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직업백과

당신이 궁금한 세상의 모든 직업

제품디자이너

아사마루
하는일/근무환경

하는 일

제품디자이너는 전자제품, 가구, 통신장비, 자동차, 비행기는 물론 문구류나 완구류에 이르기까지 생활에 필요한 모든 제품을 디자인한다. 제품디자이너는 실제 디자인 하는 제품이 무엇인가에 따라 각기 다른 직업명으로 불린다.

제품에 따라 디자인 과정에 차이가 있지만, 가장 기본은 신제품 기획이나 디자인 의뢰에 따라 디자인할 대상물에 대한 소비자의 취향, 니즈(Needs), 유행 흐름 등을 분석하여 디자인 동향을 파악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제품의 기술 동향, 제조단가 등을 고려하여 디자인 콘셉트를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미지스케치, 아이디어스케치, 2D·3D 렌더링, 도면작업을 진행하여 편리하면서도 아름다운 디자인이 되도록 한다.

제품디자인의 결과가 실제 사용하는 제품으로 제작되는 것이므로 기술적인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디자인에 따라 성능, 부품, 자재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기술팀, 혹은 제작팀과 충분한 협의를 거쳐야 한다. 회사 내의 시장조사팀이나 자체 조사에 의해 소비자의 불만사항과 개선사항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다음 디자인 개발에 반영하며, 제품에 따라서는 샘플을 제작하여 수정을 거쳐 실제 제품 제작에 들어가기도 한다.

하나의 제품을 개발하는 데 보통 2~6개월 이상이 소요되며, 자동차의 경우 디자인 후, 모델링, 품평회를 거쳐 최종 단계인 시판에 이르기까지 최소 5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미래에 각광받을 자동차 스타일을 위해 약 3~4년 후를 미리 전망하여 디자인해야 한다. 또한 자동차나 공업제품은 몇 개월 혹은 몇 년 후에 시판될 제품을 디자인하기 때문에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보안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근무환경

창의적인 작업의 특성상 근무시간이 불규칙한 편이다. 보통 기업체의 출퇴근 시간은 오전 9시~오후 6시이지만, 품평회를 준비하거나 디자인 시한을 맞춰야 할 때는 초과근무, 휴일근무 등이 많다. 디자인 개발을 위한 소비자 조사, 자료 수집, 고객과의 미팅 등으로 출장이 잦으며, 해외 디자인 트렌드를 알아보기 위해 해외로 출장을 가기도 한다. 컴퓨터 작업이 많기 때문에 눈에 피로를 쉽게 느끼며 어깨, 손 등에 통증이 있기도 하다. 또한 경쟁력 있고 창의적인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한 긴장감과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편이다.

교육/훈련/자격 / 적성 및 흥미

교육 및 훈련

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제품디자인 관련 학과를 졸업한 후 제품디자이너로 활동하는 편이다. 해외에서 디자인 공부를 하는 경우도 있고, 일부 비전공자는 디자인 관련 사설교육기관에서 디자인 수업을 받고 취업하기도 한다.

제품디자이너로 일하기 위해서는 기획, 디자인, 개발, 마케팅 등 제품 전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가전제품처럼 점점 소형화, 첨단 기능화 되어가는 제품을 디자인할 때는 제작기술에 대한 이해도 필수적이이다. 또한 디자인 아이디어를 구하기 위해 미술을 비롯한 문화예술 전반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 관련 학과 : 제품디자인학과, 공업디자인학과, 산업디자인학과, 가구디자인학과, 금속공예디자인학과, 귀금속디자인학과, 공예학과 등

▲ 관련 자격 : 제품디자인기술사/기사/산업기사,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이상 한국산업인력공단)

입직 및 경력개발

주로 전문디자인업체, 제품디자인업체를 비롯해 가전회사, 자동차회사 등의 디자인실에서 근무한다. 기업체에서는 대부분 공채로 디자이너를 채용하는데, 채용 시 필기시험과 디자인 실기시험을 거치고 포트폴리오를 제출하도록 하여 디자인 감각을 평가한다. 각종 디자인 공모전에 응모하여 입상하면 채용 시 우대하기도 한다. 따라서 재학 중 다양한 제품디자인 공모전에 참여하는 것이 취업에 유리하다.

디자인 전문 업체의 경우 대졸 신입사원이 입사 후 약 3년 정도의 경력을 쌓아 대리로 승진한다. 약 3~5년 정도의 경력이 더 쌓이면 과장 혹은 팀장, 그리고 입사 후 약 10~15년 이상 정도가 되면 디자인 실장으로 승진할 수 있다.

기업에서 경력을 쌓은 후 독립하여 디자인업체를 운영할 수 있고, 프리랜서로 일하며 프로젝트 단위로 계약을 맺어 활동할 수도 있다. 인기 있는 제품의 디자인을 개발하면 더 좋은 조건으로 다른 회사에 스카우트되기도 한다.

