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직업백과

당신이 궁금한 세상의 모든 직업

의복제조원 및 수선원

아사마루
하는일/근무환경

하는 일

의복제조원 및 수선원은 의복과 관련된 여러 직업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의복제조원 및 수선원에서 의미하는 의복은 한복, 양장, 양복, 모피 및 가죽의복, 기타 의복(운동복, 근무복, 교복, 체육복, 셔츠 및 바지 등)을 말하며, 이러한 의복을 제조하는 사람을 의복 제조원, 수선하는 사람을 의복수선원이라 한다.

옷은 여러 가지 공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먼저 옷감을 생산해야 하며 어떠한 옷을 만들 것인가를 기획해야 한다. 그 다음 본격적으로 옷을 만드는 과정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디자인을 기초로 하여 패턴을 제작하고, 패턴에 따라 옷감을 재단하며, 재단된 옷감을 순서에 따라 봉제함으로써 하나의 옷이 완성된다. 의복 제조원은 이 과정의 업무를 담당한다. 이들 중 소규모 업체에 고용되거나 영세한 한복, 양복, 양장점을 운영하는 경우에는 한 두 사람이 업무를 도맡아 수행하기도 한다. 어느 정도 규모를 갖춘 의류공장은 업무를 분담(넓게는 패턴, 재단, 봉제업무로 구분)하고 있다.

각 의복의 특성이나 업체 규모에 따라 제조과정이 조금씩 다르지만 일반적인 의복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의복의 용도, 직물의 종류, 색상, 실용성, 디자인 등에 대해 고객과 상의한다. 이후 줄자를 사용하여 치수를 재고 기록한다. 이를 바탕으로 직물 재단하기 위해 칼라, 소매, 몸체 등의 옷본(패턴, pattern)을 제작한다. 옷본 제작은 사람의 형태, 골격 등을 고려하여 종이에 본을 그리고 자르는 일을 의미한다. 제작된 옷본을 직물 위에 핀 등으로 고정시킨 후 옷본에 맞게 가위로 직물을 자른다. 옷의 부분별로 재단된 직물을 서로 연결하는 봉제작업을 한다. 최종 단계에서는 봉제된 각 부분이 모아져서 옷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봉제작업이 끝나면 다림질, 실밥제거 등을 하게 된다. 옷의 전체형태를 만들기 위해 마지막으로 앞, 옆, 몸판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성형을 하며, 최종적으로 다림질을 하고 나면 한 벌의 옷이 완성되는 것이다. 완성된 옷은 검사과정을 거쳐 이상이 없을 경우 유통과정을 거쳐 소비자의 몸에 걸쳐지게 된다.

의류수선원은 새 옷을 고객의 몸에 맞게 다시 수선하거나, 낡거나 헤진 옷을 새 옷처럼 수선하는 일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고객과 의류의 수선 부분, 수선 방법, 수선 완료일자 등에 대하여 협의한다. 이후 수선 부분을 초크로 표시하거나 핀으로 꼽아 표시하고, 필요한 경우 수선부위를 쪽가위로 뜯는다. 수선표의 표시를 보고 필요한 천, 실 등을 준비하고 고객의 요구에 따라 의류의 기장이나 폭을 늘리거나 줄이고 단추를 달거나 지퍼 등을 박음질한다. 마지막으로 수선된 의류를 다림질하거나 쪽가위를 사용하여 박음질한 부분을 다듬어서 수선을 완료한다.

근무환경

의복제조원 및 수선원의 근무환경은 고용형태, 수행업무, 업체규모에 따라 다양하다. 양복점이나 양장점을 제외하면 작업장은 일반적으로 기계나 재봉기 돌아가는 소리로 시끄러운 편이다. 그리고 공기 중에는 분진이나 유기용제 등이 날아다니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청각장애나 진폐증, 유기용제로 인한 중추신경계 자극으로 현기증, 두통, 피로, 이해력 감퇴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조작이나 재봉기로 인한 위험에도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의복제조원 및 수선원의 1일 근무시간은 보통 10시간 정도이다. 이들은 보통 아침 8시에 일을 시작하여 오후 7시에 일을 끝낸다. 그리고 휴식시간이 정해져 있어 그 시간외에는 계속적으로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프레스를 조작하여 재단하거나 다림질을 하는 경우는 오랜 시간 서서 작업을 해야 한다. 잔업은 그리 많은 편이 아니다. 그렇지만 옷은 계절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항상 몇 개월 앞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어떤 일정시기(주로 3월, 10월)에는 잔업이 많은 편이다. 그러나 현재에는 과거에 비하여 노동시간이 많이 단축되었고, 근무환경도 개선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의복 제조기기, 기계가 현대화되고, 자동으로 단추달기, 무봉제 봉제기 등의 장비들이 새롭게 도입되어 생산기술이 높아졌다.

