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직업백과

당신이 궁금한 세상의 모든 직업

식품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아사마루
하는일/근무환경

하는 일

식품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은 일반식품, 건강기능식품, 식품첨가물 등에 대해 개발 및 가공하거나, 식품보존 및 식품포장에 대해 연구·개발하고(식품연구원), 식품 생산기술을 개발하고 품질관리하는(식품공학기술자) 일을 한다. 식품시험원은 식자재나 식품의 성분이나 안전성 등을 검사·분석하는 일을 한다.

식품연구원은 소비자가 풍부하고 영양이 높은 식품을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제품을 연구하고 개발한다. 자사 및 경쟁업체의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생산할 제품을 기획한다. 식품의 영양, 맛, 색깔, 상품가치 등을 고려해 적합한 재료를 선택하며 조리방법 등을 연구한다. 특히 제품의 출시를 앞두고는 공장에서 여러 차례 시제품을 거쳐 식품이 안정적으로 생산될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이때 생산 담당자와 의견을 나눠 제품이 원활히 생산될 수 있도록 추진한다. 또한 식품이 시판되기 전에 개발자들이 시식회를 통해 보완해야 할 것이 없는지를 분석한다. 신제품이 시장에 출시된 후에도 신제품의 판매실적, 불량상태 등의 항목들을 일정 기간 점검한다.

식품공학기술자는 연구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식품가공, 표준화, 생산포장, 품질관리에 관한 개선된 방법과 기술을 개발한다. 생산현장에서 생산라인의 작업자를 지도하거나 제조공정을 감독한다.

식품시험원은 국내 생산 혹은 수입하는 식품과 식자재에 대해 성분 분석 및 안전성 검사를 위해 이화학실험, 미생물실험을 통해 농약과 같은 식품의 유해성분 잔류 여부, 식품첨가물의 적절성 여부 등을 검사·분석한다. 실험 및 검사결과를 토대로 보고서를 작성한다.

근무환경

연구·개발이나 시험 업무를 하는 경우, 성분 분석 등을 위한 각종 실험 기자재나 식품 개발에 필요한 설비를 갖춘 연구실에서 근무한다. 각종 약품을 사용해 성분을 분석하거나 신제품 연구개발을 위해 주방시설이 갖춰진 곳에서 직접 조리를 하기도 한다. 소비자의 반응을 살피기 위해 현장에서 시장조사를 하기도 한다. 식품 생산과정 등을 관리하는 경우, 각종 식품생산 공장에서 근무를 한다.

교육/훈련/자격 / 적성 및 흥미

교육 및 훈련

식품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에서 식품공학, 식품가공학, 식품분석학 등 식품 관련학을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외에 화학, 나노바이오, 저장유통, 유전학, 수의학(동물실험 등) 등 관련 전공이 매우 다양한 편이다.

▲ 관련 학과 : 식품가공학과, 식품영양학과, 식품공학과, 식품생명공학과, 식품과학과, 한방건강식품학과, 미생물학과, 농화학과, 응용생물화학과, 유전공학과, 생물학과, 화학과, 고분자화학과, 위생학과, 수의학과 등

▲ 관련 자격 : 식품기술사/기사/산업기사, 수산제조기술사/기사, 수산물품질관리사, 농산물품질관리사, 품질관리기술사, 품질경영기사/산업기사(이상 한국산업인력공단)

입직 및 경력개발

식품제조 및 가공업체, 건강기능식품제조업체, 식품유통업체,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의 정부기관, 기업체의 식품연구소, 식품위생검사기관, 품질검사기관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업체에 따라 채용조건에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기업이나 공공기관 식품 관련 연구소 등 규모가 있는 연구소에서는 관련 분야의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에 한해 채용하고 있다. 인삼이나 김치 등 특정 식품을 연구하거나 생산하는 업체에서는 해당 식품을 전공한 자를 우대하기도 한다. 경력을 쌓은 후에는 식품가공 관련 업체를 창업하거나 연구·개발 업무의 전문적인 경험을 살려 대학에서 강의하기도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 소속된 보건연구사는 연구직 공무원 신분이며 공무원임용시험을 통해 선발된다. 연구사로 입직하여 경력이 쌓이면 연구관으로 승진할 수 있다.

