이후 매년 약 1,000~3,000명 내외의 교원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대학교수 현황 표 내용 확인

대학교수 현황
연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합계 69,201 70,957 73,072 75,469 77,697 82,190 84,910 86,656 88,163 90,215
전문대학 11,857 11,685 12,100 12,451 12,530 12,891 13,078 13,012 12,920 12,991
대학 51,859 52,763 54,331 54,518 55,972 58,104 61,993 63,042 64,378 65,423
교육대학 857 855 812 805 813 820 842 835 834 849
산업대학 2,117 2,190 2,137 2,073 1,942 1,869 286 316 335 357
방송통신대학 134 136 137 140 139 148 149 145 150 154
대학부설대학원 1,587 2,416 2,536 4,401 5,124 5,880 6,049 6,771 7,032 7,229
대학원대학 403 479 561 604 619 636 650 665 645 1,322
기타 387 433 458 477 558 1,842 1,863 1,867 1,869 1,890

그러나 그동안 진행되어온 대학의 양적 팽창 탓에 일부 지방 사립대와 전문대에서 학생충원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어 대학교수의 일자리 증가는 한계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된다. 2015년의 대학입학정원은 331,067명이고 고교졸업생 수는 615,462명이다. 그러나 고교졸업생 수가 2019년 533,192명, 2023년 397,997명 등으로 급격히 감소할 전망이다.

이와 더불어 최근 대졸 취업난이 심화되면서 무분별한 대학진학의 효용에 대한 회의론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입학 정원을 다 충족시키지 못하는 대학이나 학과가 발생하면 입학정원을 감축하거나 국·공립학교를 비롯해 학교 간, 학과 간의 통폐합이 이루어지는 등 대학의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대학을 둘러싼 환경 변화는 향후 대학교수의 일자리 창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교육의 질적 수준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교원 1인당 학생 수를 감축하려는 정책이 추진되고 있는 것은 교수의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우리나라 유치원, 초·중·고등학교의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OECD 수준에 근접하고 있으나, 대학의 경우 차이가 크다. 한국교육개발원의 간추린 교육통계에 의하면 2011년과 2013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대학교수 1인당 학생 수는 각각 31.9, 30.3명으로, OECD 국가의 평균 15.6명(2011년 기준)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상황이다. 2015년의 경우 대학교수 1인당 학생 수는 28.7명으로 약간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대학에서는 교육의 질적 수준 제고와 경쟁력 향상을 위해 교원 1인당 학생 수를 감축하기 위해 시간강사의 비율을 줄이고 교수 충원율을 높이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향후 대학교수의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대학마다 졸업 후 취업이 잘되고 활용도가 높은 학과에 지원자가 집중되는 경향이 있어 의료 분야나 사회과학계열, 그리고 첨단 이공계 분야의 교수 채용을 늘리려는 움직임이 있다. 한편, 신설 학문분야 교수채용, 해외 석학 채용, 산학협력 증가에 따른 연구 교수 증가, 사이버대학 증가가 대학교수의 신규채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대규모 학생이 수강하는 강좌의 분반을 통해 강좌수가 늘어나는 추세이고 교수의 연구력 강화를 위해서 일부 대학교를 중심으로 교수의 책임 시간수를 줄이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것도 교수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이다.

2015년 전문대학은 138개교, 대학은 189개교로 최근 5년간 전문대학과 대학교의 수는 큰 증감 없이 비슷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또한 국내외에서 박사학위 소지자가 계속 증가하는 등 교수에 대한 수요보다 공급이 절대적으로 많은 상황이어서 향후 대학교수가 되기 위해서는 치열한 경쟁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들어 정규직 교수보다는 정년이 보장되지 않는 비정년 트랙교수나 강의전담교수, 취업전담교수 등을 많이 채용하고 있어 신규 채용 교수의 고용안정이 보장되지 않고 있다. 한편 교수로 임용된 후에도 연구 실적 기준이 상향되는 추세고, 성과에 따라 재임용에서 탈락하는 예도 발생하고 있어 교수들 간의 연구경쟁도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직업
관련정보처

직업전망 데이터는 워크넷(www.work.go.kr)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