적성 및 흥미

기본적으로 뛰어난 감각과 센스가 필요한 일이다. 유행의 변화에 민감하며 색채 및 형태 등에 대한 전문성도 있어야 한다.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독창적인 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창의력과 표현력, 마케팅감각 등이 요구된다. 디자인의 많은 부분이 컴퓨터로 대체된 만큼 디자인 관련 컴퓨터 조작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제품의 기술 및 공학적 특성에 대한 파악도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제품디자인은 여러 명이 팀을 이뤄 작업할 때가 많으므로 팀워크를 잘 이룰 수 있는 원만한 대인관계능력을 갖춘 사람이 적합하다.

종사현황

종사현황


제품디자이너 종사현황 : 성별(남성43.5%, 여성56.5%), 연령별(20대24.6%, 30대44.9%, 40대21.7%, 50대8.7%, 60대이상0%), 학력별(고졸이하8.7%, 전문대졸13.0%, 대졸65.2%, 대학원졸13.0%), 임금수준(하위25% 144만원, 중위50% 245만원, 상위25% 492만원)
직업전망

직업전망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감률 추정치 : 다소증가(1%이상 2%이하)

향후 10년간 제품디자이너의 고용은 다소 증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제품디자이너는 2015년 약 27.7천 명에서 2025년 29.8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2.1천 명(연평균 0.7%) 정도 증가할 전망이다.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에 따르면, 제품디자인업체는 2010년 917개소를 기점으로 2011년에는 1,037개소, 2012년에는 1,145개소, 2013년 1,164개소, 2014년 1,240개소로 다소 증가해 왔다. 종사자수는 2010년 5,035명에서 2011년 5,127명, 2012년 5,137명, 2013년 5,367명으로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2014년에는 60명가량 감소해 5,307명이 활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제품디자인업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 표 내용 확인

연도별 제품디자인업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
연도 2010 2011 2012 2013 2014
사업체 수 917 1,037 1,145 1,164 1,240
종사자 수 5,035 5,127 5,137 5,367 5,307

디자인은 소비자의 제품 구매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제품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상품의 외적인 차별성과 가치를 부여하는 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면서 제조 분야에서 제품디자이너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특히, 많은 기업에서 기술혁신에 비해 투자비가 상대적으로 적게 들고 우수한 성과를 낼 수 있는 디자인 영역을 기업 경영에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즉, 기업의 전략분석, 기획, 엔지니어링, 마케팅, 유통, 기업 이미지 및 브랜드관리 등 경영 요소 전반에 걸쳐 디자인적 가치를 부여하는 ‘디자인 경영(Design Management)’이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면서 디자인을 생산의 일부로만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업의 디자인 경영 태도는 제품디자이너의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제품디자인의 수요가 증가하는 분야는 주로 스마트폰 및 스마트기기, 냉장고, TV 등으로, 스마트폰 등의 정보통신제품은 디자인에 민감한 젊은 세대를 겨냥하여 기업의 투자가 꾸준한 편이며 대기업 위주의 시장이라는 점에서 입직을 위한 제품디자이너 간의 경쟁도 치열한 편이다. 제품디자인의 영역은 단순히 제품의 외형뿐 아니라 각 제품의 구조, 기능까지 포함하고 있어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해당 제품의 제작기술을 이해하고 있는 전문성 있는 제품디자이너에 대한 수요가 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제품의 외형적 디자인 외에 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경험적 가치를 중시하는 경향에 따라 제품디자인에서도 UX/UI디자인을 서비스에 접목하는 영역의 디자이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대기업의 경우 부설 디자인연구소를 통해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좀 더 선진화된 기술을 가진 해외에 제품디자인을 맡기기도 하고, 외국 브랜드의 직수입도 늘어나고 있는 점은 제품디자이너의 일자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경기침체와 전반적인 제조업체의 감소 추세로 인해 제품디자인에 투자하거나 인원을 보강하지 못하는 회사들이 많아지는 점은 제품디자이너의 고용을 어렵게 한다.

인력의 공급 측면에서는 매년 관련 학과의 졸업생과 사설 교육기관에서 배출하는 공급 인력이 많아 제품디자이너의 입직경쟁은 치열한 편이다. 특히, 근무환경이나 보수가 좋은 일부 대기업 디자인실이나 부설 디자인연구소의 경우 해외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쌓은 사람이 진출하는 등 고학력자의 진출이 이어지고 있어 향후에도 입직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제품디자인은 소비자 반응에 따라 그 능력이 즉각 검증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통해 경쟁력을 갖추는 노력이 요구된다.

결과적으로 제품디자이너의 고용은 제품디자인의 중요성 확대로 디자이너의 역할과 전문성이 강조되고, 신기술 및 신산업이 융합되는 새로운 디자인 영역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경기침체와 제조업의 위축은 제품디자이너의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전통적으로 제조업과 연결된 제품 생산의 영역보다는 첨단 과학기술 및 신기술, 신산업 관련 제품디자인, 서비스디자인 영역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직업
관련정보처

직업전망 데이터는 워크넷(www.work.go.kr)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