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과소개
-
생명과학은 지구에 존재하는 수많은 동물과 식물, 그리고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까지 모든 생명체를 대상으로 생명현상에 대하여 연구합니다. 의약, 농학, 수산학, 식품영양학, 유전공학, 에너지공학, 환경공학 등 다양한 응용분야의 기초가 되며, 질병극복, 식량문제, 환경문제 등 인류가 가진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종합학문입니다. 생명과학과에서는 근본적인 생명 현상의 과정을 이해하여 의료, 산업 그리고 환경 연구와 사업에 폭넓게 적용시킬 수 있는 핵심적인 지식을 연구하고 교육합니다. 인간유전체 해석, 난치병 치료기술, 의료생체재료기술 등 인간에 대한 연구, 미생물유전체의 연구, 농업·식품·환경 등에서의 미생물 이용기술 등의 미생물에 대한 연구 등이 생명과학에서 이루어집니다. (넓은 의미에서 동물생명과학, 식물생명과학도 생명과학에 포함되나, 워크넷에서는 편의상 농업학과로 구분하였습니다)
- 학과소개동영상
- 적성/흥미
-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명체, 생명현상 그리고 자연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으로 다른 응용학문의 기초가 되는 학문인만큼 논리적인 사고나 통찰력, 추론적 판단력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생명현상을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보는 관찰력, 도전정신, 분석력 등을 두루 갖춘 학생에게 적합합니다. 많은 실험과 실습을 하게 되므로 인내심도 필요합니다. 연구자적인 소양을 갖추고 문제를 해결하길 좋아하고, 생물학, 화학, 물리학 등 기초 과학과목에 흥미가 있는 학생이라면 보다 즐겁게 공부할 수 있습니다.
- 관련학과/교과목
-
- 생명과학과
- 생명공학과
- 의생명과학과
- 의생명공학과
- 미생물학과
- 분자생물학과
- 분자생명과학과
- 유전공학과
- 생물학과
- 분자생물학과
- 생명시스템학과
- 바이오산업공학과
- 주요 교과목
-
생명과학과 : 연구영역에 따라 생명공학, 생명식품공학, 유전공학, 수산생명공학, 의생명공학, 해양생명공학, 환경생명공학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분자, 세포, 기관, 개체 등 다양하고 폭넓은 교과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전자 조작이나 단백질공학, 세포조작기술 등의 응용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저학년에서는 미생물학, 식품학, 생물학 등의 생명과학의 기초학문에 대한 지식 기반을 쌓고, 고학년에는
기초과학을 응용할 수 있는 보다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합니다.
‡ 기초과목 : 물리화학, 유기화학, 미생물학, 세포생물학, 유전학개론
‡ 심화과목 : 유전학, 분석화학, 생리학, 식품생명공학, 발생생명공학, 분자생물학, 식물생명과학, 생화학, 신경생물학, 생물정보학, 세포와 조직공학, 바이러스학, 대사공학
생물학과 : 의학, 약학, 농림수산학, 환경학 등의 다양한 학문과 연계하여 생물의 형태, 분류, 생리, 세포, 유전 등의 생명과학의 기초분야를 연구합니다. 학교에 따라 기초과학인 생물학을 연구하거나 이를 의약, 농학 등과 함께 접목하여 연구 및 응용하며, 미생물의 바이러스나 면역학 등을 중점적으로 공부하기도 합니다. 저학년에서 생물학 연구를 위해 필요한 일반 생물학, 물리학, 미생물학 등의 기초 학문을 공부한 후에 환경, 동물, 식물, 미생물 등에 대해 보다 전문적인 이론을 배우고 실습을 통하여 지식을 습득합니다.
