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직업백과

당신이 궁금한 세상의 모든 직업

무용가 및 안무가

아사마루
하는일/근무환경

하는 일

무용가는 음악에 맞추어 혼자 또는 단체의 일원이 되어 예술적으로 춤을 추는 일을 한다. 주로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 등의 장르에서 고전작품 또는 창작작품을 공연하며, 전공에 따라 한국무용가, 현대무용가, 발레리나(남자는 발레리노) 등으로 불린다.

무용가는 공연을 목적으로 안무가가 개발한 무용을 지도받고 연습한다. 극의 스토리와 메시지를 몸의 표현으로 전달하며, 예술적 감동을 주기 위하여 음악에 맞추어 춤을 통해 연기한다. 공연이 결정되면 연습스케줄을 계획하고 자신이 맡은 배역과 전체적인 공연 콘셉트 및 분위기를 파악한다. 또 회의를 통해 동작과 움직임을 조율하고 공연에 맞는 몸을 만든다.

무용창작을 위한 구상 및 안무는 안무가가 담당하며, 무용가는 이들의 안무에 맞춰서 전체적인 춤이나 동작을 연습한다.

이밖에 스태프들과 의상이나 분장을 맞추기도 하고 최종 리허설을 거쳐 실제 무대 공연을 하게 된다. 보통 정기공연의 경우 무대에 오르기까지 3~4개월의 연습기간을 거치는데, 공연을 앞두고는 최종 리허설을 위해 늦게까지 공연연습을 하는 경우가 많다.

안무가는 고전무용을 새로운 시각으로 재해석하거나 창작무용을 고안하는 등 무용을 창작하며 무용가의 안무지도를 담당한다. 무용가로 오랜 경력을 쌓다가 안무가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근무환경

무용가의 근무시간은 공연 일정에 따라 다소 유동적이다. 오전에는 단원들끼리 공연 연습을 하고, 오후에는 개인 연습이나 무용레슨 등 개인 활동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공연을 앞두고는 최종 리허설을 위해 늦게까지 연습을 하는 경우가 많다.

공연은 주로 평일 저녁과 주말에 있으며, 지방이나 해외 공연을 위해 장기간 출장을 가기도 한다. 항상 체력유지에 힘써야 하고, 몸매 관리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안무가의 경우 창작 활동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있을 수 있다.

교육/훈련/자격 / 적성 및 흥미

교육 및 훈련

예술계 중고등학교와 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무용과를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들 중에는 어린 시절부터 무용교육을 받으면서 일찍 진로를 결정한 사람이 많다. 대학의 무용과는 학교에 따라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 등으로 세부전공이 나뉜다. 무용과에서는 전공 실기수업과 공연 활동을 통해 표현력과 창작능력을 기르고, 이론수업을 통해 무용의 학문적 탐구방법을 배우게 된다. 이 외에 사설무용교육기관을 통해서도 관련 교육을 받을 수 있다.

▲ 관련 학과 : 무용(학)과, 한국무용과, 실용무용과 등

입직 및 경력개발

무용가는 국·시립무용단을 포함한 직업무용단과 동일한 학교의 졸업생이나 특정 스승의 제자들이 주축이 된 동문무용단, 공연에 따라 수당을 받는 전문무용단 등에서 주로 활동하거나 개인 무용가로 활동한다. 직업무용단에서 정규직으로 활동하는 무용가는 많지 않고 대부분 프리랜서, 임시직, 파트타임 등의 형태로 활동한다.

무용단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단원모집 오디션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며, 무용단에 따라 전문대학 이상의 학력 등을 요구하기도 한다. 또 공연작품에 따라 그에 맞는 단원을 공개 오디션으로 뽑기도 하며, 대학에서 운영되는 무용단은 추천을 통해 단원으로 선발되기도 한다. 일부는 연수 단원으로 활동하다가 오디션을 거쳐 정식 단원이 되기도 한다. 보통 오디션은 지원자 자유무용과 무용단 지정무용 등으로 구성된다.

무용단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보통 ‘준단원 → 정단원 → 수석단원’ 등의 승진체계가 있다. 또 발레단은 ‘(일반)단원 → 드미솔리스트(Demi-Soloist) → 솔리스트(주연무용수) → 수석무용수’ 등으로 승진한다. 무용가로 일정 경력을 쌓아 안무가로 진출하기도 하며, 무용가, 안무가 등을 거쳐 무용단 단장이 되기도 한다. 또한 학교에서 강의를 하거나 사설 무용학원 등을 운영하는 사람도 있다.

적성 및 흥미

무용가는 유연한 신체와 균형 감각이 있어야 하며, 음악에 대한 리듬 감각과 풍부한 표정 등 연기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오랜 연습시간과 공연을 견뎌낼 수 있는 건강한 신체와 끈기가 필요하며, 하나의 작품을 여러 명이 협업하여 공연하는 경우가 많아 원만한 대인관계도 요구된다. 안무가는 몸으로 예술적 감동과 의지를 표현할 수 있는 능력, 극의 스토리와 메시지를 잘 표현해낼 수 있는 능력, 창의력 등과 풍부한 감정표현 능력, 신체표현 능력 등이 필요하다.

종사현황

종사현황


직업전망

직업전망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감률 추정치 : 다소감소(-2%이상 -1%이하)

향후 10년간 무용가 및 안무가의 고용은 다소 감소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5문예연감」의 무용 공연 현황을 살펴보면, 최근 5년간의 무용 공연 건수는 2010년 1,205건, 2011년 1,286건, 2012년 1,471건, 2013년 1,490건, 2014년 1,115건으로 2014년에는 전년대비 처음으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공연 횟수는 2010년 2,488건에서 2011년 2,491건, 2012년 3,188건으로 꾸준히 증가했으나, 2013년에는 3,056건으로 감소해 2014년에는 2,200건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최근 5년간 무용 공연 추이 현황 표 내용 확인

최근 5년간 무용 공연 추이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무용 공연 건수 1,205 1,286 1,471 1,490 1,155
무용 공연 횟수 2,488 2,491 3,188 3,056 2,200

무용 공연이 줄어들면서 무용가의 활동영역도 축소되고 있다. 장기적인 경기 침체로 공연 건수 및 횟수가 줄고, 무용가의 급여 및 처우가 더욱 악화되면서 고용시장의 점차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공연장을 직접 찾아가 공연을 즐기는 인구가 줄어드는 점은 이들의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일부 대학의 무용학과가 이미 폐과되거나 폐과 위기에 놓여 있으며, 타 과와의 통폐합이 추진되는 점도 향후 무용가들의 활동에 큰 제약이 되고 있다. 더욱이 무용가를 비롯한 예술인들을 위한 복지 제도 및 정책이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인구 감소와 함께 무용을 배우려는 수요가 주는 점도 무용 종사자의 일자리 감소를 촉진하고 있다.

안무가의 경우도 무용 공연 횟수가 줄면서 일자리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는 상황이다. 순수예술 측면의 공연은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점차 뮤지컬이나 방송프로그램 출연을 위한 안무 기회도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다. 또한 안무 영역도 일부 유명 안무가에게 일이 편중되는 편이어서 신입 안무가가 활동할 무대는 더욱 협소해지고 진입을 위해서는 뛰어난 실력을 갖춰 경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고용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직업무용단의 수는 상당히 제한적이며, 이·전직이 적은 편이어서 대체 일자리 발생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직업무용단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 역시 쉽지 않을 전망이다.

관련직업
관련정보처

직업전망 데이터는 워크넷(www.work.go.kr)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