적성 및 흥미

식품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은 식품개발, 식품가공, 표준화, 식품포장, 품질관리에 관한 개선된 방법과 기술을 개발하는 일을 하기 때문에 분석적인 사고와 탐구적인 성격의 사람에게 적합하다. 기술설계, 품질관리분석 능력 등이 요구되며, 생물, 법, 공학과 기술 등의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종사현황

종사현황


식품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종사현황으로 상세내용은 하단 참고
식품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 성별 - 남자:63.0%, 여자:37.0%
  • 연령별 - 20대이하:23.9%, 30대:41.3%, 40대:30.4%, 50대:2.2%, 60대이상:2.2%
  • 학력별 - 고졸이하:0%, 전문대졸:2.2%, 대졸:58.7%, 대학원졸:39.1%
  • 임금수준 - 하위25%:185만원, 중위50%:283만원, 상위25%:537만원
직업전망

직업전망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감률 추정치로 감소(-2%미만), 다소감소:(2%이상 -1%이하), 유지(-1%초과 +1%미만), 다소증가(1%이상 2%이하), 증가(2%초과) 중 다소증가에 속함

향후 10년간 식품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식품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은 2015년 약 6.3천 명에서 2025년 약 7.6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1.3천 명(연평균 1.9%)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업체 수는 2004년 19,770개에서 2014년 25,879개로 6,109개(30.9%) 증가하였고, 품목 수는 2004년 25,493개에서 2014년 62,852개로 37,359개(146.5%)로 급증하였다. 판매액은 2004년 271,420억 원에서 2014년 426,150억 원으로 154,730억 원(57.0%) 증가하였고, 수출액도 2004년 142,900만 달러에서 2014년 285,500만 달러로 142,600만 달러(99.8%) 증가하였다. 또한, 건강기능식품 업체수도 2004년 236개에서 2012년 422개로 186개(78.8%) 증가하였고, 품목 수는 2004년 869개에서 2012년 12,847개로 무려 11,878개(1,378.4%)가 증가하였다. 식품첨가물 업체 수는 2004년 480개에서 2014년 802개로 322개(67.1%) 증가하였고, 품목은 2004년 892개에서 2014년 1,827개로 935개(104.8%) 증가하였다(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및 식품첨가물생산실적).

이상과 같이 식품 관업 업체수와 품목수가 많이 증가한 것을 보면 식품공학기술자에 대한 인력 수요도 증가하였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는 경제성장과 함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인구가 계속 증가하여 식품소비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근래에는 고령화, 1인가구 증가, 맞벌이가정 증가 등 인구구조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기능성식품이나 간편조리식품(냉동식품, 즉석조리식품 등), 도시락 등 사람들의 수요에 맞춰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관련 산업도 급성장을 하고 있다.

건강과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정부 차원에서 식품안전성검사를 강화하고 있어 식품안전성을 검사하고 유해성분을 분석할 인력에 대한 수요도 커지고 있다. 기업도 자사 식품에서 유해성분이 검출되거나 유통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기업 이미지에 심각한 손상을 입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식품안전을 검사하기 위한 부서를 두고 인력을 충원하고 있다.

또한 김치나 장류, 인삼, 전통주 등 전통식품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 정책이 추진되고 있고, 민간기업 부문에서도 해외 수출을 위해 현지인의 입맛에 맞는 식품을 개발하거나 할랄식품(무슬림 전용 식품) 수출을 위한 인증 및 생산관리를 담당할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식품산업은 미래 성장산업으로서 식품가공, 저장 , 포장, 유통 분야 등에 첨단기술을 적용하는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국내 경기부진과 가계부채 증가, 가계소득 상승률 저하 그리고 조선·해운업을 중심으로 한 기업 구조조정의 본격화 등으로 내수부진이 우려되기 때문에 식품소비 증가도 이전과 같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상과 같이 고용 영향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식품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고용의 향후 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다.

관련직업
관련정보처

직업전망 데이터는 워크넷(www.work.go.kr)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