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직업백과

당신이 궁금한 세상의 모든 직업

운송장비정비원

아사마루
하는일/근무환경

하는 일

자동차를 제외한 여객이나 화물 운송기기에는 항공기, 선박, 지하철, 철도 등이 있다. 운송장비정비원은 이러한 운송장비나 기기들을 정비하는 일을 수행한다. 이들은 정비대상에 따라 항공기 정비원, 선박 정비원, 철도기관차 및 전동차 정비원으로 구분된다.

항공기정비원은 항공기의 안전운행을 위해 항공기의 동력장치, 착륙장치, 조종장치, 기체, 유압 및 기압시스템 등을 점검, 분해, 수리, 교환, 조립한다. 크게 기체 분야, 엔진 분야, 전자·전기·계기 분야 등으로 나뉘어 정비 업무를 수행한다.

정비업무가 끝나면 항공기 정비검사원이 항공기를 최종 점검한다. 정비검사원은 특정 항공기에 대한 최종 정비자격이라 할 수 있는 한정자격을 갖춘 정비사이다. 비행기록부에 항공기를 최종 점검했다는 이들의 자필서명이 있어야만 항공기의 비행이 가능하다.

선박정비원은 선박의 안전운행을 위해 엔진, 발전기, 보일러 등 선박기관 계통의 작동상태 등을 검사하고 기관이 손상된 경우 분해, 세척, 교환, 수리 등의 정비 업무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항해 중에는 기관사가 기관장치의 운전관리를 하며, 정박 시에는 육상의 선박 정비원이 선박기관 장치에 대한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한다. 육상의 정비업체에 근무하는 선박 정비원은 기관실의 엔진, 파이프 정비나 갑판기계 정비, 전기전자 수리 등의 업무를 전문으로 담당한다.

철도기관차 및 전동차정비원은 철도기관차와 전동차의 안전운행을 위해 기관차나 객·화차의 전기, 보안 및 방송장치, 기계장치 등을 점검하고 정비한다. 철도기관차 및 전동차 정비는 기술 분야에 따라 기계정비와 전기정비로 구분된다. 또한 정비시기에 따라 정기검사, 비정기검사, 특별검사로 나뉜다. 차량을 분해했을 때 그 구분에 따라 기관정비, 차체정비, 대차정비로 나뉘기도 한다. 기관정비는 디젤이나 전기로 동력을 발생시켜 객차와 화차를 이끄는 기관차를 정비하는 것이고, 대차정비는 바퀴가 달려 차체를 받치는 부분인 대차를 정비하는 것이다. 차체정비는 대차를 제외한 객차나 화물차의 차체를 정비하는 것이다. 이처럼 철도 및 전동차 정비가 다양한 영역으로 나뉘므로 철도 및 전동차 정비원도 전문 분야에 따라 나뉘어 일하게 된다. 한 팀이 7~8명으로 구성되어 기관정비, 차체정비, 대차정비를 각기 전문으로 맡고 있다.

근무환경

정해진 근무시간 외에 주말 근무 및 교대 시스템으로 근무하기도 하며, 비행이나 항해, 운전 일정 등에 따라 야간근무가 필요할 때도 있다. 정비 업무는 안전운행에 대한 책임감에 따른 심리적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장비와 부품이 고가인 경우가 많아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정비 중에 고전압으로 인한 감전, 기계에 의한 위험요인 등이 있으며, 육체적으로 힘든 작업도 있어 체력적인 부담이 따를 수 있다.

교육/훈련/자격 / 적성 및 흥미

교육 및 훈련

항공기정비원 교육기관으로는 항공분야 특성화고등학교, 항공대학 등이 있으며, 특성화고등학교의 항공정비 관련 학과 및 대학의 항공 관련 학과에서 교육받은 뒤 항공회사에 취업할 수 있다. 취업 후에는 사내직무교육을 통해 정비훈련을 받게 된다. 고등학교나 대학교 졸업자로서 국내 민간항공사에서 운영하는 사내정비직업훈련원이나 항공정비 관련 직업훈련기관에서 기술을 배우고 항공사에 취업하는 경우도 있다.

선박 정비원이 되기 위해서는 일반 기계 관련 특성화고등학교나 해사 관련 고등학교 및 대학의 관련 학과를 졸업하거나, 선박정비 훈련기관에서 선박기관 정비 등의 훈련프로그램을 이수해야 한다.

