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직업백과

당신이 궁금한 세상의 모든 직업

번역가

아사마루
하는일/근무환경

하는 일

번역가는 의사소통이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특정 언어로 작성된 문서, 보고서 또는 전문서적이나 영상물 등을 다른 언어로 옮기는 일을 전문적으로 수행한다. 문학작품(문학번역), 영상물(영상번역), 전문서류(전문서류번역) 등 자신의 전문 분야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자동차산업, 전자산업 등으로 세분된 산업영역에서 전문적인 번역 업무를 담당하기도 한다.

문학번역에는 외국어로 된 소설, 시, 희곡, 수필 등 대중의 관심을 끄는 작품들의 번역뿐 아니라 인문사회, 자연과학 분야의 문헌 번역도 포함된다. 영상번역은 영화나 방송 프로그램, 다큐멘터리, 만화, 뉴스 등 모든 장르의 영상예술에 쓰인 외국어를 해당 언어로 바꾸어 다시 녹음(더빙)하거나 자막용으로 번역하는 것을 말한다. 전문서류번역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논문, 학술서적, 비즈니스 서류, 기획, 수출입 관련 무역서신, 제품설명서 등 각종 계약서 및 서류 등의 번역이다.

번역가는 문화, 정보, 이야기 등을 적절하게 해석하여 다른 언어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번역 의뢰가 들어오면 번역할 내용을 파악하고 의뢰자와의 협의를 거친 후 작업을 시작한다. 외국 문학작품이나 영상물의 경우 해당 국가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 등을 완벽하게 이해해야 정확한 번역이 가능하다. 전문서적의 경우에는 원문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 사전이나 참고자료를 활용하여 번역문을 작성한다. 정해진 원고 외에도 편집자를 배려하기 위해 주석을 달기도 한다. 번역이 완료되면 해당 분야 전문가나 번역의뢰 업체를 통해 전문용어에 대한 감수를 받고 원문과의 대조를 통해 누락되거나 잘못 번역된 부분이 없는지 확인한다. 번역된 내용에 대한 수정과 보완, 교정 작업을 거쳐 표현을 이해하기 쉽고 매끄럽게 다듬는 작업을 반복하여 최종 번역문을 완성한다.

번역가는 한국어를 외국어로 번역하거나 외국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일 중 자신이 잘할 수 있는 영역에서 활동한다. 한국어를 외국어로 번역하는 번역가는 상대 국가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알고 있어야 하며, 외국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번역가는 우리말의 다양한 표현, 비유법과 구어체 등의 표현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근무환경

대부분 프리랜서로 자신의 집, 혹은 번역전문회사의 사무실 내에서 번역하기 때문에 별도의 근무시간이나 출퇴근 시간이 정해져 있지 않다. 번역전문회사에 소속되어 일하거나 이곳에서 별도 과업을 계약하고 번역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비즈니스 문서의 경우 분량에 따라 다르지만 단기간에 끝나는 편이고, 출판물이나 영상물의 경우 몇 개월 동안 작업하는 경우도 있다.

교육/훈련/자격 / 적성 및 흥미

교육 및 훈련

번역가가 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별도의 교육이나 훈련은 없다. 하지만 외국어 실력이 기본이기 때문에 통역번역전문대학원이나 번역전문 교육기관에서 번역가로서 필요한 실무교육을 체계적으로 받고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년 과정의 전문대학원 번역학과에서는 1개 이상의 외국어를 선택하여 해당 외국어를 완벽하게 쓰고 번역하기 위한 다양한 연습을 한다. 번역을 하기 위해서는 외국어뿐만 아니라 한국어의 이해력과 구사력도 뛰어나야 한다. 이 때문에 우리말의 문장 교육도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문학작품번역의 경우 대학교에서 외국문학을 전공한 사람들이 많으며 해당국가의 다양한 문화를 알아야 하는 번역가의 특성상 오랜 해외체류 경험을 가진 사람이 번역 업무를 하기도 한다. 정보통신, 경제·경영 등의 특정분야를 중심으로 번역할 때는 전문용어의 이해가 필요하므로 관련학과 전공자가 유리할 수 있다.

이밖에 사설 교육기관의 경우 대개 3~6개월의 양성과정을 개설해 자체적으로 주관하는 자격시험에 합격한 사람에 한해 회원으로 가입시킨 후 번역 업무를 의뢰하기도 한다.

▲ 관련 학과 : 어문계열 학과, 번역학과(통역번역전문대학원) 등
▲ 관련 자격 : 외국어 번역능력인정(번역능력인정시험/TCT) 1/2/3급((사)한국번역가협회), 외국어번역행정사(행정자치부)

입직 및 경력개발

번역가는 대부분 프리랜서로 활동한다. 영상번역 분야의 경우 방송사에 프리랜서로 고용되어 외화, 다큐멘터리 등의 영상물을 번역하며, 문학번역의 경우도 출판사에서 적합한 프리랜서 번역가를 섭외하여 번역을 의뢰한다. 대기업, 공공기관 등에 일정 기간 소속되어 각종 업무 관련 문서 및 서류를 전문적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채용 과정에서는 해외체류 경험이 있는 자를 우대하고 공인 외국어 성적표 제출을 요구하기도 한다.

