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직업백과

당신이 궁금한 세상의 모든 직업

도장원 및 도금원

아사마루
하는일/근무환경

하는 일

도장 및 도금원은 각종 표면처리 기술을 응용하여 금속 및 기타 재료의 표면을 처리하는 표면처리업, 착색, 피복 또는 충전 등의 피막 형성을 처리하는 도장 및 기타 피막처리업등에 종사하고 있다.

도장원은 자동차, 선박 등 금속제품과 건축물의 표면에 비금속성 도료를 칠한다. 도장은 제품을 아름답게 꾸미고 오랫동안 보존하려는 목적으로 도료를 칠하거나 바르는 작업이다. 반면 도금원은 금속제품이나 부품의 표면을 금속 또는 합금, 금속화합물로 덮어씌우는 일을 한다. 도금은 생산 공정상 최종 가공단계로서 부식과 마모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고 장식목적 또는 전기, 자기적 특성을 균등히 분배하는 작업이다.

도장원의 직무순서는 먼저 스크래퍼(긁개), 사포 등으로 금속표면이나 건축물 내외벽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건축물의 경우 필요 시 모르타르나 퍼티 등을 이용하여 못 구멍이나 균열부분을 고르게 한다. 제품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적합한 도료를 선택하고, 도료에 희석제를 섞어 색조를 맞춘 후 붓, 롤러, 분무기 등을 사용하여 지정된 표면에 도장을 실시한다. 분무기를 사용할 경우 분무기를 조절한 다음 제품의 마스킹상태, 위치 등을 확인하고, 자동 및 수동분무기로 도장을 실시한다. 도장이 불량할 때는 노즐의 위치와 압력을 조절해서 마지막으로 도장된 제품의 결함상태까지 검사한다.

도금원은 금속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해 각종 화학약품과 도금장치를 사용하면서 작업하는데, 일반적으로 도금은 전기도금, 화학도금, 용융도금 등 세 종류가 있다. 이 중 전기도금은 전기에너지를 사용해서 금속이나 비금속 표면에 다른 금속의 피막을 만들어주는 방법으로 장식품, 각종 공업용품 등의 표면 도금에 가장 널리 사용된다. 전기도금은 우선 금속제품을 청결히 손질하는 장비를 조작하고 마포(磨布)로 연마한 뒤 다시 물로 세척해둔다. 이후 금속제품 위에 금속 또는 합금으로 얇은 막을 씌우는 피복작업을 한다. 도금하고자 하는 금속을 음극으로 하고 전착(電着)시키고자 하는 금속을 양극으로 하여 전착시키고자 하는 금속의 이온을 함유한 전해액 속에 넣고 전기를 통하게 하면 목표한 금속이온이 물건의 표면에 달라붙게 된다. 도금하고자 하는 물건은 전기가 잘 통해야 한다. 금속제품은 별 문제가 없지만 비금속일 경우에는 전착시키고자 하는 물건의 표면을 구리 등으로 입혀서 전기가 통할 수 있도록 조치한 다음 도금한다. 일반적으로 전기도금이 가능한 금속은 많지만 널리 사용되는 종류로는 금, 은, 구리, 니켈, 크롬 등이 있다. 도금작업이 끝난 후에는 도금된 제품을 깨끗하게 물로 씻어 건조한다.

근무환경

도장원은 공장에서 작업하므로 작업장이 일정하지만, 건물도장원은 실외에서 작업하는 경우도 많다. 고층 아파트 등을 도장할 때는 추락 등 사고의 위험에 항상 대비해야 하며, 실내에서 작업할 때는 화공약품 냄새나 분진 발생이 심하므로 환기를 자주 시키고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도금원은 주로 전기, 화학재료 등을 사용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화상의 위험과 함께 유독성가스로 인한 호흡기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있다.

교육/훈련/자격 / 적성 및 흥미

교육 및 훈련

특별한 자격이나 학력은 필요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직업훈련기관에서 단기 직업훈련과정으로 전기도금, 자동차도장, 금속도장, 건축도장 등을 익혀두면 취업에 유리하다. 고급 기술을 익히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의 표면처리과 또는 대학의 금속재료학과 등에 진학할 수 있다.

▲ 관련 학과 : 공업계고등학교, 화학공학과, 화학과, 금속재료학과, 금속공학과, 표면처리과 등

▲ 관련 자격 : 표면처리기술사/산업기사/기능장/기능사, 건축도장기능사/산업기사, 금속도장기능사/산업기사, 광고도장 기능사, 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등(이상 한국산업인력공단)

입직 및 경력개발

도장원은 도장전문공사업체나 건설회사, 가구회사, 자동차회사 및 건축인테리어업체, 선박회사 등의 도장부서에서 일하고, 도금원은 금속제품 제조업체 등에 고용된다. 공업계고등학교나 직업전문학교를 졸업하고 학교장 추천 등을 통하여 채용기업에 입사하거나, 해당 업체에 직접 지원하여 일을 시작한다.

업체에서 숙련공의 보조원으로 일하면서 기술을 습득하게 되며, 경력과 기술이 쌓이면 각 공정을 책임지는 작업반장, 전체적인 공정을 감독하는 관리자 및 현장소장의 자격으로 승진할 수 있다. 기술력과 공사수주 확보 등의 경영능력이 쌓이면 자동차도장, 가구도장, 선박도장, 금속도장, 건물도장 등의 사업체를 직접 운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성 및 흥미

체계적인 조작과 정밀을 요하는 작업을 하므로 세심한 주의력과 판단력이 필요하다. 또 도장 및 도금 장치를 조정하고 조작하여 다양한 수공구 및 측정 기구를 기술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손재능이 필요하며, 전기, 열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철저한 안전의식으로 작업에 임해야 한다. 계속적인 작업을 위한 체력과 인내가 필요하기도 하다.

