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직업백과

당신이 궁금한 세상의 모든 직업

음악가

아사마루
하는일/근무환경

하는 일

지휘자는 크게 합창지휘자와 기악지휘자로 구분되며 악보를 재해석하여 자신만의 개성으로 악보를 연주한다. 합창지휘자는 이부, 삼부, 사부 등으로 나뉘어 서로 화성을 이루면서 각각 다른 선율로 노래하는 합창단을 지휘하며, 기악지휘자는 관악기, 현악기 및 타악기 등으로 구성된 관현악단을 지휘한다. 또 단원의 선발부터 연주곡의 선정, 공연연습 등 무대에 올리는 공연의 최종적인 책임을 진다. 보통 관현악단(오케스트라), 교향악단, 합창단, 오페라단 등에 단원으로 소속되어 활동하거나 프리랜서로 활동한다. 상당수는 중고등학교에서 음악교사를 겸직하고 예술계 중고등학교 또는 대학에서 강의를 하거나 사설 음악학원을 운영하는 등 겸업하는 경우가 많다.

작곡가는 선율법, 화성법, 대위법, 관현악법 등의 지식을 토대로 악곡을 작곡하거나 특정 악단, 악기 또는 행사를 위하여 음악을 각색하거나 편곡한다.

연주가는 건반악기(피아노, 오르간, 쳄발로 등), 현악기(바이올린, 첼로, 콘트라베이스, 하프 등), 관악기(클라리넷, 호른, 트럼펫, 트롬본, 오보에, 플루트 등), 타악기 중 특정 악기를 전문적으로 연주한다. 독주를 하거나 관현악단(오케스트라), 교향악단 등의 일원으로 소속되어 있는 경우 지휘자의 지시에 따라 악기를 연주하고 다른 단원들과 호흡을 맞춘다.

근무환경

음악가는 생활의 많은 시간을 연습에 할애한다. 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경우는 정해진 연습시간에 단원들과 함께 연습을 하고, 이후에도 개인 연습을 하거나 강의를 나가는 등 자기개발의 시간을 가진다. 음악회는 주로 평일 저녁이나 주말에 열리기 때문에 야근이나 휴일 근무를 하는 경우도 많으며 지방이나 해외 공연을 위해 장기간 출장을 가기도 한다.

교육/훈련/자격 / 적성 및 흥미

교육 및 훈련

대학의 관현악과, 기악과, 성악과, 피아노과, 음악과, 작곡과 등의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 관련 학과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청소년기가 되기 전에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여 꾸준한 연습을 해야 한다. 이 때문에 음악가 중에는 예술계 중고등학교로 진학하는 사람이 많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대부분 사설학원이나 개인레슨을 통해 교육을 받는다. 음악가 중에는 이탈리아를 비롯해 유럽으로 유학을 다녀오는 경우도 많다. 지휘자는 지휘만 전공으로 한 사람도 있지만 대개 기악을 전공하다가 지휘 분야를 공부해서 지휘자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폭넓은 음악 감상을 통해 음악가로서의 소양을 지속적으로 키워나가야 하며 각종 음악 콩쿠르에 참여하여 입상 경력을 쌓아놓는 것도 중요하다. 서양음악을 많이 다루게 되고 오페라나 예술가곡이 대부분 유럽에서 발달하였기 때문에 영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 외국어 실력을 키워놓으면 음악 활동에 도움이 된다.

▲ 관련 학과 : 기악과, 관현악과, 피아노과, 성악과, 작곡과 등

입직 및 경력개발

국공립 또는 사립 합창단, 관현악단(오케스트라), 교향악단 등의 단체에 소속되어 활동하거나 프리랜서 음악가로 활동한다.

단원 채용은 주로 서류전형과 실기시험을 거쳐 이루어지며, 대개 4년제 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을 요구한다. 성악이나 연주의 실기전형은 보통 응시자 자유곡과 지정곡으로 이루어진다.