‡ 기초과목 : 일반화학, 일반생물학, 일반물리학, 환경생물학
‡ 심화과목 : 동식물분류학, 동물생리학, 유전학, 발생학, 세포학, 미생물학, 분자생물학, 세균학, 환경생물학, 생태학, 진화학
- 취득 자격
-
구분 자격증 국가자격 - 생물공학기사
- 식품기사
- 대기환경기사
- 수질환경기사
- 폐기물처리기사
- 수산질병관리사
- 생물분류기사
- 자연생태복원기사
- 식물보호기사
- 종자기사
- 개설 대학교
-
전공 대학교 Biomedical Science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글로벌생명공학전공 나노바이오전공 미생물나노소재학과 미생물분자생명과학과 미생물학과 바이오ㆍ의생명공학과 바이오공학과 바이오공학및마케팅 바이오나노학과 바이오메디컬학과 바이오및뇌공학과 바이오발효융합학과 바이오산업공학과 바이오산업융합학부 바이오산업자원공학전공 바이오산업학부 바이오생명공학과 바이오스마트공정관리전공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바이오싸이언스 바이오융합공학전공 바이오융합기술연계전공 바이오융합전공 바이오융합학부 바이오의약공학전공 바이오인포매틱스전공 바이오제약공학과 바이오코스메틱학과 바이오테크놀로지학부 바이오헬스융합계열 보건바이오학과 보건바이오학부 분자생명과학과 분자생물학과 분자의생명전공 생명건강공학전공 생명공학과 생명공학부 생명공학부 생명과학전공 생명공학부(생명자원소재공학전공) 생명공학부(환경생명공학전공) 생명공학전공 생명과학-통계학 전공 생명과학과 생명과학기술학부 생명과학부 생명과학부 미생물학전공 생명과학부 생명공학전공 생명과학부 생물과학전공 생명과학부 생물학전공 생명과학전공 생명과학정보학과 생명과학특성학과 생명나노공학과 생명보건학부 생명산업공학과 생명시스템계열 생명시스템과학과 생명시스템학과 생명시스템학부 생명정보공학과 생명화학공학부 생명공학과 생명환경공학전공 생명환경학부(바이오산업학전공) 생명환경화학과 생물공학과 생물과학과 생물의소재공학과 생물의약학과 생물학과 생물학화학융합학부 시스템면역과학전공 시스템생명공학과 시스템생명공학전공 시스템생물학과 식의약화장품안전평가학전공 식품생명학부 언더우드 생명과학전공 에코바이오학과 연계전공 공학바이오 연계전공 뇌-마음-행동 유전공학과 융합기술ㆍ경영학과 융합생명공학과 응용미생물학전공 응용화학생명공학과 의료생명공학과 의생명ㆍ보건학부 의생명공학과 의생명공학전공 의생명과학과 의생명과학전공 의생명시스템학부 의약공학과 의약나노바이오융복합전공 의약바이오학과 의약생명공학과 줄기세포재생공학과 창의ICT공과대학 천연물의약바이오학과 화학생명과학과 - 진출분야
-
기업체 : 의약, 환경, 식품, 비료, 화장품 등의 제조·판매업체, 바이오기기회사, 특허전문업체 등
연구소 : 생명공학연구소, 보건환경연구소, 의약관련연구소, 농림수산관련연구소, 해양연구소, 국립과학연구소, 기타 기업체연구소 등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환경직, 보건직 공무원)
- 관련직업
- 취업현황
-
학과/전공 입학자(명) 졸업자(명) 취업자(명) 취업률 대학교 (생명과학과)
7,812 (지원 : 70,134)
7,488 2,629 52 % 전문대학 (생명과학과)
300 (지원 : 782)
271 199 77 % 한국교육개발원의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를 참조하여 해당 학과의 지원자, (성별)입학자, (성별)졸업자, (성별)취업자, 취업률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 자료와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입학 및 취업현황’은 조사시점에 따라 매년 변동되는 점을 감안하여 학과선택 시 참조자료로만 활용할 것을권합니다.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기준일: 2016년 4월 1일)
(학교 구분에 있어 "대학교"는 '일반 4년제 대학+교육대학+산업대학+기술대학+사내대학(대학)+사이버대학(대학)+원격대학(대학)'을 합산한 것이며, "전문대학"은 '일반 전문대학+기능대학+사내대학(전문)+사이버대학(전문)+원격대학(전문)'을 합산하였습니다.
학과 분류체계가 원자료 제공처인 한국교육개발원과 차이가 있어 합산과정에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취업률과 다소 다름을 밝혀 둡니다.)
‣ 취업률(%) = 취업자/{졸업자-(진학자+입대자+취업불가능자+외국인유학생+제외인정자)}×100
‣ 졸업자: 2014년 8월 졸업자 및 2015년 2월 졸업자 대상
‣ 취업자 = 조사기준일 당시 직장건강보험가입자 및 해외취업자, 농림어업종사자, 개인창작활동 종사자, 1인창(사)업자, 프리랜서
‣ 진학자 = 국내전문대학+국내대학+국내대학원+국외전문대학+국외대학+국외대학원
‣ 취업불가능자 : 수형자, 사망자, 해외이민자, 6개월 이상 장기입원자
‣ 외국인유학생 : 외국국적을 가진 유학생(외국국적 재외동포 포함)
‣ 제외인정자 : 의료급여법 제3조(수급권자)에 의한 의료급여수급자, 항공종사자 전문교육기관 교육대상자, 여자 군인 중 임관 전 훈련생, 종교지도자 양성학과 졸업자, 경찰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소방공무원 채용후보자 중 훈련생
‣ 입학자 = 2016년 3월 입학자 대상
학과정보 데이터는 워크넷(www.work.go.kr)을 통해 제공됩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워크넷 직업/진로 정보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