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직업백과

당신이 궁금한 세상의 모든 직업

사회복지사

아사마루
하는일/근무환경

하는 일

사회복지사는 개인적, 가정적, 사회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여 자신이 원하는 삶을 찾고,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심리적, 정서적, 경제적 문제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한 사람들을 만나 상담을 통해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 파악하고, 필요에 따라 보유 자원, 재정적 문제, 지역사회 자원 등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심리적·정서적 지원, 생활지원, 교육·훈련, 대인관계기술훈련, 건강관리, 법률지원 등이 있다. 다양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기획·개발하여 상담과 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기도 한다. 이용자의 사회 적응과 자립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직업재활이나 취업을 위한 사업장을 개발하여 취업 지원을 하기도 한다. 공공복지 서비스 전달을 위해 이용자를 선정하고 복지 지원과 생활지도,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돕는다. 사회복지사는 이러한 다양한 실천 과정 수행업무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고 관련 행정업무도 수행한다.

사회복지사는 소속 근무지에 따라 명칭과 역할이 다르다.

사회복지기관사회복지사는 복지기관에서 일하며 입소자에 대한 생활관리, 생활지도, 건강관리, 프로그램 지원, 교육지원, 자립 준비, 개별상담, 집단상담, 가족상담, 사례관리, 지역사회 자원 연계, 행정, 회계, 자원봉사 업무 등을 수행한다.

사회복지 실천을 위해 후원자와 자원봉사자를 모집하고 이들과 파트너십을 맺어 함께 일한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시도, 시군구 및 읍면동 또는 복지사무전담기구 등에서 근무한다. 복지 정책을 마련하고 복지수급권자의 기초생활 보장을 위해 사회복지사업의 운영을 담당한다. 지역 주민 중 복지서비스가 필요한 주민에 대한 생활지원 및 관리, 행정 업무를 수행한다.

교정사회복지사는 법무부 보호직 공무원으로 소년원과 같은 법무부 산하 교정시설에서 수감생활을 하는 사람의 재활을 돕고 범죄 재발 예방을 위해 상담과 지도를 담당한다. 보호처분을 받은 수감자가 사회와 소통하는 기술을 익혀 출소 후 원활히 사회에 복귀하여 잘 적응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상담·안내·중재·교육한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에서 근무하며,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방문지도, 사회 복귀 촉진을 위한 생활훈련 및 직업훈련, 정신질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교육·지도 및 상담을 수행한다. 환자가 퇴원한 후에도 사회 구성원으로서 정상적인 생활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또한 정신질환 예방 활동 및 정신보건에 관한 조사연구를 수행한다.

의료사회복지사는 병원이나 진료소에서 임상치료팀의 일원으로 일하며, 질병의 직간접적인 원인이자 치료에 걸림돌이 되는 환자의 심리·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다. 환자가 퇴원 후 사회인으로서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환자와 그 가족에게 상담과 지도 등 전문적인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

학교사회복지사는 학교에서 일하며 문제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는다. 이들은 학생 개개인의 지적, 사회적, 정서적 욕구 및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며, 모든 학생이 학교에서 공평한 교육 기회와 성취감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현재 일부 지자체가 학교사회복지사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관련 내용을 조례로 지정하고 각 학교마다 학교사회복지사를 배치하고 있으며, 향후 다른 지자체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산업사회복지사는 작업장이나 기업체에서 근로자의 복지 개선을 위해 일한다. 노동자의 직무 스트레스, 부당한 대우 등을 해결하여 즐거운 근로생활을 가능하게 하고, 근로자가 일터에서 겪는 부적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담 및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진행한다. 가족과 함께하는 일터 프로그램을 계획하기도 한다.

근무환경

복지대상자의 현황 파악을 위해 대상자를 직접 방문하여 상담하는 등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외근이 많다.

쌀이나 연탄 배달, 김장봉사, 세탁봉사 등 각종 행사를 진행하며 자원봉사자의 모집과 교육, 행정업무 처리도 해야 한다. 이처럼 대민 서비스가 잦고 업무량이 많아 육체적인 피로도가 크다.

사회복지생활시설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는 시설이용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24시간 교대로 근무한다. 또한 사회복지시설은 저녁이나 주말에 주민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있어 초과근무나 주말근무가 잦다. 업무에 따라서 위기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24시간 출동 대기상태로 있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교육/훈련/자격 / 적성 및 흥미

교육 및 훈련

대학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거나, 학점은행제, 평생교육원 등에서 필요한 수업을 이수하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일정 학점의 수업을 이수(14 과목)하고 현장실습(120 시간) 요건이 충족되면 사회복지사 2급 자격을 취득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학 학사학위 취득자,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한 석사 또는 박사학위 취득자가 별도의 시험을 통해 사회복지사 1급 자격을 취득하게 된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사 1급 자격 소지자가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한 전문요원수련기관에서 1년 이상의 수련을 마치고 자격시험에 통과하면 정신보건사회복지사 2급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한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가 전문요원수련기관에서 3년 이상의 수련을 마치면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급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사회복지사 2급 자격 취득자가 많아지면서 기관에 따라 채용 시 1급 소지자를 요구하는 등 급수별 차별화가 있을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사회복지현장에서 일하며 관리자급으로 승진 및 경력을 쌓고자 한다면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을 취득하여 경쟁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

▲ 관련 학과 :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행정과, 사회사업학과, 아동복지학과, 청소년학과, 노인복지학과, 노인보건복지과, 실버보건학과, 가족복지과, 산업복지학과, 생활환경복지학과, 도시복지학과 등

▲ 관련 자격 : 사회복지사 1급/2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급/2급(이상 보건복지부)

입직 및 경력개발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지역아동센터 등의 사회복지이용시설이나 장애인재활시설, 아동양육시설, 모·부자복지시설, 노인요양시설 등의 사회복지생활시설로 진출한다. 대체로 결원 발생 시 수시채용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시험 및 면접을 거친다.