특히 건물도장공은 숙련된 기능도 중요하지만, 건물의 기능과 분위기에 적절한 재료를 선별할 수 있어야 하며 색채감각도 필요하다. 아파트 등 고층건물의 외벽을 도장할 때도 있으므로 빈혈이나 고소공포증이 없어야 한다.

종사현황

종사현황


도금 및 금속분무기조작원에 대한 정보로 상세내용 하단 참고
도금 및 금속분무기조작원
  • 성별 - 남자 : 89.2%, 여자:10.8%
  • 연령별 - 20대이하:8.6%, 30대:36.7%, 40대:21.6%, 50대:23.0%, 60대이상:10.1%
  • 학력별 - 고졸이하:72.7%, 전문대졸:18.7%, 대졸:8.6%, 대학원졸:0%
  • 임금수준 - 하위25%: 142만원, 중위50%: 218만원, 상위25%: 357만원
직업전망

직업전망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감률 추정치로 감소(-2%미만), 다소감소:(2%이상 -1%이하), 유지(-1%초과 +1%미만), 다소증가(1%이상 2%이하), 증가(2%초과) 중 유지에 속함

향후 10년간 도장원 및 도금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도장원 및 도금원은 2015년 약 58.9천 명에서 2025년 약 61.5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2.6천 명(연평균 0.4%) 정도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고용변화가 크지 않아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장원의 고용을 결정하게 되는 유관산업 중 영향을 미치는 산업으로는 금속제품의 외관성형을 위해 도장기를 사용하는 도장, 도배 및 내장공사업이 있다.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 자료에 의하면 도장공사업의 사업체 수는 2014년 3,337개소로 2008년 2,434개소에 비해 37.2% 증가하였고, 이 산업의 종사자 수는 2008년 18,538명에서 2014년 23,249명으로 25.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장공사업의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에 대한 표로 상세내용은 하단 참고
도장공사업의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
산업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사업체수(개소) 2,434 2,481 2,577 2,826 2,940 3,019 3,337
종사자수(명) 18,538 18,220 27,695 25,381 23,381 20,603 23,249

한편, 도금 관련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도금, 착색 및 기타 표면처리강재 제조업의 사업체 수는 2014년 450개소로 2008년 232개소에 비해 93.9% 증가하였고, 종사자 수는 2008년 6,861명에서 2014년 9,016명으로 3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금 관련업의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에 대한 표로 상세 내용 하단 참고
도금 관련업의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
산업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사업체수(개소) 232 237 295 289 332 389 450
종사자수(명) 6,861 7,013 7,758 8,196 7,987 8,911 9,016

도장 및 도금 분야는 열악한 작업환경 및 환경오염 산업이라는 인식 때문에 기술인력 유입이 감소하고 있어 기술 공동화가 우려되는 분야 중 하나이다. 또한 선진국의 비약적인 도장 및 도금기술 발전과 중국 등의 후발 개발도상국의 추격으로 성장 한계에 직면한 것도 현실이다. 인건비 등을 이유로 중국 등에서 현지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 생산설비의 자동화로 국내에서의 고용현실은 밝지 않다.

도장원 및 도금원과 관련된 국가자격인 금속도장기능사 자격 취득 동향을 살펴보면, 2015년 필기 응시자는 491명, 실기 응시자는 317명이었고, 최종적으로 152명이 자격을 취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속도장기능사 자격 취득동향에 대한 표로 상세내용은 하단 참고

금속도장기능사 자격 취득 동향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09 294 명 141 명 48% 208 명 122 명 58.7%
2010 234 명 116 명 49.6% 146 명 101 명 69.2%
2011 243 명 112 명 46.1% 135 명 100 명 74.1%
2012 269 명 151 명 56.1% 188 명 135 명 71.8%
2013 242 명 116 명 47.9% 173 명 126 명 72.8%
2014 353 명 135 명 38.2% 176 명 124 명 70.2%
2015 491 명 250 명 50.9% 317 명 152 명 47.9%

한편 표면처리, 특히 도금기술은 우리나라 전방산업과의 연계성이 매우 높은 생산기반기술 산업으로 기능성 제품 및 표면처리 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기 때문에 복합·기능성 표면처리 기술을 도입한 아연도금과 같은 특수도금처리 산업 부문은 향후에도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그렇지만 청년층의 진입 기피와 숙련공 양성체계의 부재에 따른 인력 공급부족으로 일자리 경쟁률은 낮을 것으로 보이며, 힘든 작업이기 때문에 국내 인력이 공급되지 않아 외국인 인력으로 충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박 및 자동차 분야와 같이 산업 수요가 높은 분야의 도장 및 도금 제조업에 종사하는 인력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 영역에서 도장원 및 도금원의 고용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이지만, 정부의 뿌리산업 활성화 정책에 따라 6대 뿌리산업이 활성화되면 이를 상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 소품대량생산보다는 다품종소량주문생산으로 점차적으로 개인의 개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사회가 바뀜에 따라 표면처리생산 분야도 세분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거의 모든 제품에는 도장이 들어가기 때문에 색상, 재료 등이 고급화되어 이들 분야로의 개별 인력수요가 나타날 전망이다.

관련직업
  • 금속가공장치조작원
관련정보처

직업전망 데이터는 워크넷(www.work.go.kr)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