철도기관차 및 전동차 정비원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는 한국교통대학교가 있다. 이곳에서 기계설계, 전기공학, 차량자동제어, 내연기관, 전기기계, 기계재료, 현장실습 등 철도 및 전동차 관련 정비과목을 배우게 된다. 일반 직업훈련기관에서 전기철도, 차량기계 등의 일정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취업할 수도 있다.

▲ 관련 학과 : 항공정비학과, 항공기계공학과, 기계공학과, 항공기계학과, 전기·제어계측공학과, 해양공학과, 선박해양 공학과, 기관공학과, 기관시스템공학과, 선박전자기계공학과, 철도차량기계과, 철도차량전기과, 철도차량 학과, 철도전기과, 기계과, 전기과, 전자과 등

▲ 관련 자격 : 항공정비사, 항공기사/산업기사, 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항공장비정비기능사, 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항공전자 정비기능사, 동력기계정비기능사, 철도차량기사/산업기사, 철도차량정비기능사, 전기철도기사/산업기사, 궤도장비정비기사/기능사(이상 한국산업인력공단)

입직 및 경력개발

항공기정비원은 항공기제조업체, 정비업체, 항공우주산업체, 관련 연구소 및 항공기술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 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관련 학과를 졸업하고 민간항공사에 취업한 후 사내 직무교육을 통해 정비사로 활동한다. 하지만 고등학교 졸업자로서 국내 민간항공사가 운영하는 사내정비직업훈련원이나 항공정비관련 직업훈련기관에서 2년 동안 정비기술을 배우고 항공사에 취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공군 및 육군 항공부대 출신의 경력자가 민간항공사에 취업하는 경우도 있으며, 공군기술고등학교나 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부사관으로 일정 기간 의무복무기간을 마친 다음 민간항공사에 취업하는 경우도 있다. 항공기정비사로서 일정 경력과 자격을 갖추면 정비검사원으로 승진할 수 있다.

선박 정비원은 선박정비를 전문으로 하는 선박정비업체에 주로 근무하는데 동력기계정비기능사, 용접기사 등의 자격을 추가로 취득하면 취업 시 유리하다. 선박건조·수리업체, 선급협회 등으로 진출할 수도 있다. 경력을 쌓아 선박정비회사의 선박정비 관리자로 성장할 수 있으며, 엔진 및 기계부품 공급업체 등의 해운·항만 관련 업체, 조선소 등으로 진출할 수도 있다.

철도기관차 및 전동차 정비원은 한국철도공사와 각 도시의 지하철공사에서 실시하는 신입사원 공개채용에 합격하여 입직하며, 승급체계에 따라 진급하게 된다.

적성 및 흥미

기계나 항공기, 선박, 철도기관차 및 전동차를 대상으로 일을 하는 것에 흥미가 있어야 하며, 승객의 안전과 직결되는 만큼 특별한 책임감과 꼼꼼한 성격이 요구된다. 항공기, 선박, 철도기관차 등의 고장 원인을 찾아내기 위해 각각의 정비지식을 갖춰야 할 뿐 아니라 분석력과 인내력이 필요하고, 성실함이 요구된다.

종사현황

종사현황


항공기정비원, 선박정비원, 철도기관차 및 전동차정비원 항공기정비원
  • 성별 종사현황
    남성
    94.8%
    여성
    5.2%
  • 연령별 종사현황
    20대
    13.8%
    30대
    24.1%
    40대
    36.2%
    50대
    22.4%
    60대이상
    3.4%
  • 학력별 종사현황
    고졸이하
    19.0%
    전문대졸
    32.8%
    대졸
    44.8%
    대학원졸
    3.4%
  • 임금별 종사현황
    하위 25%
    225만원
    중위 50%
    352만원
    상위 25%
    558만원
선박정비원
  • 성별 종사현황
    남성
    99.3%
    여성
    0.7%
  • 연령별 종사현황
    20대
    11.8%
    30대
    25.7%
    40대
    25.0%
    50대
    26.5%
    60대이상
    11.0%
  • 학력별 종사현황
    고졸이하
    64.7%
    전문대졸
    17.6%
    대졸
    17.6%
    대학원졸
    3.6%
  • 임금별 종사현황
    하위 25%
    175만원
    중위 50%
    284만원
    상위 25%
    463만원
철도기관차 및 전동차정비원
  • 성별 종사현황
    남성
    100%
    여성
    0%
  • 연령별 종사현황
    20대
    6.0%
    30대
    16.9%
    40대
    47.0%
    50대
    25.3%
    60대이상
    4.8%
  • 학력별 종사현황
    고졸이하
    39.8%
    전문대졸
    24.1%
    대졸
    32.5%
    대학원졸
    3.6%
  • 임금별 종사현황
    하위 25%
    200만원
    중위 50%
    326만원
    상위 25%
    445만원
직업전망