번역 작업을 알선하는 에이전시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업무를 맡거나 교육기관의 추천을 받아 번역을 의뢰받기도 한다. 특히 문학작품의 경우 그간의 번역 경력을 바탕으로 출판사로부터 직접 의뢰를 받는 편이다. 이때 번역 경험 및 경력이 있는 문학작가가 번역을 하기도 한다.

대부분 프리랜서로 활동하기 때문에 특별한 승진 체계는 없다. 다만, 번역가로 활동하며 실력을 인정받으면 더 높은 번역료를 받게 되고 많은 일을 의뢰받을 수 있다. 또한 번역가로서 경력을 쌓은 후에는 독자적으로 번역회사를 창업하기도 하며, 번역가 알선 에이전시나 번역관련 사설학원을 운영할 수 있다.

적성 및 흥미

의사소통이 정확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글을 쓰는 것이 중요하며 특정분야를 번역할 때는 전문용어의 이해가 필요하다. 한글을 정확히 알고 표현할 수 있는 국어문법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이 필요하다. 어휘력이 풍부해야하고 언어에 대한 감각과 글로 잘 표현할 줄 아는 문장표현력을 갖추어야 한다.

종사현황

종사현황


번역가 종사현황 : 성별(남성33.3%, 여성66.7%), 연령별(20대24.6%, 30대21.7%, 40대33.3%, 50대14.5%, 60대이상5.8%), 학력별(고졸이하2.9%, 전문대졸4.3%, 대졸65.2%, 대학원졸27.5%)
직업전망

직업전망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감률 추정치 : 유지(-1%초과 +1%미만)

향후 10년간 번역가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적으로 문화교류가 증가하면서 각국의 문학작품이나 영상물 등 다양한 자료들의 번역 업무가 늘어나고 있다. 방송 분야의 경우, 방송환경의 다매체 및 다채널화로 외국 프로그램을 송출하기 위한 수입물이 늘고, 영화, 드라마, 다큐멘터리, 만화, 교육 등 영상물이 꾸준히 제작되는 점은 당분간 이들의 일자리에 긍정적인 요인이 될 전망이다.

실제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에 따르면 약간의 증감은 있지만, 번역 및 통역서비스업 사업체 수는 2010년 364개소에서 2014년 487개소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종사자 수에서도 2010년 1,505명에서 2014년 2,579명으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번역 및 통역서비스업이 기업화되어 가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인력의 운영 및 관리가 전문화, 체계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도별 번역 및 통역서비스업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 표 내용 확인

연도별 번역 및 통역서비스업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
연도 2010 2011 2012 2013 2014
사업체 수 364 432 462 455 487
종사자 수 1,505 1,780 2,265 2,330 2,579

기업의 경우, 외국계 기업의 국내 진출 및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등 국제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번역가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인재 채용 트렌드 강화 등의 영향으로 번역 업무를 직접 수행하는 실무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실무에서 ‘구글’ 같은 번역서비스를 사용하면서 번역 업무를 외부에 의뢰하는 일은 점차 줄어드는 점은 번역가의 일자리 감소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인공지능 등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자동번역 서비스가 확대·고도화되면서 번역가의 일자리를 위협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문학작품 및 전문서적 등 고도의 번역기술이 요구되는 분야에 대한 인력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문학계에서는 한국문학 및 고전을 비롯해 각 분야 전문서적 수입이 증가하면서 전문 번역가의 수요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5년 문예연감」에 따르면, 번역 도서의 출판은 전년도에 비해서 전체 390종 21.3%가 증가했으며, 세부적으로는 장르마다 차이가 있지만, 시의 경우에는 전년도(30종)의 3배 이상에 해당하는 144종이 출판되었고, 출판물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소설은 전년 대비(1,363종) 213종이 증가한 1,576종이 출판되었다. 희곡의 경우도 전년도(38종)의 2배 이상에 해당하는 95종이 출판되었고, 평론은 전년도(122종)보다 2배 가까이 증가한 226종이 출판되었다. 반대로 수필 부문에서는 큰 폭으로 감소하여 전년도(276종)보다 98종이 감소된 178종이 출판되었다. 이러한 문학작품 번역의 경우, 일반 번역과는 달리 매우 전문적인 번역수준이 요구되기 때문에 자동번역이나 인공지능 기술과는 별개로 꾸준한 수요가 예상된다.

2013년, 2014년 세부 장르 번역 도서 추이 표 내용 확인

2013년, 2014년 세부 장르 번역 도서 추이
구분 소설 수필 희곡 평론
2014년 114 1,576 178 95 226 2,219
2013년 30 1,363 276 38 122 1,829
증감 114증가 213증가 98감소 57증가 104감소 390증가
비율 3.2% 35.5% 4.0% 2.1% 5.1% 50.0%

이처럼 국제교류의 증가는 번역가의 업무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글로벌 인재 양성에 영향을 미쳐 번역가의 업무를 감소시킬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공지능 등 과학기술의 발전과 자동번역서비스의 확대 및 고도화는 단순 번역 업무를 감소시키는 대신 고도의 전문적인 번역 영역을 구축하게 함으로써 번역가의 고용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철저히 능력 위주로 평가받는 업무의 특성상 전문적인 번역능력과 지식을 고루 갖추는 것이 중요하고, 과학, 문화, 예술, 문학 등 자신만의 전문 분야를 개척해 특정 분야의 경력을 지속적으로 키워나가는 경력개발 태도가 더욱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직업
  • 통역사
  • 의료통역사
관련정보처

직업전망 데이터는 워크넷(www.work.go.kr)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