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백과

직업백과

당신이 궁금한 세상의 모든 직업

특수학교교사

아사마루
하는일/근무환경

하는 일

특수학교교사(특수교사)는 장애가 있어 특수한 교육의 대상이 되는 학생들을 가르치고 돌보는 교사로, 교과 학습지도와 생활지도는 물론 일상생활 전반에 관한 훈련, 건강관리, 직업을 갖기 위해 필요한 교육 등에도 관여하는데, 학생의 장애 유형에 따라 교육방법이나 교육내용을 달리한다.

시각장애 학생을 지도할 때는 촉각과 소리를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하며, 주로 점자 익히기, 보행훈련, 맹인용 물건 사용법 등을 지도한다. 청각장애학생을 지도할 때는 수화, 순독(입술 모양을 보고 말 알아듣기) 등을 가르치며, 정신지체 학생들의 경우 기본 생활 훈련과 수 개념 이해, 글자 해독 등이 주된 학습인데, 이해나 기억을 돕기 위해 구체물, 그림카드 등을 활용한다. 지체장애 학생들에게는 목발사용법, 휠체어 사용법, 서기 자세 등을 훈련시켜 학생이 자신의 움직임을 잘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많은 특수학교가 이러한 장애 유형별로 학생들을 따로 모집하여 그에 맞는 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나, 중복 장애를 가진 학생들도 상당수이므로 특수교사는 학생 개개인에 따라, 상황에 따라 알맞은 교육방법과 교육내용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특수교사는 일반교사에 비해 비교적 소수의 인원을 담당한다. 학급당 정원은 유치원의 경우 4명이며,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6명, 그리고 고등학교의 정원은 7명이다. 수업은 학급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먼저 진행한 뒤 다시 개별지도에 들어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특수학교교사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만을 위해 설립된 특수학교, 일반학교의 특수학급, 교육청의 특수교육지원센터 등에서 근무한다.

특수학교는 시각장애특수학교, 청각장애특수학교, 지체장애특수학교, 정신지체특수학교, 정서장애특수학교 등 장애 영역별로 구분되지만, 특수교육의 대상이 되는 학생들 다수가 복수의 장애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학교가 2가지 이상의 장애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특수학교는 한 학교 안에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과정이 같이 있으며, 최근에는 장애영아학급과 고등학교를 졸업한 장애학생들의 직업교육을 위한 전공과도 같이 있는 학교가 늘고 있다.

일반학교 특수학급은 일반 초·중·고등학교에 재학하는 장애학생들을 위한 학급으로 다양한 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특수교사의 도움을 받아 교과나 특별활동, 재량활동 등을 공부한다. 특수교육지원센터는 시도교육청이나 지역교육청에 설치되어 있으며, 장애학생들의 장애진단평가 등을 담당한다.

한편, 특수교육의 대상이 되는 학생들이 학교에 다닐 형편이 되지 않을 때, 교사가 직접 학생이 거주하는 곳에 방문하여 지도하기도 하는데 이런 교사를 순회교사라 한다. 이들은 소아암, 심장병, 교통사고 등으로 장기간 입원해 있거나 집이나 보육시설 등에서 나올 수 없는 학생들에게 순회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

근무환경

근무시간은 학교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오전 9시~오후 5시까지 근무한다. 수업시간은 학년에 따라 차이가 나며 오전에 수업이 끝나는 경우 오후에는 주로 교재개발, 교육계획 수립, 학부모 상담 등 수업준비를 한다. 장애가 있어 특수한 교육이 필요한 학생들을 교육하고 돌보는 일이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수화나 점자 등 학생 지도에 요구되는 공부를 꾸준히 해야 하며,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불편과 어려움을 진심으로 이해하고 배려하려는 마음가짐이 요구된다.

특히 중증장애학생의 교육은 정신적·육체적으로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사명감과 책임감, 봉사정신이 투철해야하며, 무엇보다도 더디게 이해하고 학습하는 학생들을 끈기 있게 기다려 줄 수 있는 인내심이 필요하다.

교육/훈련/자격 / 적성 및 흥미

교육 및 훈련

특수교사로 일하려면 먼저 대학교에서 특수교육 관련 전공을 하고 특수교사 2급 정교사 자격부터 취득해야 한다.

대학원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한 후 자격증을 취득할 수도 있다. 학교에 따라 유아특수교육과, 초등특수교육과, 중등특수교육과 등으로 전공이 세분되어 있다. 4년제 대학의 특수교육 관련학과의 교육과정은 각 장애 특성의 이해, 장애영역별 교수-학습 방법의 이해, 장애 진단평가 방법, 특수학교교육과정, 교과별 교수학습방법 등으로 이뤄져 있으며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의 경우 주로 장애 특성 이해와 장애영역별 교수-학습방법이 주요 학습 내용이다. 특수교육대학원은 장애 영역을 세분하여 그 특성과 교수-학습 방법을 배우게 된다.