직업전망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감률 추정치 : 유지(-1%초과 +1%미만)

향후 10년간 운송장비정비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운송장비정비원은 2015년 약 36.6천 명에서 2025년 약 39.1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2.5천 명(연평균 0.6%) 정도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고용변화가 크지 않아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부직업별로 보면 선박, 철도기관차 및 전동차 각각 연평균 0.4%, 0.2%로 미미하게 증가하는 반면, 항공기 정비 분야는 연평균 1.6%로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운송장비정비원의 인력수요는 교통부문별 운항횟수, 여객 및 화물 수송량에 영향을 받는다. 운송장비정비원이 다루는 운송기기, 즉 철도, 지하철, 선박, 항공기 등을 이용한 연간 여객 수송실적을 살펴본 결과(국토교통부 자료), 선박을 제외한 거의 모든 운송기기의 여객 수송실적이 매년 꾸준히 증가하였다. 다만 선박을 이용한 국내 여객이동인 경우 2013년 다소 증가한 것 말고는 매해 1,400만 명대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제 여객이동은 250만 명대에서 등락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여객수송 실적 표 내용 확인

연도별 여객수송 실적
연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철도 969 989 1,019 1,020 1,061 1,119 1,149 1,125 1,263
지하철 2,080 2,090 2,142 2,181 2,273 2,359 2,411 2,476 2,526
해운(국내) 11.6 12.6 14.2 14.9 14.3 14.3 14.5 16.1 14.3
해운(국제) 2.1 2.5 2.5 2.1 2.8 2.7 2.9 2.7 2.6
항공(국내) 17.2 16.8 17 18.1 20.2 21 21.6 22.4 24.6
항공(국제) 32.7 36.9 35.3 33.5 40.1 42.6 47.2 51 56.8

국내외 여객 수송실적의 증가는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국내 및 해외 여행, 여가생활의 증가, 국제화에 따른 외국관광객의 증가, 각종 국제회의나 행사의 증가 등에 힘입은 바가 크다. 이러한 수송실적이 증가는 해당 운송장비를 이용한 운항횟수의 증가로 이어지므로 운송장비정비원의 업무량을 늘리게 된다. 결과적으로 해당 인력의 고용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음으로 환경문제나 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고조된 관심도 운송장비정비원의 고용증가에 기여할 것이다. 환경오염 방지, 교통안전을 위해 보다 많은 검사와 점검, 정비 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지하철 노선 확장, 기존 철도의 전철화 사업, 경전철 시스템 도입 등으로 철도기관차 및 전동차 정비원에 대한 추가적인 인력 수요도 필요할 것이다. 물론 다른 교통수단을 대체하는 효과도 있기 때문에 관련된 정비인력의 고용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반면 운송장비의 기술적 개선, 현대화, 스마트한 교통시스템의 구축 등은 운송장비정비원의 고용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자체 정비능력을 갖추지 못한 저가항공사나 선박회사 등은 보다 값싼 외국의 운송장비 업체에 아웃소싱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 고용증가에 부정적이지만 이들 수요를 국내로 끌어들여 올 수 있다면 일자리 증가요인으로 바뀔 수도 있다. 한편으로 항공기, 선박, 철도기관차 등이 발전으로 모듈화 되면서 업무가 용이해졌고, 이에 여성의 진출이 늘어날 전망이다. 또한 운송장비 부문은 자격취득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취업을 위한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이처럼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들이 맞물리면서 운송장비정비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이 지속될 전망이다.

관련직업
  • 항공기정비원(헬리콥터 정비원)
  • 선박정비원
  • 철도기관차 및 전동차정비원(KTX 정비원)
  • 기타운송장비정비원(오토바이 정비원)
  • 자동차정비원
  • 운송장비조립원
  • 기계공학기술자(항공공학기술자, 조선공학기술자, 철도차량공학기술자, 엔진기계공학기술자)
관련정보처

직업전망 데이터는 워크넷(www.work.go.kr)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