근무하는 곳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악단에서는 보통 ‘평단원 → 부수석단원 → 수석단원 → 악장’으로 승진하며 입단 시 경력을 고려하여 직책이 결정된다. 승진은 능력에 의해 평가되는 편이며, 근무하는 곳에 따라 오디션에 합격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지휘자는 상임지휘자, 명예지휘자, 정지휘자, 부지휘자 등의 등급을 갖기도 하며, 예술감독 또는 음악감독제를 채택하는 등 단체에 따라 승진체계가 다양하다.

적성 및 흥미

음악가가 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연습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자기만의 음악철학을 갖추어야 한다. 연주자들도 자신만의 연주곡을 원하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어 많은 음악을 듣고, 나만의 음악을 만들기 위한 창의력을 키워야 한다.

종사현황

종사현황


지휘자, 작곡가 및 연주가 종사현황 : 성별(남성58.9%, 여성41.1%), 연령별(20대36.7%, 30대26.8%, 40대23.2%, 50대12.5%, 60대이상1.8%), 학력별(고졸이하17.9%, 전문대졸12.5%, 대졸50%, 대학원졸19.6%), 임금수준(하위25% 37만원, 중위50% 124만원, 상위25% 240만원)
직업전망

직업전망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감률 추정치 :유지(-1%초과 +1%미만)

향후 10년간 음악가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5 문예연감」의 양악공연 현황에 따르면, 2014년에 공연된 양악공연 건수는 8,146건으로 2013년 7,529건에 비해 617건이 증가해 2010년부터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양악 공연 횟수도 2013년 전년대비 다소 감소한 것을 제외하면 2010년 7,218건에서 2014년 9,153건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최근 5년간 양악 공연 추이 현황 표 내용 확인

최근 5년간 양악 공연 추이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양악 공연 건수 6,653 7,421 7,505 7,529 8,146
양악 공연 횟수 7,218 8,275 8,298 8,003 9,153

하지만 고가의 공연비가 드는 순수음악 공연의 경우 다른 공연산업 분야에 비해 경기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서 장기적인 경기불황은 순수음악 공연산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보인다. 또한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로 음악을 접하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공연장을 직접 찾는 인구가 줄어드는 점은 이들의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대학의 학과 선택에 있어서도 연주나 작곡 등의 순수음악 관련 학과보다 실용음악 및 뮤지컬 전공 등을 더 선호하는 편이며, 성악, 기악, 합창, 오페라 등 양악 공연에 비해 보다는 뮤지컬이나 대중음악 공연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은 것도 이들의 고용을 어렵게 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음악가는 다른 예술 분야와 마찬가지로 본인의 원하는 진로를 개척하기 위해 선택하는 직업이라는 점에서 음악과 예술에 대한 인간의 갈망이 사라지지 않는 한 음악가로 활동하려는 사람들은 꾸준히 생겨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음악가는 로봇이나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에 의해 대체될 수 없는 창의성 영역의 직업이며, 온라인 플랫폼 및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개인이 쉽게 음악콘텐츠를 생산하고 공유할 기회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우리나라 국민은 어느 문화예술 분야보다 음악을 사랑하고 즐기기 때문에, 장기적인 경기 침체에도 음악산업의 발전은 꾸준한 편이다. 또한 정책적으로 문화예술의 지원이 꾸준히 뒷받침될 예정이어서 앞으로도 음악가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음악가는 음악 활동만으로 얻는 수입으로는 생활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어서 순수하게 음악 활동을 하는 사람보다는 대학이나 학원에서 강의하는 등 다른 일을 겸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또한 국공립 단체에 소속되어 활동할 경우에는 보수가 안정적이고 신분이 보장되는 편이지만, 채용인원이 한정적이고 정기적인 채용보다는 결원이 생길 때 수시로 채용하는 경우가 많아 입직을 위해서는 치열한 경쟁을 치러야 한다.

관련직업
관련정보처

직업전망 데이터는 워크넷(www.work.go.kr)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