2급 자격증을 취득한 후 학교교사로 임용되어 3년 이상 학생을 지도한 경력이 있는 교사는 특수교사 1급 자격 취득을 위한 연수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일반교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이 교육대학원과 특수교육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이수하면 특수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 관련 학과 : 특수교육과, 유아특수교육과, 초등특수교육과, 중등특수교육과, 특수체육교육과 등

▲ 관련 자격 : 특수학교(유치원) 1급/2급 정교사, 특수학교(초등) 1급/2급 정교사, 특수학교(중등) 1급/2급 정교사 자격증 (교육부 교원자격 발급권한 위탁기관)

입직 및 경력개발

특수교사는 국공립·사립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특수학급, 특수교육지원센터 등에서 근무한다. 특수교사 자격증 취득 후 교육청이나 학교 자체에서 실시하는 임용시험에 통과하면 국공립·사립학교 등에서 특수교사로 일할 수 있다.

한편, 장애아동 조기치료실, 특수교육 관련 연구기관 및 단체, 장애인 관련 복지관, 병원부설치료실, 상담실 등으로 취업하는 경우도 있다.

특수교사도 일반교사와 마찬가지로 학교 내에 특별한 승진체계가 없이 ‘평교사 → (부장교사) → 교감 → 교장’의 단계를 밟는다. 또한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국립대학, 시도교육청 등의 교육전문직 임용절차를 통해 교육연구사, 교육연구관, 장학사, 장학관으로 진출할 수도 있다.

적성 및 흥미

여러 가지 형태의 장애가 있는 학생들의 욕구나 느낌에 민감하고 이들을 이해하고 도와주려하는 등 타인에 대한 배려심을 필요로 한다. 아울러 장애우를 도와주는 과정에서 여러 어려움이 있어도 이를 포기하지 않고 계속 참고 견디는 성향이 필요한 직업이다. 기본적으로 적합한 흥미유형은 사회형으로 다른 사람들을 훈련시키고 발달시키며 치료해주기 위한 활동들을 선호한다. 아울러 물리적, 생물학적, 문화적 현상에 호기심을 가지고 관찰하는 것을 즐기는 탐구형의 흥미유형을 지닌 자에게 적합하다.

종사현황

종사현황


특수학교교사 종사현황 : 성별(남성24.2%, 여성75.8%), 연령별(20대20.4%, 30대36%, 40대28.7%, 50대14.6%, 60대이상1.3%), 학력별(고졸이하6.4%, 전문대졸14.6%, 대졸60.5%, 대학원졸18.5%), 임금수준(하위25% 139만원, 중위50% 235만원, 상위25% 365만원)
직업전망

직업전망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감률 추정치 : 유지(-1%초과 +1%미만)

향후 10년간 특수학교 교사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특수교육교사는 2015년 약 19.8천 명에서 2025년 약 21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1.2천 명(연평균 0.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수학교교사는 2015년 총 18,337명으로 2010년 대비 20.2% 증가하였다(교육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2015)」). 그러나 다음의 표에서 제시되듯, 특수학교교사의 증가율은 2012년의 5%를 정점으로 전년대비 감소하고 있고 2015년 현재 2.3%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고, 특수학교교사의 수요처라 할 수 있는 특수학급의 전년대비 증가율 역시 2010년 12.5%를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

특수학교 및 교사 현황 표 내용 확인

특수학교 및 교사 현황
연도 특수학교 수 특수학급 특수교육 대상 특수교사
개수 전년대비 증가율 인원 전년대비 증가율
2007 144 5,753 65,940 12,249 -
2008 149 6,352 10.4 71,484 13,165 7.5
2009 150 6,924 9.0 75,187 13,997 6.3
2010 150 7,792 12.5 79,711 15,244 8.9
2011 155 8,415 8.0 82,665 15,934 4.5
2012 156 8,927 6.1 85,012 16,727 5.0
2013 162 9,343 4.7 86,633 17,446 4.3
2014 166 9,617 2.9 87,278 17,922 2.7
2015 167 9,868 2.6 88,067 18,339 2.3

그동안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높아지면서 특수교육 대상 학생에 대한 교육기회 확대와 이들에 대한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반영되어, 2015년 특수교육대상학생은 88,067명으로 5년 전인 2010년 79,711명에 비해 약 10.4% 증가하였다. 또한, 최근 장애학생을 특수학교가 아닌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하려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기에 장애가 있는 특수교육 대상만을 위한 특수학교 수는 늘어나고 있지 않지만 일반학교의 특수학급이 늘어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특수학급은 2010년 7,792개에서 2015년 9,868개로 5년 사이에 약 26.6% 증가하였다. 다만 최근 특수학급 증가율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향후 인력수요 창출에 한계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소외계층에 대한 삶의 질 향상 및 사회통합과 장애가 있는 영·유아의 조기교육에 대한 관심으로 특수교육을 담당하는 교원의 수는 증가하였으나 향후 10년간 특수학교교사의 고용 증가세는 정체되고 현상유지에 머물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사회 전반적으로 고용 불안정이 심화되면서 국공립·사립학교 등에서 특수교사로 근무하기 위한 임용시험에 도전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어서 학교에서 일하는 특수교사의 경우 치열한 경쟁을 거쳐 입직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직업
관련정보처

직업전망 데이터는 워크넷(www.work.go.kr)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