교육/훈련/자격 / 적성 및 흥미

교육 및 훈련

의복제조원 및 수선원이 되기 위해서는 의류관련업체에 고용된 후에 일하면서 기술을 배우거나 민간 패션전문학원에서 교육·훈련을 통해 기술을 배워 진출할 수 있다.

▲ 관련 학과 : 패션학과, 의류학과, 섬유학과 등

▲ 관련 자격 : 한복기능사, 한복산업기사, 양복기능사, 양장기능사,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컬러리스트산업기사, 컬러 리스트기사, 의류기사, 의류기술사(한국산업인력공단) 등

입직 및 경력개발

의복 제조원은 숙련된 양장 및 양복제조원을 보조하면서 기능을 습득하거나 직업전문학교나 사설학원의 훈련과정을 이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취업하는데 특별한 자격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양복 및 양장 기능 자격을 취득해두면 취업하는데 유리하다. 하지만 자격보다는 제작하는 솜씨와 숙련도가 더 중요하며, 일정한 경력과 경제적 여건이 수반되면 자영업이 가능하다. 의복수선원은 일반적으로 의복 제조원으로 경력을 쌓은 사람이 이 분야에 진출하게 된다.

적성 및 흥미

의복 제조원은 예술적인 감각과 창의성이 있어야 하며, 디자인에 관한 지식과 원자재, 품질관리, 원가 등에 대한 지식이 요구된다. 세심하고 꼼꼼한 성격을 가진 사람에게 유리하며 원만한 대인관계와 고객서비스 마인드가 필요하다. 꼼꼼함, 인내심, 신뢰성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한복제조원은 디자인에서부터 재단, 제조까지 의복제조의 모든 업무를 혼자 수행한다. 예술적인 감각과 창의력이 요구되며, 꼼꼼한 바느질 작업을 해야하는 만큼 끈기와 인내심이 필요하다.

종사현황

종사현황


한복제조원, 양장 및 양복제조원, 모피 및 가죽의복제조원의 종사현황으로 상세내용은 하단 참고
한복제조원
  • 성별 - 남자:8.9%, 여자:91.1%
  • 연령별 - 20대이하:2.2%, 30대:4.4%, 40대:13.3%, 50대:35.6%, 60대이상:44.4%
  • 학력별 - 고졸이하:84.4%, 전문대졸:6.7%, 대졸:8.9%, 대학원졸:0%
양장 및 양복제조원
  • 성별 - 남자:54.2%, 여자:45.8%
  • 연령별 - 20대이하:0%, 30대:4.2%, 40대:4.2%, 50대:37.5%, 60대이상:54.2%
  • 학력별 - 고졸이하:91.7%, 전문대졸:0%, 대졸:4.2%, 대학원졸:4.2%
모피 및 가죽의복제조원
  • 성별 - 남자:100%, 여자:0%
  • 연령별 - 20대이하:0%, 30대:33.3%, 40대:33.3%, 50대:33.3%, 60대이상:0%
  • 학력별 - 고졸이하:0%, 전문대졸:66.7%, 대졸:33.3%, 대학원졸:33.3%