의료사회복지사와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요양시설, 종합병원 및 정신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데 병원이나 학교, 연구기관 등에서 근무하기를 원한다면 석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하는 것이 좋으며, 공개채용으로 입직할 수 있다. 이밖에 사회복지사 2급 자격 이상을 취득하고 공무원 시험에 합격하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으로 활동할 수 있다.

사회복지사로 활동하면서 약 3~5년 정도의 경력이 쌓이면 주임(선임)사회복지사로 승진하여 중간관리자급에 오를 수 있으며,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약 5~7년이면 팀장의 위치에 오를 수 있다.

적성 및 흥미

투철한 소명의식과 봉사정신을 갖춘 사람에게 적합하며, 관련 분야에 대한 충분한 전문지식과 직업인으로서의 사명감이 있어야 사회복지사로 활동할 수 있다. 복지서비스 수요자를 대면하여 수행하는 업무가 많으므로 사람에 대한 공감능력과 이해심, 사회성이 요구된다. 직무수행 과정에서 다양한 일이 발생하므로 융통성, 유연한 대처 능력 등도 필요하다.

복지서비스 대상자와의 친밀한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사람의 삶이 변화되는 과정에 대한 책임감과 대상자에 대한 존중과 진실한 자세도 중요하다.

국민의 세금으로 복지제도가 운영되는 만큼 최소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는 복지 서비스를 기획할 수 있어야 하며, 복지 대상자를 결정할 합리적 기준도 마련해야 하므로 냉철한 판단력이 요구된다. 사회복지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 대한 호기심과 높은 창의력도 필요하다.

종사현황

종사현황


사회복지사 종사현황 : 성별(남성30.1%, 여성69.9%), 연령별(20대19.3%, 30대29.9%, 40대33.2%, 50대14.7%, 60대이상2.9%), 학력별(고졸이하4.1%, 전문대졸29.8%, 대졸54.6%, 대학원졸11.5%), 임금수준(하위25% 112만원, 중위50% 180만원, 상위25% 297만원)
직업전망

직업전망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감률 추정치 : 증가(2%초과)

향후 10년간 사회복지사의 고용은 증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사회복지사는 2015년 약 76.8천 명에서 2025년 약 100.6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23.8천 명(연평균 2.7%)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복지 및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수준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와 비교하여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입법조사처의 2012년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개인에게 제공되는 복지 혜택을 환산한 사회임금이 가처분 소득의 12.9%에 불과하였다. 이는 OECD 주요 국가 평균의 3분의1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사회임금 비중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정부 지원이 취약하다는 의미이다.

OECD 주요국 가처분 소득 대비 사회임금 비중(2012) 현황 표 내용 확인

OECD 주요국 가처분 소득 대비 사회임금 비중(2012)
스웨덴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 한국
51.9 49.8 47.5 37.5 25.0 12.9

이에 향후 정부가 정책적으로 사회복지 정책을 더 확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회복지가 국가의 주요 정책으로 부각되면서 사회복지 담당인력에 대한 확충이 논의되고 있다. 사회복지 전담 인력의 업무과중과 그에 따른 사회적 문제(자살, 퇴사 등) 등도 인력 충원을 통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사회복지 전담 공무원 수 현황 표 내용 확인

사회복지 전담 공무원 수
연도 정원 현원
2009 12,270 10,334
2010 11,634 10,496
2011 11,170 10,639
2012 13,290 12,907
2013 14,700 14,184
2014 16,475 16,269

사회복지 전담 공무원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2015 보건복지통계연보」에 따르면, 사회복지 전담 공무원 수는 2009년 10,334명에서 2014년 16,269명으로 5년간 57.4% 증가하였다.

사회복지사 자격증 발급 수 현황 표 내용 확인

사회복지사 자격증 발급 수
연도 총계 사회복지사
1급 2급 3급
2009 337,651 81,255 244,383 12,013
2010 412,815 90,988 309,612 12,215
2011 482,807 94,623 375,776 12,408
2012 560,530 104,457 443,498 12,575
2013 637,617 110,518 514,344 12,755
2014 713,224 116,895 583,402 12,926

또한, 사회복지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은 2009년 337,651명에서 2014년 713,224명으로 5년간 111.2% 증가하였다.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자가 모두 사회복지사로 활동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회복지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인구 고령화로 인한 고령인구 및 독거노인 증가 등에 따른 노인복지, 다문화가정의 증가로 인한 다문화가정 복지,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 상승에 따른 아동 및 보육복지 등 수요계층에 따라 정부의 복지정책이 다변화되고 있다. 기존에 종합복지관에서 총괄해 온 사회복지서비스가 계층별로 세분되어 운영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 발달장애인 관련 법안의 개정에서 취약계층의 복지 서비스 확대에 정부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 한 예이다.

복지에 대한 관심은 비단 공공 부문만이 아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 강조되면서 기업 내 사회공헌팀이 신설 또는 강화되고 있으며, 기업 내에서 사회복지를 전담하는 인력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사회복지사의 업무 영역 또한 확대되었는데 과거 아동보육시설과 공공부문에서 주로 활동하였으나 최근에는 기업, 학교, 군대, 병원 등으로 활동영역을 넓히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복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향후 사회 전반에서 사회복지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관련직업
관련정보처

직업전망 데이터는 워크넷(www.work.go.kr)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