의복가죽 및 모피수선원, 기타의복제조원의 종사현황으로 상세내용은 하단 참고
의복가죽 및 모피수선원
  • 성별 - 남자:30.9%, 여자:69.1%
  • 연령별 - 20대이하:0%, 30대:1.1%, 40대:12.7%, 50대:48.4%, 60대이상:37.9%
  • 학력별 - 고졸이하:94.9%, 전문대졸:2.2%, 대졸:2.9%, 대학원졸:0%
  • 임금수준 - 하위25%:52만원, 중위50%:118만원, 상위25%:207만원
기타의복제조원
  • 성별 - 남자:53.5%, 여자:46.5%
  • 연령별 - 20대이하:16.3%, 30대:18.6%, 40대:18.6%, 50대:32.6%, 60대이상:14.0%
  • 학력별 - 고졸이하:76.7%, 전문대졸:11.6%, 대졸:11.6%, 대학원졸:0%
직업전망

직업전망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감률 추정치로 감소(-2%미만), 다소감소:(2%이상 -1%이하), 유지(-1%초과 +1%미만), 다소증가(1%이상 2%이하), 증가(2%초과) 중 유지에 속함

향후 10년간 의복제조원 및 수선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재단사, 재봉사, 의복·가죽 및 모피 수선원은 2015년 약 202천 명에서 2025년 약 194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8천 명(연평균 0.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섬유제품 제조업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으로 상세내용은 하단 참고
섬유제품 제조업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
연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사업체 수(개소) 12,134 12,067 12,045 12,390 12,787 13,115 14,161
종사자 수(명) 131,001 128,166 129,970 134,344 135,466 138,251 140,275

섬유제품 제조업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 현황을 보면 사업체와 종사자 모두 2008년에 비해 2014년에는 다소 증가하였다.

사업체는 2천 개 증가하였으며, 종사자 수도 9천 명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는 전통적인 섬유산업의 쇠락에 맞서 패션산업 및 특수섬유산업 등의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영향으로 해석된다. 섬유제품 제조업은 의류생산시설(공장)이 노동력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해외로 이전되고 있으며, 2016년 초 개성공단이 폐쇄되면서 국내제조는 더욱 위축되고 있다.

또한 의복, 의복 엑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종사자가 점차 고령화되고 있다. 2010년에 2014년까지 50세 이상의 종사자는 약 12.9%P증가하여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절반가량(47.1%)이 되었다. 이와 같이 의류제조 직군에 대한 청년층의 선호가 낮아 이 분야의 청년인력의 공급 감소가 예상된다.

연령별 의복, 의복 엑세사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취업자 수 및 비중에 대한 정보로 상세내용하단 참고
연령별 의복, 의복엑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취업자 수 및 비중
연령 취업자(명) 비중(%) 연평균 증가율(%)
2010 2014 2010 2014 2010~2014
15~29세 23,478 22,059 8.7 8.3 -1.6
30~39세 46,052 32,698 17.1 12.4 -8.6
40~49세 107,980 85,142 40.0 32.2 -5.9
50~59세 70,947 95,888 26.3 36.3 7.5
60세 이상 21,187 28,675 7.9 10.8 7.6
269,645 264,462 100.0 100.0 -0.5

또한 봉제기법, 원부자재 등이 개선되고, 제조·생산에 분야에도 장비와 첨단기술이 적용되면서 의류제조도 대량생산, 더 나아가 무인생산도 가능해지고 있어 전반적인 고용이 유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여가 및 레저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아웃도어 및 고기능성 의류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으나, 기능성 의류는 주로 기계로 제조되기 때문에 의복제조원 및 수선원의 고용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복제조의 경우에는 한복을 주로 행사(결혼식, 칠순잔치 등)에서만 입게 되고, 한복 대여점이 생기면서 한복구입에 대한 수요는 점차 감소하고 있다. 또한 한복제조를 배우려는 청년층이 적어 향후 한복제조원도 유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10년간 의복수선원의 고용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자의 가치관에 따라 새로운 옷을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기도 하고 또한 기존의 의류를 자기 개성에 맞게 리폼해서 입는 것을 좋아하기도 한다. 간단한 수선이나 리폼 등도 가정에서 직접 하지 않고 의류수선원에 맡기는 경향은 고용에 긍정적 요인이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의복을 수선하기보다 유행에 맞는 의복을 구입하려는 자가 더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의류를 수선하는 인력은 유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직업
관련정보처

직업전망 데이터는 워크넷(www.work.go.kr)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